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진흥재단(1775)
-
‘팩트’인지 한 번 더 확인할래요!
학생들의 눈으로 본 ‘제1회 청소년 체커톤’ 지난 10월 5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은 tbs교통방송과 공동으로 서울 에스플렉스센터에서 ‘제1회 청소년 체커톤’이라는 이색적인 이름의 행사를 주최했다. 해커톤, 메이커톤, 아이디어톤 등 특정 장소에 모여 팀 활동을 통해 과제에 대한 솔루션을 도출하는 대회를 OO톤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아졌다. 체커톤 역시 팀 단위로 팩트체크 하는 대회를 뜻한다. ‘제1회 청소년 체커톤’의 흥미로웠던 현장을 소개한다. 글 김경래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과장) ‘다음에도 대회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86%(94명)의 학생이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체커톤이 허위정보를 판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가’라는 질문에는 78%(85명)의 학생이 “도움이 된다”고 답변했습니..
2019.12.27 -
대학언론 신뢰 하락, ‘팩트체크’가 필요해
‘대학언론 저널리즘·미디어리터러시 워크숍’ 참가기 대학언론의 위상이 예전만 못하다는 소리가 들린다. 과거에는 학내 소식에 관한 가장 빠르고 믿을 만한 매체가 대학방송, 대학신문(학보)이었지만 최근에는 학생 수용자들이 많이 줄었기 때문이다. 더 좋은 뉴스를 만들기 위해 고민하는 ‘대학생 언론인’들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대학언론 저널리즘·미디어리터러시 워크숍’을 개최했다. 글 박은지 (연세대 교육방송국YBS 보도부장) 이번 ‘미디어 리터러시 워크숍’은 사실과 거짓 정보를 구별하는 것에 관한 청사진을 알려줬다. 더 나아가 리터러시 개념과 이론에만 국한하지 않고 실습과 체험 등으로 채워진 실무 경험은 일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게끔 해줬다. 학내 언론이 위기란 말은 예전부터 들어왔지만, 필자가 ..
2019.12.20 -
디지털 인류의 ‘필요조건’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2019 글로벌 MIL 주간 콘퍼런스’ 참관기 유네스코는 2011년 모로코 페스에서 열린 ‘제1차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와 문화 간 국제회의’를 계기로 이듬해부터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을 지정해 MIL, 즉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알리는 각종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9월 스웨덴에서 열린 유네스코 주최 ‘2019 글로벌 MIL 주간 콘퍼런스’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글 양정애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 예테보리대학의 울라 칼슨 교수는 기조발표에서 시민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정책은 정부, 시민사회, 학교, 미디어 기업 등 모든 관련 당사자들이 협업하는 가운데 이뤄져야 하며, 연구, 정책 결정자, 정치인들이 함께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지난 10월..
2019.12.13 -
국민일보, "유튜브만 보는 초딩, 차라리 TV봤으면..."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변화하는 뉴미디어 앞에서 올드미디어에 익숙한 부모님들은 자녀들을 어떻게 교육해야 할 지 갈피를 잡기 어렵습니다. 유해 콘텐츠에 노출될 것을 염려해 유튜브를 보지 못하게 막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죠. 아이들 스스로가 미디어를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이 필수적인 시대가 되었습니다. 기사 출처 : 국민일보 신은정 기자 국민일보 기사 보러가기 ▶ https://hoy.kr/aIKvi “유튜브만 보는 초딩, 차라리 TV봤으면...” 속 끓는 부모들 유튜브 공화국을 실감하는 요즘이다. 스마트폰 사용량이 늘면서 남녀노소할 것 없이 TV보다 유튜브를 찾는다. 동치미 담그기 같은 요리 정보부터 지지 정당 대 news.kmib.co.kr #유튜브 #속_끓는_부모들 #스마트폰 #미디..
2019.12.11 -
미디어오늘 , JTBC가 생각하는 '가짜뉴스'의 기준
지난 11월 28~2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미디어·정보리터러시(MIL) 국제 콘퍼런스가 열렸습니다. 세계 각지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종사자와 전문가들이 각국 미디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미디어 교육의 미래전략을 논의하는 자리였습니다. 29일 진행된 ‘[토크토크] 허위정보, 팩트체크, 미디어 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세션에서는 JTBC 오대영기자가 뉴스룸 팩트체크 코너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같이 보러 가실까요? 기사 출처 : 미디어오늘(금준경 기자) 미디어오늘 기사 보러가기 ▶ https://hoy.kr/q9ey5 JTBC가 생각하는 '가짜뉴스'의 기준 오대영 기자, “허위에 목적성 뚜렷하면 ‘가짜뉴스’”… “노회찬 운전기사 논란, 선제적으로 팩트체크 했어야” [미디어오늘 금준경 기자]..
2019.12.06 -
인류의 새로운 질병 ‘디지털 미디어 중독’
미디어 과몰입, 과의존 현상이란? 소셜 미디어나 온라인 게임에 깊이 빠져드는 청소년들을 향한 우려와 비난의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게임과 스마트폰에 몰두하는 원인이 아이들의 ‘의지 부족’ 때문만은 아닐 수 있다. 디지털 미디어와 콘텐츠에 지나치게 몰입하고 의존하는 현상을 제대로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과학적이고 심리학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소개한다. 글 구본권 (한겨레 미래팀 선임기자 / 《뉴스, 믿어도 될까?》 저자) 2019년 5월 세계보건기구(WHO)가 국제질병표준분류기준(ICD)을 개정해 2022년부터 게임 중독(게임이용장애 Gaming Disorder)을 공식질병으로 분류하기로 했다. 세계보건기구에서 전문가들의 오랜 논의를 거쳐 만장일치로 통과됐지만, 국내에서는 논란과 반대가 치열한 사안..
2019.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