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5)
-
신문계의 스페셜리스트, 전문신문 알아보니
지난 11월20일, 서울 프레스 센터에서 ‘2013 전문신문의 날 기념식’이 열렸습니다. 전문신문이란 특정 전문 분야를 깊이 있게 다루는 매체를 뜻합니다. 정부는 국가 사회 발전에 크게 기여한 전문신문 언론인의 사기 고양을 위해 매년 정부 포상을 실시해 오고 있습니다. 올해 대통령 표창은 평화 · 문화 · 교육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화광신문이 수상했습니다. 기념식에는 김종 문화체육관광부 차관, 언론계·학계와 관련 단체장, 전문 언론인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김시중 한국전문신문협회 회장은 기념사에서 "정부가 강조하는 창조경제의 핵심은 신뢰받는 콘텐츠에서 출발한다"며 "정부와 국회가 전문신문의 건전성과 각 산업분야의 여론 다양성을 위해 전문신문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이 지속적인 선진 ..
2013.11.26 -
IT에서 버섯까지 별별 전문신문의 세계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등등 주요 일간지들은 다독다독 여러분이라면 다들 알고 계시고 열독하고 계실 겁니다. 그런데 널리 알려진 종합 일간지 말고도 특정 분야 혹은 특정 직군을 위한 전문신문들도 많이 나오고 있답니다. 오늘은 다독다독과 함께 이런 전문신문에 대해 함께 살펴 볼까요? 특정 분야를 전문적으로 파는 스포츠, 경제, IT 전문지 [출처-스포츠서울닷컴 홈페이지] ‘신문’하면 경제, 과학, 사회, 스포츠 등 모든 분야를 한꺼번에 다루는 종합일간지에 익숙하시겠지만 특정 분야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전문지도 상당히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익숙한 것은 스포츠신문이겠지요. 스포츠조선, 스포츠서울, 스포츠동아, 일간스포츠 등 이름만 봐도 알 수 있듯 대부분이..
2012.12.27 -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디지털도서관 ‘디브러리’
요즘은 책과 신문, 잡지 같은 기존의 매체들을 모두 디지털로 즐길 수 있는 세상입니다. 이처럼 시대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들도 조금씩 변해가고 있는데요. 이런 도서관 중 우리나라에서 최대규모를 자랑하는 디지털도서관이 있습니다. 이름부터 디지털과 도서관을 합쳐 ‘디브러리’라고 하는 이곳은 공부에 지친 학생들이나 더운 여름 도서관의 북적이는 사람들에 지쳐 발걸음을 돌리는 많은 시민들에게 꼭 알려드리고 싶은 곳인데요. 미래의 도서관을 체험할 수 있는 이곳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결합된 정보광장 귀여운 인형이 반갑게 맞이하고 있는 이곳이 바로 ‘국립중앙도서관’의 디지털 도서관 ‘디브러리(Dibrary)’입니다. ^^ 이곳은 디지털과 아날로그가 결합된 첨단 정보광장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마치 ..
2011.07.05 -
온라인 환경, 뉴스의 특종 개념을 바꾸고 있다?
기자의 인생은 ‘쫓김’의 연속인 것 같습니다. 어렸을 적에는 방학 때마다 개학을 앞두고 방학숙제를 쫓기듯 ‘초치기’로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대학에 들어가면서부터는 본격적인 '쫓김'의 인생이 시작됐습니다. 대학에서 발행하는 신문을 만드는 대학생 기자가 되면서부터입니다. 비록 일주일에 한번씩 만드는 대학 학보였지만 마감 시간의 압박은 대단했습니다. 그러던 것이 대학 졸업 후 본격적인 신문기자의 길로 들어섰고, 매일매일을 마감과의 전쟁에 투입되는 ‘전사’가 되면서 쫓김의 인생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기사를 쓰면서 필요한 자료를 찾거나 취재원과 전화 통화 등을 하다 보면 마감 시간이 후딱 다가오고, 갑자기 생각이 막히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면 마음은 더욱 초초해집니다. 이때 회사 데스크로부터는 기사를 빨..
2011.05.27 -
종이 편집을 알아야 온라인 뉴스가 재미있어진다?
요즘은 뉴스와 정보에 대한 경계가 희박해진 상황이지만, 우리 사회에서 유통되는 가장 큰 정보의 리소스는 여전히 뉴스입니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다양한 방법으로 많은 뉴스를 소비하며 생활합니다. 온라인 및 모바일 접촉 환경이 크게 부각되면서 과거에 비해 종이나 방송으로 뉴스를 소비하던 때 보다 미디어 절대량은 훨씬 많아졌습니다. 매체가 다양해지고, 매체의 진입장벽도 거의 없습니다. 많은 신생 언론사들이 등장했고, 그리고 블로그-유튜브-트위터 등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무료로 게재하고 소비할 수 있는 공간이 확대됐습니다. 검색엔진은 잠재적으로 개방된 온라인 정보들을 모아 사용자들의 관심사를 실시간으로 중계하며 다시 확산시킵니다. 스마트 기기와 소셜네트워크의 등장은 이러한 변화에 촉매제가 됐습니다. 미디어 세..
2011.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