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신문읽기 공모전 뉴스리터러시 독서 미디어교육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신문 언론진흥재단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이벤트 뉴스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신문(536)

  • 워런 버핏은 왜 IT업계에 투자하지 않는가

    2011.04.27
  • 기업이 원하는 사회 흐름 짚어내는 인재되려면?

    2011.04.26
  • 우리 시대 신문은 왜 '지상 최후의 미디어'인가

    2011.04.22
  •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는’ 온라인 뉴스의 문제점

    2011.04.18
  • 신문기사에서 터득하는 블로그 글쓰기 노하우는?

    2011.04.18
  • 방자전 김대우 감독이 말하는 Reader가 되는 방법이란?

    2011.04.12
워런 버핏은 왜 IT업계에 투자하지 않는가

여러분은 신문을 왜 읽고 계신가요? 보통 신문은 글쓰기 실력을 늘려주고, 다양한 관점으로 세상을 볼 수 있게 해주는 매체라고 많이 알고 계실듯 한데요. 그렇기 때문에 가장 다양한 독자를 가진 매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신문보다 인터넷을 통해 세상 소식과 정보를 얻고 있습니다. 또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종이신문을 들고 다니며 읽는 사람들이 줄어들고 있는 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신문은 요즘 세상의 흐름과 맞지 않는 매체일까요? 아닙니다. 도구마다 각자의 역할이 있고 쓰임새도 다르듯 신문은 신문만의 매력과 장점이 넘친답니다. 신문이 참 좋은 건 아는데 어떻게 설명할 방법이 없었다구요? ^^ 그래서 이번엔 신문만이 줄 수 있는 장점들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신문은 가..

2011. 4. 27. 13:23
기업이 원하는 사회 흐름 짚어내는 인재되려면?

신문 읽기의 중요성에 대해 칼럼을 의뢰받고 한참 고민했습니다. 사실 요즘 신문을 등한시하고 있기 때문에 양심에 찔렸기 때문이죠. 저도 한 때 언론사에 소속되어 하루에 10여종의 신문과 방송을 매일 몇 시간씩 몇 년간을 보았기 때문에 요즘의 공백은 좀 아이러니하기도 합니다. 요즘 신세대와 같이 대학생활을 하다 보니 나도 모르게 신세대물에 들어서 그런 것일까요? 아니면 워낙 디지털 미디어가 발전해서일까요. 사실 엄청난 디지털 매체 발전에 따라 신문 읽기의 필요성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추세입니다. 저는 블로그 매체라는 곳을 통해 매일 하루 한 개 이상의 글을 쓰고 있습니다. 지금 현재로는 제 역할이 콘텐츠 소비자로서의 생활뿐 아니라 콘텐츠 생산자로서의 역할이 더 중요해졌기 때문이기도 한데요. 어찌 보면 창피..

2011. 4. 26. 13:18
우리 시대 신문은 왜 '지상 최후의 미디어'인가

“장마가 그치면 햇살 뜨거운 날들이 오리라는 것을 알듯이, 그렇게 세상의 흐름을 환하게 알고자 원했다.……민주화가 실현되면, 올림픽이 끝나면, 대통령이 바뀌면, 네티즌의 세상이 되면, 상업대중문화가 아이들의 영혼을 빼앗는다면 세상이 어떻게 될까 나름대로 생각도 해보고, 예측도 해보려 했다. 그러나 그동안 나는 늘 잘 알지도 못하는 거대한 흐름에 휩쓸려서, 미래를 예측하기보다는 내가 있는 자리가 어딘지도 알기 어려웠다. 세상의 변화는 과속이었고, 과격하였다.” 1980년대 이후 세상변화를 지켜봐온 한 50대 지식인의 고백이 와 닿습니다. 문학평론가 이남호의 책 (생각의나무, 2004)에서 털어놓은 말인데, 대중사회로의 변동, IT 정보화 사회로의 이동 이후 사람들은 기꺼이 휴대전화의 노예가 되었습니다. 사..

2011. 4. 22. 13:36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는’ 온라인 뉴스의 문제점

대한민국 신문사의 연합체, 신문협회에서는 2006년부터 격년으로 신문이용에 관한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하는 ‘독자 프로파일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지난 2010년 세 번째 프로파일 조사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방식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이번 조사에는 종이신문뿐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뉴스 콘텐츠를 접하는 온라인 독자들까지도 집계에 포함시켰는데요. 모든 매체들이 디지털화되고 있는 요즘, 기존 종이신문의 위기가 오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무엇 때문에 신문의 위기가 찾아온 것일까요? 그런 물음에 대한 답을 얻고자 이번 신문 독자 조사는 기존의 포괄적 의견이나 태도를 묻는 여론조사 방식이 아닌, 개별 신문기사 및 광고를 독자들이 직접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했는데요. 신문 이용 행태와 관..

2011. 4. 18. 13:30
신문기사에서 터득하는 블로그 글쓰기 노하우는?

“블로그 글을 잘 쓰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블로그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이 흔히 하는 질문입니다. 개인 미디어라는 특성상 블로그 글이라 하면 ‘일정한 형식이 없는 자유로운 글’을 뜻했는데요. 하지만 블로그 문화가 어느 정도 정착단계에 접어든 지금은 일기처럼 가볍게 쓰는 글이 아닌, 어느 정도 정제된 글쓰기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포털사이트 메인을 장식하는 파워블로거들의 글을 읽어보면 전문기자를 능가하는 글솜씨와 논리정연함에 놀라게 되는데요. 그럼 이렇게 ‘읽을만한 글’을 쓰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이 글을 읽을까 말까? 리드문이 90%를 좌우해 최근 나오는 가요들은 대부분 클라이막스 부분을 도입부에 배치해 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노래를 다운 받기 전 30초 간의 미리듣기를 통해 이 노래를 구입할..

2011. 4. 18. 09:34
방자전 김대우 감독이 말하는 Reader가 되는 방법이란?

2011의 시작이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추위도 끝나고 따뜻한 봄이 시작되는 4월입니다. 연초에 세우는 계획 중 ‘독서’는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목표일텐데요. 혹시 새해 첫날 큰 맘 먹고 구입한 책이 지금 책상에 쌓여있지는 않나요? 우리나라 국민 10명중 4명은 한해 동안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더불어 신문 구독률 역시도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것을 보면, 요즘 우리는 무언가를 읽는 것에 소홀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막상 책을 읽으려 해도 피곤하다는 이유로,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처음엔 의욕에 넘쳐 읽던 책이 점차 손에서 멀어지던 경험, 다들 한 번씩은 있겠죠? ^^ 지난 4월 4일 의 세 번째 강연자, 책읽기라면 누구보다도 자신 있다는 다독의 왕 김대우 감독을 만나 진정한 Reade..

2011. 4. 12. 09:47
1 ··· 86 87 88 89 9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