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공모전 신문읽기 스마트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책 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NIE 뉴스리터러시 뉴스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기자 이벤트 신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1)

  • 미국을 떠들썩하게 한 책도둑, 스티븐 블룸버그는 왜 책을 훔쳤나?

    2015.01.27
  • 20대 대학생의 독서 운동 프로젝트, '책장난' 이야기

    2015.01.26
  • 빅데이터 저널리즘은 독자가 참여하는 소통 플랫폼으로

    2015.01.23
  • 극한 알바 VS 꿀 알바, 대학생의 겨울 아르바이트 선택은?

    2015.01.21
  •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달라진 점 알아보기

    2015.01.20
  • 표어를 통해 신문과 친해지는 시간, '신문의 날 표어 공모전'

    2015.01.19
미국을 떠들썩하게 한 책도둑, 스티븐 블룸버그는 왜 책을 훔쳤나?

출처_ pixabay (좌) / wightfishing (우) 요즘 지하철 풍경은 이어폰을 꽂고 스마트폰에 열중하는 사람이 거의 대부분입니다. 많은 사람이 사각형의 늪에 빠져 있는 셈인데요. 그래서인지 책을 읽는 사람들이 간간히 눈에 들어올 때면 무슨 책을 읽고 있을까하는 호기심이 생깁니다. 그만큼 책 읽는 사람을 찾기가 힘듭니다. 이렇게 생활 속에서도 책과 가까이 지내는 사람들이 점점 줄어들고 요즘, 우리에게 메시지를 던지는 책 도둑에 대한 이야기가 있답니다. 어떤 내용인지 다독다독에서 알려드릴게요. 미국의 쟁쟁한 도서관이 별볼일 없는 도서관? 어떤 아파트 단지에 보석만 전문적으로 훔치는 도둑이 있었습니다. 그 도둑이 잡히기 전까지 많은 집에서 보석을 훔쳤는데, 유독 몇 집만 피해를 보지 않았습니다. ..

2015. 1. 27. 09:00
20대 대학생의 독서 운동 프로젝트, '책장난' 이야기

출처_ abogadozgz 어느 날 평소와 다름없이 SNS를 하고 있던 김다독은 어떤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하나를 받았습니다. 호기심 가득한 김다독은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닌 것 같아 보여 책장난 프로젝트에 동참하고자 합니다. 1단계, ‘주변에 있는 아무 책이나 본능적으로 집어든다’…. 주변에 책이 없네. 최근에 읽었던 책이 없나? 최근에 읽었던 책이 뭐더라…. 책장까지 걸어가 아무 책이나 한 권 집어들고 다음 단계를 따라 갑니다. SNS에서 해쉬태그를 검색해보니 벌써 이천 개에 가까운 게시물들이 올라왔습니다. 주변 SNS 친구 중 한 두 명이 책장난 프로젝트 게시물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취지는 우선 좋아 보입니다. 도대체 이런 걸 누가 시작한 걸까? 왜 하는 걸까? ‘지’와 동거, 책장난의 시작 이 책장난..

2015. 1. 26. 09:00
빅데이터 저널리즘은 독자가 참여하는 소통 플랫폼으로

출처_ hypertext 2015년에도 인터넷의 고도화, 망의 진화, 인터넷 기반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저널리즘과 언론 영역에 계속적인 변화가 예상됩니다. 전반적인 쇠퇴에 직면한 신문업계는 빅데이터와 인터넷을 결합한 형태의 새로운 저널리즘 모델을 선보이고 있는데요. 몇 년 전부터 실험적으로 시도되어오던 노력들이 2015년에는 더욱 현실적으로 구체화되어 소정의 결실을 거둘 것으로 예상됩니다. 데이터 저널리즘의 진화 최근에는 데이터, 디지털, 모바일 저널리즘이 많은 관심과 기대 속에 새로운 형태의 시도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언론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포털도 자신들의 포털 저널리즘을 강화하면서 인터넷 생태계를 주도할 예정이죠. 게다가 방송사와 통신사들은 더 나아가 아직 초기단계인 로봇 저널리즘이나 알..

2015. 1. 23. 09:00
극한 알바 VS 꿀 알바, 대학생의 겨울 아르바이트 선택은?

출처_ 무한도전 트위터 얼마 전 겨울 방학 내내 아르바이트를 한다고 바쁜 티를 내던 사촌 동생을 만났습니다. 이 추운 날에 건물 외벽 청소하는 아르바이트를 했다고 하네요. 얼마나 추운지 상상도 못할 거라며 너스레를 떠는 동생 이야기를 들으니 얼마 전 한 아르바이트 전문 구인구직 포털에서 했던 설문조사가 떠올랐습니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겨울 방학 아르바이트’에 대한 설문이었는데요. 그 중에서 대학생들이 꼽은 겨울 극한 아르바이트와 꿀 아르바이트를 비교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겨울철 이보다 극한 알바는 없다! 대학생들은 어떤 아르바이트를 겨울철 가장 힘든 아르바이트로 꼽았을까요? 두꺼운 헬멧을 쓰고 빨간 통이 달린 오토바이를 모는 오토바이 배달 아르바이트가 1위로 뽑혔습니다. 겨울철 차가운 바람을 뚫고..

2015. 1. 21. 09:00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 달라진 점 알아보기

출처_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로 쉽게” / 2014.01.15 / 경기신문 1월이 되면 직장인들이 ‘13월의 보너스’라 불리는 연말 정산을 하게 되는데요. 올해는 그 동안의 연말 정산과 바뀐 점이 많아서 세금 폭탄을 맞지 않을지 걱정이 커져갑니다. 그래서 정부에서 달라진 내용을 확인하고 손 쉽게 정산에 필요한 내용을 조회할 수 있는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를 지난 15일부터 운영하고 있답니다. 어떻게 이용하는지 어떤 주의사항이 있는지 꼼꼼하게 짚어보겠습니다. 달라진 연말정산 항목 우선 어떤 내용이 올해부터 바뀌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다른 해에 비해 올해의 연말정산은 많은 것이 달라지기 때문이죠. 일단 월세공제 대상의 범위가 넓어져 기존의 총 급여 5000만원 이하의 무주택자 직장인에서 7000만원..

2015. 1. 20. 09:00
표어를 통해 신문과 친해지는 시간, '신문의 날 표어 공모전'

출처_한국신문협회(이하 출처 동일) 누구나 학창시절에 특별한 날을 맞이해서 표어나 포스터를 만들어봤습니다. 그래서 어른이 되어도 아이들이 포스터를 그려 가져오면, 그때의 추억 속으로 가곤 하는데요. 한국신문협회에서는 해마다 ‘신문의 날’ 행사로 공모전을 통해서 표어와 포스터에 대한 아이디어를 받고 있답니다. 올해도 59번째 신문의 날을 맞이해서 표어 공모전이 열리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살펴보겠습니다. 보는 재미를 더하는 ‘신문의 날’ 포스터 공모전 소식을 알려드리기 전에 이전 공모전에서 나온 재미있는 표어들과 포스터를 보고 가겠습니다. 모두 신문에 관련된 작품들인데요. 눈으로 보는 재미가 가득합니다. 독특하고 개성이 넘치는 작품이면서 그 안에 들어있는 문구도 보는 재미를 더합니다. 1. 학창시절이 떠오르..

2015. 1. 19. 09:00
1 ··· 170 171 172 173 174 175 176 ··· 29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