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7)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0)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교육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기자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미디어리터러시 신문 뉴스리터러시 스마트폰 독서 언론진흥재단 미디어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공모전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리터러시(592)

  •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1회 공모전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2020.06.19
  • 유튜브, 아동용 콘텐츠에 켜진 빨간불

    2020.06.17
  • 제1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현장 속으로 출발!

    2020.06.16
  • 언론과 시민이 함께 만나 미디어를 즐기는 놀이터

    2020.06.12
  • 오늘은 6월 6일, 제65회 현충일입니다.

    2020.06.06
  • 읽으며 역사속으로…진화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2020.06.05
제2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1회 공모전과 달라진 점이 있다면?

2회로 접어든 ! 1회 공모전과 비교해 어떤 점이 달라졌을까요? 일기장 내지 구성부터 출력 가능한 PDF 일기장까지! 변화된 점들을 확인하며 어떤 점을 유의해야하는지 알려드립니다. 1회 공모전에서 선정된 우수지도자 분들이 어린이부터 청소년,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에 대한 작성 꿀팁을 알려주셨습니다. 일기장 앞단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니, 뉴스일기와 함께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해 지도하실 때 참고해주세요! 2회 일기장에 새롭게 추가된 언론사/기사발행일/기자명 표기란을 작성하며 기사출처를 명확히 밝혀주세요. QR코드를 통해 기사 링크를 연결하여도 좋습니다. 1회와 마찬가지로 자유로운 글쓰기를 권장하니 아래 빈칸을 다양한 나만의 방식으로 채워주세요! 1회 공모전 때 준비된 일기장이 조기소진되어 아쉬워하신..

2020. 6. 19. 10:21
유튜브, 아동용 콘텐츠에 켜진 빨간불

미국의 강화된 ‘아동 보호 정책’ 미국 유튜브, 어린이 대상 콘텐츠 규제 강화 댓글·맞춤광고 등 금지, 유튜버에 책임 전가 논란도 지난해 9월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아동온라인개인정보보호법」에 근거해 유튜브에 거액의 벌금(약 2,050억 원)을 부과했다. 또 유튜브는 향후 아동용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에게도 새로운 규정을 적용하겠다고 발표해 전 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글 구본권 미국에서 유튜브에 거액의 벌금을 부과하고 아동 대상 유튜버들에게 새로운 정책을 적용하기로 함에 따라 기존처럼 아이들을 영리적 대상으로 삼아온 동영상 콘텐츠의 성장세는 꺾일 전망이다. 인기 유튜브 채널이 1인 미디어 환경에서 영향력과 수익성 높은 미디어 플랫 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강력한 어린이 보호 조처가..

2020. 6. 17. 18:57
제1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현장 속으로 출발!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해부터 국민들에게 뉴스 정보를 분별력 있게 이용하고, 올바른 뉴스 이용 습관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5월 8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시상식 현장을 소개합니다! 뉴스의 분별력 있는 이용과 책임 있는 활용, 올바른 뉴스 이용 습관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시작된 공모전은 9개월간 진행되었고, 진행 기간 동안 최소 30회 이상 꾸준히 일기를 작성해 제출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심사를 진행해 드디어 올 3월 23일 수상자를 발표했습니다. 공모전 시상식은 1부 토크콘서트, 2부 시상식 순으로 진행됐습니다. 토크콘서트에는 정준희 한양대 교수, 오대영 JTBC 기자, 이지상 중앙일보 기자 등의 전문가와 이번 공..

2020. 6. 16. 13:06
언론과 시민이 함께 만나 미디어를 즐기는 놀이터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 개관 미디어교육의 허브, 언론-시민의 배움터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서울시 중구 정동빌딩에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을 개관했다. 미디어교육원은 언론인 교육과 미디어교육 사업을 통합 수행하는 기관으로 뉴스‧정보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뒤섞이고, 사회적 소통 양상이 급변하는 상황에 대응코자 설립됐다. 글 박수종·신나라·안유미·원태경(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미디어교육원은 언론과 시민의 접점이 되어, 언론은 뉴스 생산자로서 미디어 환경과 미디어 소비 행태를 이해하고, 시민은 언론인과 함께 저널리즘을 복원하고 언론을 변화시키는 주체가 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원이 개관했다. 지난 5월 12일 서울 중구 정동빌딩 2층에서 열린 개관식 행사에..

2020. 6. 12. 13:28
오늘은 6월 6일, 제65회 현충일입니다.

순국선열과 호국영령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이 있었기에, 오늘날의 우리가 있습니다. 잊지않고 기억하겠습니다.

2020. 6. 6. 10:00
읽으며 역사속으로…진화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는 과연 신조어일까? ‘미디어 리터러시’ 용어의 역사와 개념의 분화·확장 ​​‘사회적 존재’ 인간에게 필요한 기본 능력 최근 들어 자주 사용되는 ‘미디어 리터러시’라는 용어는 현대 소셜 미디어 사회가 만들어낸 신조어가 아니다. 대중매체가 등장하면서 본격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라는 용어가 출발했지만, 특히 ‘리터러시’라는 개념은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 변화를 역사적, 학문적으로 살펴보았다. ​ 글 황용석 리터러시는 그 자체가 목적 개념이라기 보다는 수단적 개념임을 인식해야 한다. 이 용어를 효과적으로 쓰기 위해서는 ‘무엇을 위한’ 리터러시인가에 보다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진화하는 기술이나 표준화되고 제도화된 틀 안에 리터러시를 ..

2020. 6. 5. 15:23
1 ··· 70 71 72 73 74 75 76 ··· 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