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공모전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이벤트 NIE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미디어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교육 뉴스 신문읽기 기자 독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2326)

  • 대학생 선배가 추천하는 대학생활 추천 도서

    2012.12.24
  • 지금 당장 경제지를 구독해야 하는 이유

    2012.12.21
  • 신문 사설로 글쓰기 실력 키우는 방법

    2012.12.20
  • 어느 기자 초년생의 고백 들어보니

    2012.12.18
  • 세계적 석학이 제안한 ‘사랑의 기술’

    2012.12.17
  • 8개월차 새내기 기자가 꾸는 꿈

    2012.12.14
대학생 선배가 추천하는 대학생활 추천 도서

2012년도 시작한지 엊그제 같은데 벌써 코앞에 2013년이 와버렸네요. 엊그제만해도 싱그러운 벚꽃이 피어 꽃구경 다니랴, 학기 시작하랴 눈코 뜰 새 없었는데 이제는 2012년 잘 마무리하느라 눈코 뜰 새 없네요^^; 이렇게 눈코 뜰 새 없는 삶 속에서 내 자신을 뒤돌아보고 성찰하고 관찰할 기회는 점점 더 적어지게 되는데요. 새로운 해를 맞이하기 전 누구보다도 설레는 마음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있죠! 바로 얼마 전 수능이 끝나고 지금 한창 대학 원서를 넣고 있을 대학 후배 분들이야말로 어느 누구보다도 새로 맞이하는 해가 호기심과 설렘으로 가득 차 있을 거예요. 그런 대학 새내기 분들을 위해 대학선배들이 추천하는, 꼭 한 번씩은 읽어봐야 할, 대학생활의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주옥같은 책들을 몇 편 추천하고..

2012. 12. 24. 09:30
지금 당장 경제지를 구독해야 하는 이유

시대의 화두인 경제 들여다보기 종이신문만의 장점과 매력은 입에 침이 마르도록 들어오셨을 테니 오늘은 종이신문, 그 가운데서도 경제지를 꼭 챙겨 읽어야 하는 이유들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제신문을 이야기하려면 남녀노소 왜 경제를 주목해야하는지를 먼저 이해시키는 게 순서일 것 같네요. IMF외환위기가 온 나라를 휩쓸고 지난 지 어느덧 10년 이상의 세월이 훌쩍 지났습니다. 당시 멋모르던 고등학생이었던 저는 어른들이 왜 모이기만하면 경제이야기를 꺼내며 한숨을 쉬는지, 언론에서는 왜 연일 경제소식만 보도하는지가 의아했지요. 그저 나라가 많이 어려워 경제의 주권을 IMF에 넘겨주었구나, 라는 단편적인 사실들만 이해했을 뿐이에요. 어른이 되어갈수록 경제지식의 중요성을 피부로 느끼곤 합니다. 경제란 단순..

2012. 12. 21. 10:19
신문 사설로 글쓰기 실력 키우는 방법

공부를 잘 하려면? 이 땅의 모든 부모님과 학생들이 고민하는 문제일 텐데요. 정말 공부를 잘 하려면 무엇이 가장 먼저 필요할까요? 어려운 수학을 푸는 능력? 유창한 외국어 실력?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바로 국어 독해력입니다. 한국인이다보니 국어 독해력에 대해 우습게 보기 십상인데 의외로 국어 문장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학습이 부진한 아이들의 경우 머리가 나쁘거나 주의력이 부족하다기보다는 근원을 파고 들어가 보면 초등학교 저학년 때 한글을 제대로 익히지 못해서 문제와 답을 제대로 읽고 이해하지 못 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고 해요. 학습 지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공통 기초 학습력의 필수적인 밑바탕은 독해력이며, 이를 풍부하게 하기 위해서는 교과서 이외의 독서 능력을 길러야 한..

2012. 12. 20. 10:30
어느 기자 초년생의 고백 들어보니

입사 후 사건팀에 수습 배치를 받고 회식 후 불쾌하게 취한 얼굴로 방한복이 잔뜩 든 커리어를 끌고 택시에서 내려 경찰서로 들어가던 때가 생각납니다. 기자실에 짐을 내려놓고나서, 주문대로라면 형사계의 문을 ‘당당하게’ 열고 들어가야 하는데, 로비에서 저 철문까지 거리가 왜 저리도 먼지요. 세상에서 제일 외롭고 불쌍한 사람이 된 것 같았습니다. 욕하고 싸우고 아우성치는 사람들 틈에서 서니 ‘이런 세상도 있구나’싶었습니다. 입사지원서에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고 썼지만, 결국 ‘내가 아는 세상은 아무것도 아니었구나’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국방부 출입시절. 북한 연평도 포격 후 1년 연평부대 방문 취재 때 모습 수습 딱지를 떼고 배치받은 외교통상부를 첫 출입처를 배정받았습니다. 처음 외교부 당국자를 만나러 간..

2012. 12. 18. 14:28
세계적 석학이 제안한 ‘사랑의 기술’

우리는 누구나 사랑을 꿈꿉니다. 사랑스러운 상대를 만나 행복한 연애를 하고 마침내 사랑의 결실을 맺는 로맨스를 말이죠. 덕분에 서점가에서는 각종 로맨스 소설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연애지침서와 같은 자기계발서 역시 독자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랑에 대한 관심은 비단 현대인들에게만 해당되는 문제가 아니었나 봅니다. 고대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은 ‘완전한 것, 이상적인 것(이데아)에로 상승하려는 인간 영혼의 기본적 욕구’를 사랑이라 규정한 바 있습니다. 인간의 삶에서 가장 가치 있는 것이 바로 사랑이라는 것이죠. 이와 같은 사례처럼, 사랑이란 무엇인지 나름의 방식으로 정의하고자 했던 지식인들의 작업은 저 먼 옛날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겠네요. ‘사랑의 기술’이라는 제목의 비밀 이제 시..

2012. 12. 17. 09:21
8개월차 새내기 기자가 꾸는 꿈

“뭐니 뭐니 해도 바다는 늘 예상치보다 20%는 크니까. 마음으로 어지간히 크기를 그리고 가보아도, 그보다 20%는 항상 크다.” 일본 작가 요시모토 바나나의 소설 에 나오는 이 문장을 꽤 오래 전에 읽었다. 그리고 다시 볼 때마다 고개를 끄덕거린다. 바다가 늘 예상치보다 크듯, 삶 또한 늘 예상과 다르다. 합격 전화를 받는 장면을 여러 번 상상했다. 하지만 정작 그 순간, 덜컹거리는 전철 안에서 나는 여느 때보다도 담담한 목소리로 답했다. “아, 그래요?” ▲수습기간이 끝나고 찍은 수습기자 교육 명찰과 수습기자라 적인 명함. 뒤편의 취재수첩 5권은 수습기간 동안 쓴 것이다. 이 한 마디를 내뱉을 만큼 쉽게 ‘취업뽀개기’를 한 편도 아니다. ‘생명과학’이란 전공과는 동떨어진 길을 준비하면서 때로는 흔들렸..

2012. 12. 14. 10:10
1 ··· 278 279 280 281 282 283 284 ··· 38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