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21)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2)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다독다독 미디어교육 이벤트 스마트폰 신문읽기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NIE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미디어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기자 독서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91)

  • 뜨는 노래의 숨은 공통점, 우리가 몰랐던 ‘스토리’의 힘

    2014.07.29
  • 시사 퀴즈의 고수가 되는 지름길, ‘도전 뉴스왕’을 만나다

    2014.07.28
  • 공모전을 통해 알아본 ‘좋은 인포그래픽’ 조건

    2014.07.28
  • 2000년대 베스트셀러 도서, 지금과 얼마나 다를까?

    2014.07.25
  • 커리어코치 정철상이 전하는 '나'를 찾는 인터뷰 방법

    2014.07.25
  • 뉴욕과 홍콩이 국내로 옮겨오다! 송도 신도시 요모조모

    2014.07.24
뜨는 노래의 숨은 공통점, 우리가 몰랐던 ‘스토리’의 힘

출처_경향신문 트위터나 페이스북 그리고 유튜브 등 SNS에서 많은 사랑을 받는 콘텐츠 들의 공통점은 화려하고 놀라운 영상미나 숨을 막히게 할 정도의 미사여구가 있다는 것일까요? 물론 이런 요소가 콘텐츠를 더 빛나게 해주지만 대중들은 간결하면서도 힘이 있는, 사람을 끌어당기게 하는 이야기에 더욱 주목하곤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영상기술의 발달 속에서도 결국은 스토리텔링이 좋은 즉, 이야기가 있는 콘텐츠가 사랑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이야기의 힘이 최근에는 멜로디 중심이었던 대중가요에서도 주목 받고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우리가 느끼지 못하고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노래에 혹은 노래를 부른 가수에 담긴 다양한 이야기가 대중의 마음을 끌어당기고 있습니다. 어쩌면 디지털로 표현되는 음악에 따뜻한 감성을 담았..

2014. 7. 29. 09:03
시사 퀴즈의 고수가 되는 지름길, ‘도전 뉴스왕’을 만나다

최근에 지면으로 된 신문을 읽는 사람은 흔치 않습니다. 모두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듣거나, 채팅하고 영화를 보는 등 다른 활동으로 뉴스를 직접 보고 있는 사람을 찾기 힘든 것은 지면 신문을 읽는 사람을 찾는 것과 비슷합니다. 뉴스가 가진 ‘딱딱하면서 재미없다’는 인식이 사람들에게 있어서 가벼운 연애 소식이나 갑자기 떠오른 이슈 외에는 잘 보지 않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이렇게 뉴스가 사람들에게서 멀어지게 되자 사회 곳곳에서 일어나는 정치, 경제, 사회적인 내용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이 줄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뉴스가 매우 재미있고, 성취감을 주는 것일 수는 없나?’, ‘하루의 이슈를 매우 압축적으로 보여주면서도, 꾸준하게 관심을..

2014. 7. 28. 11:49
공모전을 통해 알아본 ‘좋은 인포그래픽’ 조건

출처_ flickr by John Meyer 최근 정보를 전달하는 목적으로 인포그래픽을 많이 이용합니다. 정보를 제공하는 사람과 받는 사람 간에 메시지를 더 확실하게 알리기 위해서죠. 이들은 서로 지식의 종류와 깊이, 사회•경제•문화 배경이 서로 다릅니다. 그래서 둘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일정 수준의 에너지가 발생합니다. 이것은 좋은 인포그래픽일수록 쉽게 전달됩니다. 반대로 나쁜 인포그래픽은 어렵게 전달되겠죠. 어떠한 형태로 변화시키는지에 따라 인포그래픽의 품질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저널리즘 영역에서 ‘좋은 인포그래픽’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여러 가지 근거로 설명할 수 있지만, 상당 수준의 권위를 가진 공모전에서 수상한 사례를 살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출처_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과 ..

2014. 7. 28. 09:03
2000년대 베스트셀러 도서, 지금과 얼마나 다를까?

출처_Flickr by ReneS 아날로그를 넘어 본격적인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었던 2000년대는 문화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던 시기입니다. 개인 여가에 대한 열망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도 점차 수면 위로 드러나면서 나의 삶과 남을 위한 삶에 대한 고민 그리고, 자기계발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던 시기입니다. 이런 시대의 모습은 베스트셀러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그럼 2000년대 베스트셀러 목록을 통해 우린 어떤 삶을 어떻게 살아왔는지 그 변화를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의 베스트셀러 목록을 보면 정말 다양한 장르의 책들이 상위권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 소설부터 역사서, 에세이, 여행책, 영어교재 등 딱히 현재 베스트셀러의 대세라고 할만한 책을 꼽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책들이 사랑 받고 ..

2014. 7. 25. 11:01
커리어코치 정철상이 전하는 '나'를 찾는 인터뷰 방법

출처_ flickr by David Goehring 많은 사람이 자기탐색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을 알아가는 일도 혼자서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습니다. 인간의 삶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진행되며 지극히 상대적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다양한 검사 도구를 사용해 도움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자아탐색을 완성하기는 어렵습니다. 개인적인 사색과 더불어 주변 사람들의 도움도 필요합니다. 대개 인간은 타인에게서 장점보다 단점을 먼저 봅니다. 그래서 칭찬보다는 충고를 많이 합니다. 대부분은 이 충고를 잔소리라고 생각해서 흘려듣거나 아예 들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물론 자신을 비평하는 말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오죽하면 이름만 대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존경받는 작가도 다른..

2014. 7. 25. 09:01
뉴욕과 홍콩이 국내로 옮겨오다! 송도 신도시 요모조모

뉴욕이나 홍콩과 같아 보이는 장소가 한국에 있습니다. 바로 인천에 위치한 송도 신도시인데요. 각종 드라마 및 예능 프로그램의 배경으로도 유명한 곳입니다. 최근에는 글로벌한 캠퍼스들과 GCF와 같은 국제기구들이 들어서게 되어 더욱 주목받고 있는 도시 중 하나랍니다. 그래서 오늘은 아는 듯 모르는 듯 숨어 있는 도시인 인천 송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송도는 경제자유구역으로서 나라에서 지정한 외국인 투자기업을 겨냥한 외국적인 환경의 도시로, 지정 구역을 정해서 외국 기업들의 투자를 촉진하며 국가의 경제 발전과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 취지로 설립된 도시입니다. 송도에 투자되는 외국 자본에는 특별법이 적용되어 무역이 더욱 자유롭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한국이 글로벌 국가로 거듭나면서 한국의 국제 교..

2014. 7. 24. 13:21
1 ··· 205 206 207 208 209 210 211 ··· 2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