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NIE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다독다독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책 스마트폰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미디어 뉴스 신문 공모전 기자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90)

  • 최저임금의 대안, ‘생활임금’을 아시나요?

    2015.01.12
  • ‘미생’, ‘마녀사냥’, 인기 방송 트렌드는 유료방송 채널이?

    2014.12.31
  • 어린아이 같이 몰입하고 창작을 한다면?

    2014.12.31
  • '작전명 발키리'를 보며 떠오른 기억, 세월호 참사!

    2014.12.30
  • 알수록 특별한 나라별 새해 맞이 풍습은?

    2014.12.30
  • 새해 독서 계획! 숫자보다 내가 읽고 싶은 책으로

    2014.12.29
최저임금의 대안, ‘생활임금’을 아시나요?

출처_ 1인당 채무 5천만원 육박, 대출 인원 1050만 돌파…부채합계 487조 / 2014.12.15. / 조세일보 “전화로는 시급을 말씀 드리지 않는다.” “돈 벌기 위해 편의점 근무는 아닌 것 같다.” 새해 벽두부터 한 구인 구직 사이트에 올라온 편의점 아르바이트 모집 공고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구는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모집하면서 자칫 고용주가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주려 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는 최근 사람들 입에 많이 오르내리고 있는 단어 ‘열정페이’와도 문맥을 같이 하는데요. 열정페이는 대학생들의 ‘열정’을 구실로 무급 또는 아주 적은 임금을 주면서 그들의 노동을 착취하는 기업들의 행태를 비꼬는 말입니다. 이 같은 열정페이는 안타깝게도 편의점 같..

2015. 1. 12. 08:58
‘미생’, ‘마녀사냥’, 인기 방송 트렌드는 유료방송 채널이?

출처_ The New York Times 2010년, 한 유료방송 채널(케이블) 프로그램이 지상파 3사의 시청률을 넘어섰습니다. Mnet ‘슈퍼스타K’ 시즌2. 허각, 존박, 장재인 등 대중적 스타를 배출하며 18.1%의 최종회 전국시청률(닐슨코리아, 전국유료방송가구 기준)을 기록했습니다. 케이블 역사상 전무후무한 기록이었죠. ‘슈퍼스타K’의 스토리텔링에 시청자가 열광하자 지상파 3사는 앞다퉈 일반인 음악 오디션 장르를 가져왔습니다. ‘슈퍼스타K’의 성공은 유료방송 채널 프로그램이 지상파 프로그램을 압도한 첫 번째 사건이었습니다. 쫓는 자 신세 된 지상파 3사 서서히, 그러나 빠르게 유료방송 채널은 방송가의 트렌드를 주도하기 시작했습니다. 2012년 tvN은 군대시트콤 ‘푸른거탑’을 흥행시키며 20대 남..

2014. 12. 31. 11:00
어린아이 같이 몰입하고 창작을 한다면?

출처_ theconversation , 일곱 번째는 ‘어린 시절’, ‘몰입’ 그리고 ‘예술가’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어린 시절 자신이 하는 행동에 아무런 생각 없이 몰입할 수 있고, 그것을 닮고자 하는 예술가로서의 자세를 통해 어떤 창작의 비밀이 숨겨져 있는지 지금부터 확인해 보세요. 어째서 어떤 아이는 작가가 되고, 어떤 아이는 화가가 되고, 어떤 아이는 가수가 될까요? 무슨 이유로 어떤 아이는 책을 읽으면서 희열을 느끼고, 어떤 아이는 색연필을 쥐었을 때 더욱 몰입을 하고, 어떤 아이는 소리 내어 노래를 부를 때 가장 격렬하게 자신을 표현할까요? 오래 전부터 저는 그게 궁금했습니다. 주변의 환경에 원인을 찾아봐도, 유전적인 이유를 찾아봐도 아이들이 자라서 ‘어떤’ 어른이 된다는 건 아무리 생..

2014. 12. 31. 09:00
'작전명 발키리'를 보며 떠오른 기억, 세월호 참사!

출처_ 대구가톨릭대학교 어느덧 한 해가 저물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대한민국 사회를 되짚어보는 키워드를 하나 고르라면 ‘상실’이라 답하고 싶습니다. 뜻하지 않은 상실이 많았던 2014년이었던 듯싶습니다. 아직 현재 진행형이라 할 수 있는 세월호 사건은 많은 국민들에게 커다란 상실감을 주었지요. 2014년의 끝자락에서 다시 한 번 기억해보고 싶습니다. 영화 한 편과 함께 말입니다. 오래 전 히틀러 암살 작전에 실패한 독일 군인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입니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작품은 절망을 그리고 있습니다. 굳이 이 절망적인 이야기를 복원하여 요즘 관객들에게 보여주려고 했던 까닭은 무엇일까요? 영화를 보면서 해피엔딩이 아닌 새드엔딩을 구태여 리메이크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해보았습니다. 절망의 본..

2014. 12. 30. 13:00
알수록 특별한 나라별 새해 맞이 풍습은?

출처_ anyfoo / psdgraphics ‘시작이 반이다.’라는 속담처럼 무슨 일이든 시작이 참 중요합니다. 특히 한 해의 시작을 잘해야 일년을 알차게 보낼 토대가 되는데요. 이것은 대부분의 세계 사람들에게 공감되는 것이랍니다. 그래서 세계 곳곳에서는 새해를 맞이하는 독특한 풍습이 있습니다. 가까운 아시아부터 저 멀리 유럽까지 나라별로 어떤 풍습이 있는지 알아봤답니다. 아시아의 이색 새해 맞이 풍습 아시아에는 가까이 중국과 일본이 있습니다. 이 두 나라는 한국과 비슷하면서도 전혀 다른 풍습으로 새해 맞이를 합니다. 중국의 경우 ‘춘절’이라고 해서 음력 1월 1일에 큰 명절이 있습니다. 우리의 설날과 같이 중국인들에게 가장 큰 명절인데요. 가족들이 모두 모여서 불꽃놀이를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불꽃놀이..

2014. 12. 30. 09:00
새해 독서 계획! 숫자보다 내가 읽고 싶은 책으로

출처_ pixabay by SplitShire 새해가 시작되면서 많은 사람이 ‘새해의 목표’를 설정하면서 올해 이루고 싶은 꿈과 목표를 다시 한 번 더 다짐하는 시기가 바로 2015년 1월입니다. 지난 2014년을 되돌아보면서 ‘하고 싶었지만 하지 못했던 일’, ‘할 수 있었지만 게을러서 하지 못한 일’을 꼭 이번 2015년에 이루기 위해 각오를 다지는 시기이기도 하지요. 돌아보면 저도 지난해 잘 실천한 것도 있는 반면에 실천하지 못한 것도 있네요. (역시 다이어트는 어려워.) 그래도 10개의 큰 목표 중에서 6개는 실천했으니 스스로에게 박수를 보내며 격려했습니다. 그리고 한 해 동안 열심히 한 제 자신에게 칭찬하며, 저에게 맞는 계획을 세우는 중이죠. 그런데 사람들은 저처럼 해마다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

2014. 12. 29. 13:00
1 ··· 173 174 175 176 177 178 179 ··· 2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