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기자 공모전 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읽기 독서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계간미디어리터러시 NIE 다독다독 이벤트 신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1487)

  • 부부의 날, 사랑을 깊게 하는 마법 같은 ‘읽기와 쓰기’

    2014.05.21
  • AP, 로이터, 연합뉴스… 통신사와 신문사의 차이는?

    2014.05.20
  • 좋은 글을 쓰는 방법, 글에 붙어 있는 군살을 제거해라?

    2014.05.19
  • 현재와 무엇이 달랐을까? 과거 성년(成年)의 날 돌아보기

    2014.05.19
  • 찾고 싶은 도서관 ‘네이버 라이브러리’

    2014.05.16
  • ‘책 읽을 필요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논리 들어보니

    2014.05.15
부부의 날, 사랑을 깊게 하는 마법 같은 ‘읽기와 쓰기’

이미지 출처_ flickr by Valerie Everett 최근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2013년에는 결혼하는 사람의 수는 줄어들고 이혼하는 사람은 늘어났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몇 년 사이 이런 현상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것은 부부간의 행복이 여러 이유로 갈등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부부가 싸우는 이유는 같은 일을 놓고 해결하는 방법의 차이로 싸우게 되는 경우도 있고, 자기 생각을 배우자에게 강요해서 싸우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부부싸움의 원인 중에 가장 많이 꼽는 이유 중에 하나는 대화의 부족으로 생긴 갈등이라고 하네요. 아내는 남편에게 대화를 요구하지만, 남편은 대화를 거부하면서 생기면 오해와 문제를 낳습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랍니다. 그렇다면 갈등을 줄이고 서로 대화..

2014. 5. 21. 09:03
AP, 로이터, 연합뉴스… 통신사와 신문사의 차이는?

취재를 하고 기사를 쓰며 사건과 사고, 세상의 모든 일을 알리는 언론의 기능을 담당하는 곳은 국내에만 해도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이 있습니다. 중앙 언론사를 제외하고도 각 지역마다 대표하는 언론사가 있고, 특정 독자층을 겨냥한 전문지도 있고 그 종류도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여기서 신문과 방송, 인터넷 등을 통해 하루에도 수많은 기사를 발행하는 신문사, 방송국 등의 언론사는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신문사 외에 ‘통신사’라는 이름은 우리에게 다소 낯선 개념입니다. 통신사나 신문사나 똑같이 언론사로서 기능하는 것 아니냐고 할 수 있겠지만, 실질적인 개념과 하는 일 등에서 차이가 있는데요. 그럼 통신사와 신문사는 어떻게 다른지 다독다독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하나의 뉴스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어..

2014. 5. 20. 08:58
좋은 글을 쓰는 방법, 글에 붙어 있는 군살을 제거해라?

우리의 평소 글쓰는 습관을 들여다 보면 의식하지 못하고 하는 잘못 중 하나가 바로 필요 없는 단어의 남발입니다. 의미가 중복, 중첩 되기도 하고 어법에도 맞지 않기도 하고, 굳이 쓰지 않아도 되는 단어를 무의식적으로 쓰면서 글의 의미 전달을 어렵게 하곤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조금 더 군더더기 없는 글을 쓸 수 있는 비결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저녁을 먹었다. (그리고) 산책을 하려고 밖으로 나갔다.’ 여기서 ‘그리고’는 반드시 필요한 말이 아니며, 쓰지 않는 게 더 간결합니다. ‘그리고’는 거추장스럽게 보이고 간결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이죠. 이런 이유로 문장에서 ‘그리고’, ‘그런데’ 같은 접속사는 기피의 대상이 됩니다. 보도 문장에서 ‘그리고’, ‘그러나’, ‘그런데’ 같은 말은 그리 눈에 띄지 ..

2014. 5. 19. 11:01
현재와 무엇이 달랐을까? 과거 성년(成年)의 날 돌아보기

이미지 출처_ 경향신문 (2011. 05. 16) 해마다 이맘쯤이 되면 분주히 준비하는 기념일이 있습니다. 만 19세로 성인이 된 젊은이들에게 앞으로 사회를 이끌어 갈 자부심과 책임을 알려주고 축하하며 격려하는 날인데요. 바로 ‘성년(成年)의 날’입니다. 최근에는 쇼핑몰, 커피전문점 등에서 성년의 날을 맞아서 이벤트를 진행하죠. 성년을 맞이한 사람에게 장미, 향수 등의 선물 외에도 다양한 선물로 축하합니다. 학교를 비롯해 다양한 장소에서 성년을 맞이한 이들을 위해 성년식을 열기도 하죠. 그렇다면 과거에는 성년의 날을 어떤 모습으로 보냈을까요? 신문을 통해서 과거로 타임머신을 타고 가 그때에는 어떤 모습으로 성년의 날을 보냈는지 다독다독과 알아보시죠. ‘성년의 날’은 만 19세가 된 젊은이들에게 사회의 미..

2014. 5. 19. 09:04
찾고 싶은 도서관 ‘네이버 라이브러리’

Print PDF 읽기의 즐거움을 전하는 ‘다독다독’의 식구들은 주말이나 시간이 남는 평일이면 도서관에 방문하는 것을 즐기고 있답니다. 예전에는 공부를 하거나 책을 보러 가는 곳이었기에 편한 마음으로 방문하기가 어려웠지만, 요즘은 도서관도 일종의 시민들의 편의 시설이자 카페처럼 편안하게 오갈 수 있는 곳으로 인식돼가고 있죠. 하지만 도서관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는 여전히 답답하고 졸리기만 한 곳이라는 인식이 있는 것 같아요. 오늘 여러분에게 소개해드릴 도서관은 그런 분들이라도 두 눈이 번쩍! 뜨일만한 도서관인데요. 바로 국내의 인터넷 전문 기업 ‘네이버’에서 운영하고 있는 '네이버 라이브러리'입니다. 기업에서 운영하는 도서관이지만 모두에게 개방된 열린 도서관인 이곳은 무엇보다 기존의 ..

2014. 5. 16. 08:55
‘책 읽을 필요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논리 들어보니

인터넷 서점에서 도서 정보를 검색하다가 한 서평 코너를 들여다보게 됐습니다. 개인적으로 마음에 안 드는 한 베스트셀러에 대한 서평이었다. 서평 서너 개가 고작인 저의 책에 비해 백여 개 이상의 서평이 달려 있어서 질투심마저 들었습니다. 그래서 독자들은 이 책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눈에 들어오는 비판적인 서평이 있어서 그것부터 읽었습니다. 그 서평은 “정말 아무 내용도 없는 쓰레기 같은 책”이라는 혹평으로 시작하고 있었습니다. 속으로는 ‘아~싸’ 하는 마음까지 들었죠. 그런데 그가 내린 결론을 보고는 깜짝 놀라고 말았다. “저자가 쓴 이런 종류의 실용서적에는 아무 내용이 없다는 깨달음을 얻고 다시는 자기계발 관련 도서를 읽지 않겠다고 다짐했다”고 적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2014. 5. 15. 11:01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 24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