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0)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읽기 독서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다독다독 신문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기자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책 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한국언론진흥재단 이벤트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1487)

  • 직장인의 애환이 담긴 <미생>, 드라마와 웹툰 속 공감 포인트는?

    2014.10.30
  • 에이즈 치료제 속 숨은 경제,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에서 찾아볼까?

    2014.10.29
  • 종류부터 보관법까지! 김치를 알면 김장 김치가 더 맛있다!

    2014.10.29
  • 아이들이 책을 안 읽는 이유? 어른들 때문입니다!

    2014.10.28
  • 정지영 교수가 들려주는 ‘어렵지만 읽어야 하는 이유’

    2014.10.28
  • 한국일보 ‘까톡 2030’, 젊은 독자를 도발하다

    2014.10.27
직장인의 애환이 담긴 <미생>, 드라마와 웹툰 속 공감 포인트는?

출처_ tvN 미생 최근 직장을 다니는 사람들 사이에 그 인기가 날로 늘어가는 드라마가 있습니다. 바로 인데요. 사회에 첫 발을 내딛은 장그래를 중심으로 같은 팀 상사들과 회사에서 벌어지는 에피소드를 그려내고 있습니다. 여기에 남들에게는 말 못하는 직장인의 애환이 녹아있는데요. 그래서 드라마를 보고 있으면 마치 자신이 겪는 것처럼 공감가고 자연스럽게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인생교과서’라 불리며 많은 사람에게 읽힌 윤태호 작가의 웹툰 ‘미생’을 바탕으로 만들어서 탄탄한 스토리는 물론이고 나오는 캐릭터도 유사해 금방 몰입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드라마는 물론이고 웹툰까지 궁금해지는데요. 오늘은 드라마 를 통해서 원작인 웹툰까지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_ 교보문고 (좌) / tvN 미생 (우) 내 자리 하..

2014. 10. 30. 09:00
에이즈 치료제 속 숨은 경제,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에서 찾아볼까?

출처_ 네이버 영화 현대를 사는 사람이라면, 영화라는 문화를 꾸준히 만나게 됩니다. 영화 속에는 판타지도 있고, 사람들이 닿지 못하는 영역의 상상력이 들어 있습니다. 또한, 현실을 세밀하게 녹여낸 작품도 만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영화 속에는 일상에서 만나는 경제, 정치, 사회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녹아 있죠. 이중에서 영화 속의 경제 이야기는 내용을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데요. 오늘은 영화 속의 숨은 경제 이야기를 알려주는 한국경제에서 연재되는 [시네마노믹스]를 소개합니다. 허가 받지 않은 에이즈 치료제의 공급처,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그러니까… 에이즈 양성반응입니다. 앞으로 30일 정도 남았습니다." 병원에서 의사의사의 말에 남자는 "내가 게이(동성애자)라고요? 다른 사람과 착각했을 거요."라..

2014. 10. 29. 13:01
종류부터 보관법까지! 김치를 알면 김장 김치가 더 맛있다!

출처_ 서울시청 맛있게 익은 빨간 양념의 배추김치, 아삭한 씹는 맛이 일품인 깍두기, 깔끔하고 시원한 국물이 일품인 동치미 등 김치 하면, 그 종류를 떠나서 한국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반찬입니다. 어떤 음식을 먹더라도 김치로 마무리할 만큼 김치 사랑이 가득한 한국에서는 늘 해마다 찾아오는 큰 행사가 있습니다. 바로 ‘김장’인데요. 가족끼리 모여서 배추를 소금에 절이고 배추 속을 만드는 일은 예나 지금이나 재미있는 추억거리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김치를 담글 때, 기왕이면 겨울 동안 맛있게 먹을 수 있도록 맛을 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는 것이 힘! 김치를 알아야 더 맛있게 김치를 담글 수 있겠죠? 그래서 오늘은 다독다독에서 김치에 대해서 알아봤답니다. 이 많은 종류가 모두 김치라고? 김치 하면 대부분 배..

2014. 10. 29. 09:00
아이들이 책을 안 읽는 이유? 어른들 때문입니다!

우리가 처음 책 읽기를 접하는 건 언제일까요? 지금은 기억마저 희미해진 아주 어린 시절, 부모님께서 읽어주신 책이 처음 우리가 접한 독서일 것입니다. 이제는 TV 속 모습을 통해 기억할 수도 있는데요. 최근 인기리에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보면 연예인 송일국을 비롯한 슈퍼맨 아빠들이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아이들과 책을 읽으며 보내는 시간은 아이의 정서 안정에 상당히 도움이 된다고 하지요. 이는 이미 과학적으로도 증명되어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들을 위해 꼭 실천하는 습관 중 하나라고 하는데요, 아이들과 함께 책을 읽는 아빠와 엄마의 모습들은 이제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흔한 광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독서의 자유를 보장해주세요 어린 시절 부모님의 다정한 책 ..

2014. 10. 28. 13:00
정지영 교수가 들려주는 ‘어렵지만 읽어야 하는 이유’

붉게 물든 단풍이 파란 하늘과 서로 다른 색으로 뽐내는 가을은 더욱 깊어집니다. 명사들의 읽기 습관을 들어보는 독讀한 습관 강연도 점점 깊이를 더하고 있는데요. 지난 10월 23일 여섯 번째 강연이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답니다. 이번에는 정지영 교수의 강연이 있었는데요. 정지영 교수의 여성학 강의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SBS, 교육개발원에서 선정하는 100대 명강의에 선정되기도 했답니다. 그녀는 다양한 질문과 생각을 공유하며 읽기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들려주었는데요. 다독다독에서 그 현장을 나가봤습니다. 유명하지만 읽기 어려운 책들 왜 그럴까? 처음 시작은 박준우 칼럼리스트의 팟캐스트 낭독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다음 주에는 서울이 아닌 광주 조선대학교 서석홀에서 10월의 마지막 강연이 있습니다. 그래서 ..

2014. 10. 28. 09:00
한국일보 ‘까톡 2030’, 젊은 독자를 도발하다

출처_ [까톡2030] 불금! 핫 플레이스 5곳 / 2014.07.08. / 한국일보 “우리, 까놓고 이야기해봅시다.” 누군가 이런 말을 던졌다면 대화 분위기는 어떻게 될까요. 묘한 긴장과 함께 논쟁(이라기보다는 말싸움)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독설이 오갈 수도 있고, 누군가는 마음이 상할지도 모릅니다. 복싱으로 치면 빙빙 돌며 아웃복싱 하지 말고, 제대로 붙어보자는 의미일 것인데요. 답답함을 풀자는 것이지만 그만큼 상처도 클 수 있습니다. 때문에 ‘까놓고 이야기해보자’는 건 사실상 상대방에 대한 도발이죠. 한국일보의 ‘까톡 2030’은 도발적인 지면을 만들어보자는 기자들의 생각에서 시작됐습니다. 갈수록 젊은 독자들을 인터넷에 뺏기고 있는 신문 제작 환경의 답답함을 풀어보기 위한 시도였습니다. ‘독..

2014. 10. 27. 13:00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 24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