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0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6)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기자 공모전 뉴스 책 뉴스리터러시 신문읽기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언론진흥재단 미디어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신문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독서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09)

  • 국회의원 선거, 국가 건설·경영 원리도 머리에 쏙쏙

    2020.04.10
  • 선거 뉴스 함께 읽는 꿀팁 알려드려요

    2020.04.08
  • 선거와 유튜브, 미디어 리터러시

    2020.04.03
  • 제1회 <뉴스 읽기, 뉴스 일기> 공모전 심사 현장 공개!

    2020.04.02
  • ‘온라인 교실’ 열고 화상 채팅하며 학습 지도

    2020.04.01
  • [미디어 리터러시 이해하기] 수강하고 허위 정보 분별하자!

    2020.03.31
국회의원 선거, 국가 건설·경영 원리도 머리에 쏙쏙

국회의원 선거, 국가 건설·경영 원리도 머리에 쏙쏙 인기 게임 응용한 시사‧정치 수업 최근 미국에서는 게임을 만드는 과학자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게임을 이용해 전통적인 연구 방법으로 해결하기 어려웠던 문제를 풀거나, 집단지성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선거나 입법부의 역할을 어린 학생들에게 주입식으로 가르치면 이해하기 어렵지만, 학생들이 직접 시뮬레이션 게임을 만들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글 박미영 (한국 NIE 협회 대표) “스포츠토토, 안 하는 애들은 거의 없어요.” “맞아요. 남학생들은 거의 다 한다고 보시면 돼요.” 고등학교 학생들의 말입니다. 학생들은 지혜로운 호모 사피엔스인 동시에 놀이하는 호모 루덴스입니다. 요한 호이징하는 저서 《호모 루덴스》에서 놀이의 범주로 ‘경쟁,..

2020. 4. 10. 10:32
선거 뉴스 함께 읽는 꿀팁 알려드려요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 ‘함께읽는 선거 보도’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는 인터넷언론의 선거 보도 공정성을 유지하고, 불공정한 선거 보도의 피해자를 신속히 구제하는 기구다.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는 올해 제21대 총선을 앞두고 수많은 선거, 정치 뉴스가 쏟아지는 상황에서 유권자들의 현명한 선택을 돕기 위해 지난 2019년 ‘함께 읽는 선거 보도’ 사업을 진행했다. 글 김시현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 심의팀 주무관) ‘선거·정치 미디어 리터러시’는 유권자가 미디어를 통해 선거·정치 정보를 현명하게 소비하고, 능동적으로 활용해 다양한 정치 참여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민주 시민이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역량 중 하나일 것이다. 우리가 선거 때 행사하는 한 표의 가치는 얼마일까? 올해 치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의..

2020. 4. 8. 13:39
선거와 유튜브, 미디어 리터러시

비판적 정보 소비 방해하는 ‘확증편향’ 경계해야 선거와 유튜브, 미디어 리터러시 과거에는 시사정보나 정치 뉴스를 주로 신문 보도나 방송 뉴스를 통해 얻었다면, 현재는 SNS나 유튜브 채널이 주요 정보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38개국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유튜브 이용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유튜브 이용이 늘어나며 선거 정보 채널로서도 영향력이 커져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코앞으로 다가온 21대 국회의원 선거와 유튜브, 미디어 리터러시의 관계를 살펴봤다. 글 최지향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조교수) 이용자가 유튜브 채널 진행자를 자신과 정치적 성향을 공유하는, 매우 신뢰하는 정보원으로 여긴다면 비판적 소비에 대한 필요성 자체를 느끼지 못..

2020. 4. 3. 09:47
제1회 <뉴스 읽기, 뉴스 일기> 공모전 심사 현장 공개!

안녕하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입니다. 한 해 동안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았던 제 1회 공모전이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습니다. 이번 공모전 접수작들은 전문 심사위원과 함께 한 작품 한 작품 심사숙고하여 살펴보았으며, 지난 3월 23일 최종 수상작을 발표하였습니다. 여러분의 성원만큼 뜨거웠던 심사 현장을 공개합니다! 심사는 예비 심사와 본 심사로 나누어 진행되었습니다. 예비 심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뉴스 일기 공모전 담당자들이 모여 출품된 모든 작품들의 지원서와 일기장이 정상적으로 접수되었는지, 일기 작성 수와 기간, 필수 포함 요소(뉴스 출처 등)가 적절히 반영되었는지 등을 1차적으로 심사하였습니다. 한 장 한 장 정성스럽게 작성하신 뉴스 일기장을 보며, 모든 지원자분들의 열정과 노력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본..

2020. 4. 2. 17:08
‘온라인 교실’ 열고 화상 채팅하며 학습 지도

‘코로나19’ 개학 연기 대비 교육 공백 극복 방안 ‘온라인 교실’ 열고 화상채팅하며 학습 지도 코로나19로 누구도 겪어보지 못한 긴 겨울방학, 혹은 봄방학이 이어지고 있다. 벌써 두 차례나 새 학기 시작이 미뤄졌지만, 언제 정상적인 학교 수업이 가능할지 아무도 알 수 없다. 결국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다양한 온라인 학습 플랫폼이 등장했고, 학생들의 학습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직접 사이트를 구축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사들도 있다. 미뤄지는 개학에 대비한 온라인 교육 아이디어를 소개한다. 글 고규환 (남곡초 남곡분교장 교사) 온라인 학습에서 중요한 것은 ‘온라인’이 아닌 ‘학습’이다. 단순히 학습 내용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그치기보다 어떻게 해야 학생들에게 진정한 ‘학습’이 되는지 고민해야 ..

2020. 4. 1. 13:00
[미디어 리터러시 이해하기] 수강하고 허위 정보 분별하자!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리터러시 이해하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이해하기’ 수강하고 허위 정보 분별 해보아요~! ✔본 과정은 학점 미인정 과정으로, 미디어리터리시 이해를 돕기 위한 무료 과정입니다. ✔이수조건 : 진도율 80% + 온라인평가시험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이수증은 각종 증빙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www.hstudy.co.kr/newmain/group.asp?inx=834

2020. 3. 31. 10:54
1 ··· 96 97 98 99 100 101 102 ··· 53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