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리터러시 책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기자 미디어 NIE 신문읽기 다독다독 독서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스마트폰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한국언론진흥재단(1789)

  • 신뢰 회복 위한 ‘공동 팩트체크센터’, 내일이면 늦으리

    2020.03.02
  • 게이머·게임 분석하며 글쓰기 늘고 자아성찰도

    2020.02.28
  • “미디어 교육 체계 세우고 정보도 공유”

    2020.01.30
  • 아이들이 안전한 온라인 세상을 위하여

    2020.01.22
  • 허위정보로 바뀌게 될 세상이 무서워요

    2020.01.15
  • 시민과 사회, 미래를 위한 리터러시 교육 필요

    2020.01.10
신뢰 회복 위한 ‘공동 팩트체크센터’, 내일이면 늦으리

‘지상파방송 뉴스 신뢰도 향상을 위한 협력 방안’ 토론회 지난 10월 23일 방송회관에서는 전국언론노동조합과 방송기자연합회, KBS, MBC 공동 주최로 ‘지상파방송 뉴스 신뢰도 향상을 위한 협력 방안-팩트체크 저널리즘 강화를 중심으로’란 주제의 토론회가 열렸다. 언론노조가 제안한 ‘지상파 공동 팩트체크센터’ 설립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뜻 깊은 자리였다. 토론회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글 송현준 (전국언론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 ‘지상파 공동 팩트체크센터’를 제안하는 이유입니다. 많은 정보가 생산되는 상황에서 언론의 기사 작성을 위한 ‘사실 확인’은 더욱 세밀해지고, 단단해져야 합니다. 특히,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지상파는 더욱 책임감을 느껴야 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언론사 내부의 갈등이야 늘 있..

2020. 3. 2. 11:00
게이머·게임 분석하며 글쓰기 늘고 자아성찰도

교과 연결 게임 리터러시 수업 부모님 눈을 피해가며 오락실에 드나들던 세대들의 게임과 오늘날 게임에 대한 정의는 완전히 다르다. 현재 게임은 청소년이 즐기는 가장 대표적 문화 활동이라고 한다. 영화, TV처럼 하나의 미디어로서 ‘게임’에 대한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이유이다.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 교과목과 게임을 연계한 수업도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니다. 글 이귀영 (전북 양현고 교사) 게임 문화 비평은 게임을 통해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는 활동이다. 게임 중독, 욕설, 현질 등 게임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 중 하나를 골라 자신의 생각을 쓰도록 했다. 사람들이 게임을 어떻게 이용하고, 게임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면서 성찰해 보는 시간이었다. 게임은 오늘날 청소년의 가장 대표적인 문화 활동1)..

2020. 2. 28. 18:00
“미디어 교육 체계 세우고 정보도 공유”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 창립 우리나라 미디어교육계의 오랜 숙원 중 하나가 학교 교육과정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포함되어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일 것이다. 그동안 자발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실천해온 교사들은 앞으로 관련 교육과정과 정책 수립에 교사들의 힘을 보태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아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KATOM)를 창립했다. 글 송여주 (카톰 회장·경기글로벌통상고 교사)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Korean Association of Teachers of Media Literacy, KATOM, 이하 ‘카톰’)가 지난 9월 22일 창립됐습니다. 우리나라 미디어교육의 탄생기인 1990년대부터 활동해 오신 선생님들부터 디지털 네이티브인 젊은 선생님들까지, 미디어 리터러시 ..

2020. 1. 30. 17:39
아이들이 안전한 온라인 세상을 위하여

세이브더칠드런 포럼 - ‘뉴키즈 온 유튜브’ 초등학생 장래 희망 1순위가 ‘유튜버’이고, 초등학생들이 검색할 때 네이버의 녹색창보다 유튜브 동영상을 더 선호한다는 사실은 새삼스러운 이야기가 아니다. 아이들의 세상은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에 더 기울어져 있는 듯하다. 아동들의 안전을 위해 활동하는 ‘세이브더칠드런’이 아동·청소년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과 관련해 포럼을 개최한 배경이기도 하다. 글 고우현 (세이브더칠드런 권리옹호1팀) 아동복지법상 ‘아동’은 만 18세 미만으로, 2019년 기준 2001년 이후 태어난 사람들이다. 2001년이면 싸이월드가 미니홈피 서비스를 시작한 해다. 그러니까 요즘 아이들에게 온라인 세상이란 태어날 때부터 있던 디폴트 값이다. 언론 단체도 아니고 IT 교육 단체도 아닌 아동 단체..

2020. 1. 22. 09:10
허위정보로 바뀌게 될 세상이 무서워요

성남 삼평중 ‘청소년 저널리즘반’ 활동 “지금의 뉴스 플랫폼은 너무 많은 뉴스와 어뷰징 뉴스로 혼잡해” 있으며, 따라서 앞으로는 “개인별로 맞춤 뉴스를 필요로 할 것.” 꽤 전문적으로 들리지만 이 말은 미디어 비평가가 아니라, 동아리 활동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받은 어느 ‘중학교 1학년생’의 날카로운 분석이다. 꽤나 매력적인 삼평중 동아리 ‘청소년 저널리즘반’의 수업 속으로 들어가본다. 글 조혜영 (미디어교육 전문강사) 청소년 저널리즘반 수업은 뉴스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균형 있는 시각을 함양할 수 있으며, 뉴스 이용자의 적극적인 태도를 이끌어내기 위한 과정으로 구성했다. 가장 중점을 두었던 부분은 지식정보 처리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을 키우는 것이었다. 경기도 성남 삼평중학교의 ‘청소년 저널리즘..

2020. 1. 15. 09:18
시민과 사회, 미래를 위한 리터러시 교육 필요

‘2019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국제 콘퍼런스’ 취재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은 지난 11월, 대학 언론인을 대상으로 ‘대학언론 저널리즘·미디어리터러시 워크숍’을 개최했다. 1) 본 취재기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등과 공동 개최한 ‘2019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국제 콘퍼런스’(11.28.~11.29.) 현장을 대학언론 워크숍을 수료한 참가자들이 취재하여 작성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주관한 “허위정보, 팩트체크, 미디어 리터러시” 세션은 언론 기관과 언론인이 말하는 이슈 그리고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관점과 현장을 공유했다. 언론이 전달하는 정보를 무조건 수용해 온 시청자 또는 독자의 입장에서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 1일차: 미디어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만나다 글 장두원(연세대 국어..

2020. 1. 10. 17:09
1 ··· 73 74 75 76 77 78 79 ··· 2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