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다독다독 미디어교육 언론진흥재단 뉴스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이벤트 공모전 신문읽기 기자 신문 NIE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62)

  • “의심하고 질문하라”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성평등 교육의 핵심 - 2부 -

    2021.12.17
  • [교사연수 수강후기]미디어리터러시 융합수업 관심의 나침반을 얻다

    2021.12.14
  • 2021 미디어 리터러시 가을호 발간 이벤트

    2021.12.09
  • 미디어리터러시 OX퀴즈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2021.12.02
  • 현실 속 여성 혐오는 외면,갈등의 원인을 ‘페미’ 탓으로

    2021.11.19
  • 지금 한국 미디어는 ‘젠더 갈등 증폭기’

    2021.10.29
“의심하고 질문하라”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성평등 교육의 핵심 - 2부 -

성인지 감수성 수업 송: 제 경우는 성폭력을 다루는 기사를 함께 살펴보는 수업을 했어요. 팩트체크의 맥락이 아니라 기사에서 사용한 표현, 삽화, 사진 같은 것이 어떻게 피해자 중심주의의 원칙을 벗어났는지 보도 원칙과 함께 살펴보았어요. 성평등한 관점, 성인지 감수성에 기반해 봤을 때 무엇이 문제인지를 같이 이야기 해보는 것이죠. 그렇게 이야기하다 보면 결국에는 아주 섬세하고 어렵고 복잡한 얘기지만 “우리는 결국 해야 돼”라고 결론이 나는 것이 있어요. 예를 들어 성범죄자에 대한 기사를 공부하면서 성범죄자는 우리와 매우 다른 특별한 존재인 것처럼 말함으로써 윤리적 감각과 상상력을 제한한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었어요. 가해자와 피해자의 성별 중 어떤 것을 밝히고 있으며, 어떤 효과를 낳는가. 남성이 피해자일..

2021. 12. 17. 19:31
[교사연수 수강후기]미디어리터러시 융합수업 관심의 나침반을 얻다

​ 경북 내성초등학교 주광혁 교사 ​ ​ 1. 미디어 시대의 관심법(觀心法) 지구의 역사가 지층과 화석에 기록된다면 인간의 역사는 어디에 남을까요? 미디어일 것입니다. 영상과 사진으로 우리의 시간을 저장하고 있지 않은가요? 저의 미디어리터러시에 대한 관심은 2012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정보통신윤리 선도교원으로 ‘소셜미디어 시대의 스마트한 시민되기’ 연수를 받았습니다. 당시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청소년들의 미디어리터러시가 강조되기 시작했습니다. 거의 십 년 가까운 시간이 지난 지금, 이전보다 미디어의 힘은 더 막강해졌습니다. 고려사에는 궁예가 얼토당토 않은 이유를 들어 죄 없는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른바 관심법입니다. 있지 않은 일도 공포와 협박에 사실이 되는 순간, 올바름은 ..

2021. 12. 14. 15:45
2021 미디어 리터러시 가을호 발간 이벤트

2021 미디어 리터러시 가을호가 발간되었습니다. 이제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모두 잘 알고 계시지요? 미디어 리터러시 웹진을 구독하고 꾸준히 즐겨보고 계신 여러분들을 위해 이벤트를 준비하였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진행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가을호 웹진 발간 이벤트를 소개합니다. 발간된 미디어리터러시 가을호 웹진의 기사 중 ‘○○의 미디어 사용이 자녀의 미디어 사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의 기사가 있었지요, 위 기사의 제목을 맞춰 주세요! 추첨을 통해 총 10분에게 굽네치킨 슈프림 시카고 딥디쉬 피자+ 고추바사삭+콜라 1.25L를 선물로 드립니다! 📌 이벤트 참여방법 📌 1. 2021 미디어 리터러시 가을호 읽기! https://www.kpf.or.kr/front/news/literDeta..

2021. 12. 9. 10:59
미디어리터러시 OX퀴즈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진행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OX퀴즈 이벤트! 모두 재밌게 즐겨주셨나요? Q. 뉴스나 기사를 볼 때 출처는 굳이 확인할 필요가 없다? 정답은 [ X ] 입니다! 제시되어 있는 사실의 근거가 명확한지, 신뢰할 만한 출처가 제시되어 있는지 꼼꼼하게 살펴봐야겠죠? ​ ​ 미디어 리터러시 OX 퀴즈!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추첨을 통해 총 10분에게 크리스피 크림 도넛을 선물로 드리기로 했었는데요 주인공을 만나보실까요? ​ ​ 한세온 / 탁가온 / 김미현 / 안지희 / Bohyun Sim ​ ​ @me2gether / @kitak.kim / @ssunnydaya / @hoyadiya / @uvlsy6 ​ ​ □ 이벤트 경..

2021. 12. 2. 15:14
현실 속 여성 혐오는 외면,갈등의 원인을 ‘페미’ 탓으로

안산 선수의 숏컷에 대해 “숏컷하면 페미 아닌가요?”라는 댓글이 달리면서 금메달리스트에 대한 ‘페미 논란’이 벌어졌다. 선수에 대한 마녀사냥 속에 온라인에서는 숏컷 인증샷, 안산 선수를 지키기 위한 해시태그 운동이 벌어지는 한편, ‘페미 선수의 금메달을 박탈해야 한다’는 청와대 청원과, “중요한 것은 ‘남혐 표현’”이라는 야당 대변인의 논평까지 줄을 이었다. 한국의 언론이 이를 ‘젠더 논란’, ‘젠더 갈등’, ‘남녀 갈등’으로 바라보는 동안, 외신은 이 문제를 여성에 대한 전형적인 온라인 학대로 규정했다. 같은 현상을 바라보는 전혀 다른 관점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갈등’ 속 숨은 진실 사전적 의미로 갈등은 ‘두 개 이상의 집단이 서로 이해관계가 달라 대립하거나 충돌을 일으키는 것’으로 균형/안정이..

2021. 11. 19. 16:15
지금 한국 미디어는 ‘젠더 갈등 증폭기’

6. 갈등을 풀고 신뢰를 북돋우는 토론장을 제공한다 윤리적 언론은 다양한 사회 집단과 세력이 자신들의 의사를 표현하고 소통함으로써 합의를 모색하는 공론의 장을 제공한다. 다양한 사람의 참여를 보장하고, 이들의 의견이 공정하게 전달되고 교류되도록 한다. 대립하는 관점과 주장이 표출되고 조정될 수 있는 토론장을 제공함으로써 사회가 갈등과 이질성을 조화롭게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윤리적 언론은 사회적 신뢰를 창출하고, 공동체가 믿음에 기초해 운영되도록 제 역할을 다한다. 진영 논리에 빠져 특정 세력을 편들거나 반대 세력을 과도하게 공격하지 않으며, 차이와 불화를 침소봉대해 갈등을 극대화하는 보도 태도를 지양한다.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는 시도에 대해서는 그 배경과 맥락을 파악해 비판적으로 전달한다. -한국기..

2021. 10. 29. 16:59
1 2 3 4 5 ··· 11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