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0)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리터러시 NIE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미디어 스마트폰 다독다독 기자 언론진흥재단 공모전 이벤트 신문 신문읽기 뉴스 뉴스리터러시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1487)

  • 알랭 드 보통이 알려주는 뉴스 사용설명서

    2014.10.21
  • 스마트폰 게임을 내려놓고 책을 펼치게 도와준 읽기 멘토링

    2014.10.20
  • 책 안 읽는 사람도 빠져드는 ‘그림 소설’ 세 가지

    2014.10.20
  • 생각을 모으면 창작이 보인다! 김중혁의 두 번째 창작의 비밀!

    2014.10.17
  • 한글이 걸어온 길을 만나러 ‘국립한글박물관’으로

    2014.10.16
  • 출판계에 새로운 바람, 11월 시행되는 '도서정가제'란?

    2014.10.15
알랭 드 보통이 알려주는 뉴스 사용설명서

출처_ genk 우리는 정보가 과다하게 흘러넘치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누가 기존에 만들어 놓은 정보도 있고, 자신이 만드는 정보도 있죠. 그래서 이 시대를 사는 사람은 범람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단순히 정보를 받아들이는 수요자의 역할과 정보를 가공하고 다시 퍼뜨리는 공급자의 역할까지 함께 하고 있죠. 이런 식으로 가공되고, 전달되는 정보를 일컬어 우리는 '뉴스‘라고 하죠. 인터넷만 열어도 당장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의 많은 뉴스가 우리 눈앞에 나타납니다. 그런 엄청난 양의 뉴스가 당연하다고 느끼는 것이 일상이 됐습니다. 게다가 스마트폰을 비롯한 태블릿 PC 등의 기기가 보급되면서 더 많은 사람이 언제나 손쉽게 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되었죠. 인터넷에 굳이 접속하지 않아도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페이스..

2014. 10. 21. 13:18
스마트폰 게임을 내려놓고 책을 펼치게 도와준 읽기 멘토링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경고하는 이야기는 몇 년째 지속되고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학생들이 책이나 신문에서 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현상에 아주 유연한 변화를 이끌어내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바로 ‘다독다독 멘토링’입니다. 지난 7월부터 활동을 시작한 다독다독 멘토링은 대학생 멘토와 함께 청소년 멘티가 읽을거리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유익한 프로그램인데요. 그동안 멘토링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었는지, 멘토와 멘티들은 어떤 추억을 쌓았는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출처_ 다독다독 멘토링 페이스북 스스로 노력하는 멘티, 성장을 돕는 멘토 "방학 때는 심지어 하루 일과를 PC방이나 집안에서 컴퓨터를 하면서 지내기 일쑤였습니다." 실제 다독다독 멘토링을 하고 있는 이진형 멘티의 이..

2014. 10. 20. 13:00
책 안 읽는 사람도 빠져드는 ‘그림 소설’ 세 가지

출처_ 교보문고 최근에는 글자보다 시각을 자극하는 화려함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이런 사람뿐만 아니라 다른 어떤 사람들도 한 번 잡으면 내려 놓을 수 없는 책이 있습니다. 바로 매력적인 그림과 이야기가 어우러진 ‘그림소설’입니다. 빼어난 그림과 알찬 내용으로 책장에서 손을 뗄 수 없는 그림 소설 세 편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출처_ yes24 (좌) / 교보문고 (중) / 교보문고 (우) 마르셀 프루스트의 명작이 만화로 태어나다 – 만화 읽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프랑스의 소설가 마르셀 프루스트’하면, 대표적인 작품으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꼽습니다. 그가 1913년부터 1927년까지 14년에 걸쳐서 완성한 7권의 장편 소설이죠. 이 소설의 특징은 의식의 흐름을 따라가는 독특한 서술 방식을 보여줍..

2014. 10. 20. 09:00
생각을 모으면 창작이 보인다! 김중혁의 두 번째 창작의 비밀!

출처_ thebusinesshq 길을 걷다 보면, 갑자기 생각이 찾아올 때가 있습니다. 그 생각은 하나일수도 있지만, 한꺼번에 많은 생각이 쏟아지기도 하죠. 하지만 자신이 집중하면서 유지한 생각 외에는 바람에 흩어지듯이 사라지곤 합니다. 이렇게 수많은 생각은 지금도 우리 곁에 있습니다. 이런 생각에 관련된 기사가 있답니다. 바로 지난 포스트에서 소개해드린 한국일보에 연재되고 있는 김중혁 작가의 인데요. 이번에는 ‘생각의 발굴’이란 주제로 기사가 작성되었답니다. 함께 공유했으면 하는 기사 두 번째 시간을 시작합니다. 프롤로그에 이은 첫 회를 시작하자니 막막하기만 하다. 절대반지를 찾으러 간다는 둥 창작의 비밀을 캐내겠다는 둥 말은 그럴 듯하게 했지만 과연 어디에서 시작해야 할 것인가. 서머싯 몸의 명언이 ..

2014. 10. 17. 09:00
한글이 걸어온 길을 만나러 ‘국립한글박물관’으로

지난 10월 9일은 568돌 한글날이었습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 이후 많은 일이 있었는데요. 과거 한글은 ‘언문’이라 하며 천시받았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한글의 우수성이 강조되고, 지금은 한글과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들도 적지 않습니다. 이렇게 세계적인 문자가 된 한글을 기리기 위해 이번 한글날에 맞춰 ‘국립한글박물관’이 개관했습니다. 한글이 지나온 역사를 실물 자료 중심으로 재조명하고 한글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까지 바라볼 수 있는 소중한 공간이었습니다. 그래서 박물관에 다녀오고 나니 한글로 이 기사를 쓰는 사실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누구나 가면 한글을 사랑하게 되는 국립한글박물관을 만나볼까요? 한글의 과거부터 현재까지 – 한글이 걸어온 길 제가 방문한 날은 평일이..

2014. 10. 16. 13:00
출판계에 새로운 바람, 11월 시행되는 '도서정가제'란?

출처_ teachingtimes 요즘은 많은 사람이 책을 살 때 직접 서점을 가는 경우보다 온라인 서점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것은 할인 혜택을 더 많이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최근에는 더욱 할인 경쟁이 심해졌습니다. 특히 온라인 서점과 대형 서점을 중심으로 할인 행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것은 다가오는 11월 21일부터 ‘도서정가제’가 시행되기 때문인데요. 기존에 있었던 제도를 개선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답니다. 어떤 내용의 제도인지 그리고 현재 법과 어떤 내용이 바뀌는지 다독다독에서 알아봤습니다. 도서정가제의 시작, 불평등을 낳다! 도서정가제는 2003년 2월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무늬만 도서정가제’라는 비난을 들으며 출판계의 악순환으로 이어졌습니다. 처음 도서정가제는 온라인 서점의 ..

2014. 10. 15. 09:00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24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