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공모전 스마트폰 이벤트 미디어리터러시 뉴스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기자 신문 NIE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뉴스(106)

  •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즘을 지배할까?

    2016.04.25
  • 즐겁게 오랜 시간 뉴스와 채팅하세요

    2016.04.18
  •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등장 배경이 궁금하다

    2016.04.04
  • 페이스북은 온라인 뉴스 생태계를 바꿀 수 있을까?

    2016.01.26
  • 인터넷 공간의 언론 신뢰성 제고 방안

    2015.12.14
  • 로봇 저널리즘 국내 실험 사례

    2015.12.07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즘을 지배할까?

[요약] 신문이나 방송 같은 전통적 뉴스 미디어가 새롭게 등장한 소셜 미디어에 밀려 사라져 간다는 주장과 이에 반해 소셜 미디어를 뉴스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소개합니다. 에밀리 벨 ‘우리가 알고 있던 뉴스의 종말’ 달라진 뉴스 환경 지난 5년 동안 가상현실, 실시간 동영상, 인공지능 뉴스봇, 문자 메시지, 채팅앱 등 엄청난 기술 혁신은 뉴스 생태계를 놀라운 수준으로 바꿔놓았다. 특히 소셜 미디어는 저널리즘만 집어삼킨 것이 아니라 선거, 금융 시스템, 개인사, 여가 산업, 소매업, 정부와 보안까지 관여하게 됐다. 여기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두 가지 사안이 있다. 첫째, 뉴스 산업은 뉴스를 배포할 수 있는 통제력을 상실했다는 점이다. 소셜 미디어와 플랫폼 회사가 뉴스를 배포할 수 있는 통제..

2016. 4. 25. 10:53
즐겁게 오랜 시간 뉴스와 채팅하세요

한운희, 연합뉴스 미디어 랩 기자의 글입니다. 2012년 9월 쿼츠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을 때 없는 게 2가지였다. 하나는 그럴싸한 홈페이지, 또 다른 하나는 전용 모바일 앱이었다. 단순 기사 목록에 더 가까웠던 웹페이지는 2015년이 돼서야 비로소 홈페이지로서 최소한의 구색을 갖추기 시작했다. 모바일 앱은 그보다 한참 늦었는데, 올해 2월11일에 처음 선보였다. 그것마저도 iOS 전용이었다. 이용자와 채팅하는 쿼츠 설립 3년 5개월 만에 내놓은 쿼츠의 모바일 앱은 공개되자마자 화제에 올랐다. 기존 뉴스 앱의 구태의연한 방식을 깨고 채팅이라는 의외의 형식으로 뉴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앱을 실행하면 접속한 시간대에 걸맞은 인사를 먼저 건네고 친절하며 재치 있는 문장으로 그날 봐야 할 뉴스를 선별해 전해..

2016. 4. 18. 13:30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등장 배경이 궁금하다

권영부, 동북고등학교 수석교사, NIE한국위원회 부위원장 우리나라에서 미디어활용교육의 큰 축을 담당했던 것이 신문 활용 교육(NIE, Newspaper in Education)이다. 신문 활용 교육이 학교현장에서 교과와 비교과교육에 두루 활용되면서 하나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안착된 게 사실이다. 신문 활용 교육이 체계화된 교수학습 방법은 아니다. 신문을 교수학습 과정에 보조교재로 활용할 뿐이다. 보조교재인 신문이 가진 교육적 가치는 이미 국내외의 여러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한국방송통신대학 김옥태 교수는 어릴 때부터 꾸준히 종이신문을 통해 활자를 접한 학생은 읽기 능력뿐 아니라 논리력과 사고력 등이 향상되고 시사 상식도 풍부해지기 때문에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했다(조선일보, 2016.03.07.). ..

2016. 4. 4. 16:00
페이스북은 온라인 뉴스 생태계를 바꿀 수 있을까?

요즘 온라인 미디어 환경에서 가장 주목받는 업체는 페이스북입니다. 페이스북이 인스턴트 아티클 (instant articles) 이라는 서비스를 시작했고, 국내 업체와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스턴트 아티클은 페이스북과 정식으로 계약을 맺은 언론사에 한 해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하는 방식이 아니라, 페이스북 내에서 뉴스를 볼 수 있는 방식으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빠르게 뉴스를 볼 수 있으며, 언론사는 페이스북의 광고 수익을 나눠 받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페이스북 인스턴트 아티클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내 온라인 뉴스 환경을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포털 중심의 온라인 환경에서 페이스북이 생각보다 빠른 시간에 자리 잡을 수 있는 충분한 시장 환경이 조성되어..

2016. 1. 26. 14:00
인터넷 공간의 언론 신뢰성 제고 방안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김선호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11월 19일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뉴스미디어의 미래를 위한 대 토론회’를 열었다. ‘인터넷 공간의 언론 신뢰성 제고'발표 내용을 요약·정리해 소개합니다. 현재 인터넷은 뉴스 소비가 이루어지는 중심 매체이며, 문화가 매개되고 민주적 여론이 형성되는 공간입니다. 그리고 인터넷에서는 정보 전파가 급속하게 이루어지며 광고 시장도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인터넷 공간에서 신뢰성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본 ‘인터넷 공간의 언론 신뢰성 제고’ 분과에서는 위와 같은 특징을 갖는 인터넷 공간에서 언론에 대한 신뢰성을 이용자 관점에서 바라보았습니다. 인터넷 공간의 언론에 대한 신뢰..

2015. 12. 14. 14:00
로봇 저널리즘 국내 실험 사례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서울대 언론정보학과 박사과정 이준환・김동환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지난 1월 AP통신이 작성한 애플의 실적 발표 기사‘Apple tops Street 1Q forecasts’가 사람이 아닌 알고리즘에 의해 쓰였다는 사실이 국내 뉴스에 소개되면서 국내에서도 로봇 저널리즘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뉴스 기사를 만드는 모든 과정에 컴퓨터 알고리즘이 관여해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기사를 생성하는 분야를 로봇 저널리즘이라 지칭하는데, 이미 미국에서는 내러티브 사이언스나 오토메이티드 인사이트 같은 회사가 AP통신, 포브스 등의 매체와 계약을 맺고 알고리즘이 작성한 기사를 다량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프로야구 기사 쓰는 로봇 알고리즘은 신속하고 정..

2015. 12. 7. 09:00
1 ··· 6 7 8 9 10 11 12 ··· 1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