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 미디어교육 다독다독 공모전 기자 스마트폰 미디어 신문읽기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이벤트 신문 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독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뉴스(106)

  • 2019 뉴스 읽기, 뉴스 일기 공모 시행

    2019.04.12
  • 뉴스 보며 토론하는 유치원생들, 정말 가능할까?

    2019.04.04
  • SNS와 저널리즘

    2016.11.23
  • 신문읽기와 스크랩 어떻게 해야 할까?

    2016.09.22
  • 내가 좋아하는 뉴스만 보기를 원한다면

    2016.08.19
  • '뉴스 트러스트'가 뭐냐고요?

    2016.08.18
2019 뉴스 읽기, 뉴스 일기 공모 시행

○공모 소개 뉴스 리터러시 캠페인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은 국민들에게 뉴스의 분별력 있는 이용과 책임 있는 활용, 올바른 뉴스 이용 습관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뉴스 읽기를 주제로 한 뉴스 일기장’을 배포하고 공모전을 개최하여 최대 500만원(대상, 1명 또는 1팀) 상당의 상금과 상패를 수여할 예정입니다. 에 있는 연령별 ‘미디어리터러시 실천 매뉴얼’을 참고하시어 평소 뉴스 및 미디어 이용습관을 점검해 보세요. 가이드에 따라 생활 속에서 허위정보와 뉴스를 구별하며 뉴스 리터러시를 실천해 보아도 좋습니다. 실천 과정에서 느낀 점을 일기로 작성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뉴스·미디어와 함께하는 여러분의 하루를 일기로 기록해주세요! ※ 뉴스 리터러시란? 뉴스 리터러시는 미디어가 전달하는 ..

2019. 4. 12. 17:33
뉴스 보며 토론하는 유치원생들, 정말 가능할까?

유아교육과 뉴스 리터러시-유치원 현장 연구를 중심으로 미디어교육 선진국에서는 유아부터 성인까지 전 생애에 걸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활발하다.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생소한 국내에서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연구 지원을 받은 최초의 유아 대상 뉴스 리터러시 사례 연구가 실시됐다. 주봉관신구대 유아교육과 교수·부속유치원장 초등학교 시절 어린이신문의 기자 활동을 했던 기억이 난다. 편집국장님께 신문의 중요성과 기자의 역할 등에 대해 배우며 기자를 꿈꾸기도 하고, 집에 신문이 배달돼 오면 TV편성표만 보던 내가 이곳저곳 신문의 여러 면을 살펴보는데 재미가 들렸던 기억들. 이러한 신문에 대한 어린 시절의 경험들은 성인이 된 지금까지 아침에 일어나 뉴스부터 찾는 자연스러운 일상이자 습관이 되어버렸다. 전 생애..

2019. 4. 4. 14:26
SNS와 저널리즘

[요약] 지난 6월 미국 하버드대 저널리즘 연구소인 니먼랩이 '2016 미국 뉴스 미디어 보고서'를 통해 현재 미국 성인의 절반가량이 페이스북에서 뉴스를 접한다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소셜미디어 뉴스콘텐츠의 증가 미국인들은 주로 영상중계 서비스인 '페이스북 라이브'나 뉴스 서비스인 '인스턴트 아티클'로 뉴스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다. 미국 내 일간지 구독률과 신문광고 매출은 전년에 비해 각각 7%, 8% 감소한 반면 이용자 수가 16억 명이 넘은 페이스북은 지난해 디지털 디스플레이 광고 총 수익의 약 30%인 80억 달러를 벌어들이기도 했다. 이렇듯 뉴스시장에서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플랫폼의 지배력은 계속 확대되는 추세다. 국내 상황 또한 마찬가지다. '2015 한국언론수용자 의식조사'를 보면 이동형..

2016. 11. 23. 11:00
신문읽기와 스크랩 어떻게 해야 할까?

장두원,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신문은 수많은 정보 가운데 뉴스로서 가치가 있는 것을 선택해보도하는 미디어다. 모바일 시대에 직장인, 대학생들은 활자로 된 종이신문보다 인터넷으로 뉴스와 신문을 읽는 것이 자연스러워졌다. 신문읽기에도 요령이 필요하다. 세계 최고의 갑부 워런 버핏(Warren Buffett)은 새벽에 일어나 종이 신문 읽기로 하루 일과를 시작한다. 그는 신문은 정보의 보고(寶庫)이자 치열하고 냉정한 비즈니스 세계에서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는 지력과 힘을 알려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모바일 시대에 직장인, 대학생들은 활자로 된 종이신문보다는 스마트폰으로 제공되는 기사를 본다. 요즘은 인터넷으로 뉴스와 신문을 읽는 것이 자연스러워졌다. 활자를 읽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기보다는 스마트..

2016. 9. 22. 14:00
내가 좋아하는 뉴스만 보기를 원한다면

정형근, 정원여자중학교 교사 [요약] 뉴스 이용이 개인화되며 생겨난 개인 맞춤형 뉴스큐레이션 서비스와 자신의 신념과 일치하는 정보는 받아들이고 신념과 일치하지 않는 정보는 무시하는 필터 버블(Filter Bubble) 현상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내가 좋아하는 뉴스만 보기를 원한다면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에서 제공하는 맞춤형 뉴스를 이용하면 된다. 보통 큐레이터는 작품을 전시 목적에 따라 수집하고 전시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이와 유사하게 뉴스 큐레이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에 따라 뉴스를 분류하고 배포하는 일을 수행하는데,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이 바로 뉴스-큐레이터이다. #뉴스큐레이션과 필터 버블 요즘 왜 뉴스-큐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여기저기에서 회자되는 것일까? 그것은 홍수처럼 쏟..

2016. 8. 19. 11:00
'뉴스 트러스트'가 뭐냐고요?

#뉴스 트러스트가 뭐냐고요?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숫자는 컴퓨터가 세상을 받아들이는 방법이다. 우리는 컴퓨터에 문자를 입력하지만, 컴퓨터는 입력된 문자를 숫자화해 받아들인다. 가령, ‘언론’이라는 단어가 있다. ‘ㅇ’은 국제 표준 문자코드인 유니코드에 따라 ‘3147’이다. ‘ㅓ’는 ‘3153’, ‘ㄴ’은 ‘3134’, ‘ㄹ’은 ‘3139’, ‘ㅗ’는 ‘3157’이다. 그래서 컴퓨터는 ‘언론’이라는 문자를 ‘314731533134313931573134’로 받아들인다. 컴퓨터는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문자를 인식한다. 뉴스는 기본적으로 문자로 기록되며, 기록된 문자는 모두 컴퓨터에서 숫자로 인식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시대 모든 뉴스가 숫자로 치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프로야구 순위처럼 뉴스도..

2016. 8. 18. 11:40
1 ··· 3 4 5 6 7 8 9 ··· 1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