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0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6)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공모전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신문 기자 다독다독 책 독서 스마트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09)

  • ‘15세 선생님, 81세 학생’의 SNS 활용 수업

    2020.03.20
  • [미디어 사용설명서] 2화 – 온라인 게임편 -

    2020.03.18
  • 스마트한 세상이 더 살기 힘들어요

    2020.03.18
  • [미디어 사용설명서] 1화 - 스마트폰 편 -

    2020.03.13
  • 미안해 선화공주, ‘신고 버튼’이라도 누를 걸

    2020.03.13
  • AR로 기록하고 영상으로 찍어보는 ‘나의 황혼’

    2020.03.11
‘15세 선생님, 81세 학생’의 SNS 활용 수업

노년층을 위한 청소년 디지털 리터러시 멘토링 해외 사례 ‘15세 선생님, 81세 학생’의 SNS 활용 수업 하루가 다르게 진화하는 디지털 기술의 시대에 자칫 소외되기 쉬운 시니어 세대를 위해 어린 학생들이 나섰다. 미국, 싱가포르 등 여러 나라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시니어들을 위한 청소년의 디지털 리터러시 멘토링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글 황치성 (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미국 오하이오주 제퍼슨카운티에 소재한 토론토 공공도서관 강의실. 중학생쯤으로 보이는 한 소년이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켜 놓고 백발의 시니어들에게 뭔가를 열심히 설명하고 있다. 패트릭 코스탈레스(Patrick Costales)는 옆자리에 앉은 할아버지에게 태블릿PC의 유튜브 화면을 가리키며 “돋보기 아이콘을 찾아보세요.”라고 말..

2020. 3. 20. 11:27
[미디어 사용설명서] 2화 – 온라인 게임편 -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대한민국을 강타했죠. ​집안에만 갇혀 있는 요즘 집안에서 주로 사용하는 미디어를 올바르게 사용하는게 중요하죠! 코로나 19 시기를 이겨내는 건강한 미디어 이용방법 초등학생용 미디어 사용설명서 '온라인 게임' 편! 함께 보실까요? 와이즈앱 2017년 3월 모바일 사용 분석에 따르면 스마트폰 게임 이용자는 하루에 평균 46분간 게임을 한다고 해요~ 1인당 사용시간은 압도적으로 1위 인데요! 1회 실행당 사용시간은 4분이 넘고, 1인당 1일 실행횟수 또한 10.2회라고 해요. 하루에 게임하는 1인당 개수 또한 2.26개라고 하죠! 따라서 첫째, 지속적인 점검을 통한 자기 관리가 매우 중요해요. 게임의 과도한 사용으로 자신의 일상생활에 변화가 없는지 유심히 관찰하는 태도가 매우 중요해요. ..

2020. 3. 18. 16:59
스마트한 세상이 더 살기 힘들어요

노인층 미디어 이용 행태와 디지털 격차 스마트한 세상이 더 살기 힘들어요 미국 퓨리서치 센터가 얼마 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95%로 조사 대상 27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 보급률뿐 아니라 활용도 또한 높아 기차표 예매부터 외국어 학습, 보험금 청구 등 스마트폰으로 안 되는 일이 없을 정도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가져온 편리한 삶의 혜택을 모두가 누리는 것은 아니다.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혁신이 가져온 편리함의 바깥에 물러서 있는 사람들, 노인층의 디지털 격차 문제와 문제 해결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제고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글 김경희 (한림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노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텔레비전을 활용하는 방안이 있다. 노인들이 알기 쉽게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2020. 3. 18. 15:57
[미디어 사용설명서] 1화 - 스마트폰 편 -

​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대한민국을 강타했죠. ​ 집안에만 갇혀 있는 요즘 집안에서 주로 사용하는 미디어를 올바르게 사용하는게 중요하죠! 코로나 19 시기를 이겨내는 건강한 미디어 이용방법 초등학생용 미디어 사용설명서 '스마트폰' 편! ​ 함께 보실까요? ​ ​ 첫째, 스마트폰과 잠시 떨어져 보세요. ​ 숙제나 공부를 할 때에는 스마트폰을 잠시 보이지 않는 곳에 놓아 보세요. 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NIA)에 따르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비중이 높게 나온걸 볼 수 있어요. ​ ​ ​ 둘째, 잠을 잘 때에는 스마트폰을 먼 곳에 두세요. ​ 뇌가 편안히 쉴 수 있게 되도록 잠을 자기 직전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자기 전까지 스마트폰을 하면 뇌가 피로해져 성장 발달에 좋지 않아요...

2020. 3. 13. 18:53
미안해 선화공주, ‘신고 버튼’이라도 누를 걸

‘서동요’를 통해본 ‘소문과 윤리적 미디어 이용’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향가 ‘서동요’와 미디어 리터러시.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조합이지만 ‘서동요’에 대한 국문학적 의의와는 무관하게, 서동요와 관련된 설화를 현대인의 관점으로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는 일일 것이다. 중고등 학생들의 날카롭고도 정의로운 평가를 들어보자. 글 박미영(한국NIE협회 대표) 수업이 끝난 후 학생들은 내가 루머를 퍼뜨린 장본인(가해자)은 아니라 해도, ‘속보, 화제, 충격’ 등의 어휘로 포장된 연예인 기사를 클릭한 나의 행동이 루머 피해를 확장시킨 방관자의 행동이었음을 깨닫게 됐다며 루머 피해 연예인에게 미안해했습니다. “짝사랑에 빠진 한 남자가 마침내 일을 저질렀어. ‘나 저 여자 좋아해’라고 속마음을 털어놓기만 하면 좋..

2020. 3. 13. 10:30
AR로 기록하고 영상으로 찍어보는 ‘나의 황혼’

노년층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사례 스마트폰 하나로 일상의 거의 모든 것이 가능하고 나날이 새로운 IT기술이 등장하는 디지털 세상에 새로운 소외계층이 생겼다. 이 모든 변화를 따라가기가 벅찬 노인들은 현대 사회의 디지털 문맹자이고 소외계층이다. 노인들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감안한 미디어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이유이다. 글 김현경 (미디어강사) 스마트폰을 스마트하게 쓰지 못하는 현실을 하소연 하던 어르신들이 조금씩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알아가며 “알아야 재미도 있지. 우리 같은 노인들한테 알려줘서 고맙수”라며 배움의 기쁨을 전하는 순간, 온몸으로 부딪치며 살아온 삶의 향기가 묻어 나왔다. 잘 된 사람 곁에는 나를 믿어주고 이끌어 준 진정한 어른이 있었다는 공동체 세대의 어른들. 그분들..

2020. 3. 11. 10:30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 53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