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7)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0)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공모전 언론진흥재단 기자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뉴스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신문 뉴스읽기뉴스일기 NIE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책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독서 스마트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2326)

  • 스마트폰과 뉴스 소비 경험

    2016.05.04
  • 당신은 캥거루족입니까?

    2016.05.04
  • 해외 영자신문, 어디까지 읽어보셨나요?

    2016.05.03
  • 지진대피 요령 미리 알아두기!

    2016.05.03
  • 기자의 신념 지킨 보도 역사의 흐름을 바꾸다

    2016.05.02
  • 나를 깨우는 한 줄 (4월 4주차)

    2016.04.29
스마트폰과 뉴스 소비 경험

국내 언론사들은 모바일 유통을 겨냥한 카드뉴스 제작을 강화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는 전국 스마트폰 이용자 1,02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뉴스 포맷 문자뉴스, 카드뉴스, 동영상뉴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온라인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장소 오늘날 스마트폰은 미디어 콘텐츠 소비가 이루어지는 주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스마트폰이 전통적 미디어 플랫폼과 다른 점은 이동성이다. 스마트폰은 간단히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폰 사용 시간대를 7가지로 나누어 설문조사한 결과 다른 매체와 비교하여 스마트폰 사용의 시간적 특징이 드러났는데 그것은 주기성의 소멸이다. 스마트폰 사용은 오후 12~3시와 저녁..

2016. 5. 4. 16:30
당신은 캥거루족입니까?

[요약] 성인이 되어서도 부모에게 얹혀살거나, 의존하는 ‘캥거루족’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캥거루족‘ 그것이 알고 싶다 성인이 되면 당연히 부모님으로부터 독립해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지금 혼자 살고 계신가요? 아니면 부모님과 함께 살고 계신가요? 대학을 졸업해 취직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취직을 하지 않고 부모에게 얹혀살거나, 취직을 했더라도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고 부모에게 의존하는 젊은 세대를 ‘캥거루족’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에는 ‘캥거루족’이 얼마나 될까요? 최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성인남녀 3천 57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귀하는 캥거루족 입니까?’라는 질문에 37.5%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3.7%로 제일 많았고 30대가 33.7%..

2016. 5. 4. 11:00
해외 영자신문, 어디까지 읽어보셨나요?

양승진 코리아헤럴드 기자 (부장)·주니어헤럴드 에디터 필자가 대학교를 다니던 시기에는 영어학습 자료가 매우 부족했습니다. 일단 스마트폰이 없었습니다! 인터넷이 있었지만 아직 초기 단계라 자료의 양이나 질이 지금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적었죠. 그래서 당시에는 와 같은 종이로 된 국내 영자신문이나 , , 같은 해외 시사주간지를 가지고 공부를 많이 했습니다. 이제는 인터넷을 통해 해외의 주요 영자신문 사이트를 방문해 온라인 기사를 쉽게 읽을 수 있는데요, 학습자의 관점에서 보면 어떤 해외 영자신문을 읽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있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제가 소속된 대학생, 직장인을 위한 , 초중등 학생을 위한 는 칼럼에 종종 등장하니 오늘은 소개를 생략하고, 주요 해외 영자신문을 몇 개만 소개하겠습..

2016. 5. 3. 17:00
지진대피 요령 미리 알아두기!

[요약] 일본, 에콰도르 연쇄 지진으로 ‘불의 고리’가 세계적으로 큰 이슈가 되며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알면 두렵지 않다! 지진 발생 시 응급상황 대처와, 대피요령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최근 연이은 지진 소식에 불안한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일본을 시작으로 에콰도르, 필리핀에서 규모 5.0이 넘는 강진이 발생하였습니다. 이 나라들은 공통적으로 환태평양 조산대, 일명 ‘불의 고리(Fire ring)’에 포함되는 지역입니다. 지구상의 지진·화산대 중 환태평양 조산대의 지진·화산 발생비율은 절대적인 수치를 차지합니다. 모든 지진의 90%, 규모가 큰 강진의 81%가 환태평양 조산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행히도 우리나라는 ‘불의 고리’ 중심부에서 벗어나 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해 있어 지진이..

2016. 5. 3. 12:00
기자의 신념 지킨 보도 역사의 흐름을 바꾸다

이재경,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의 글입니다. "크롱카이트를 잃으면 모두를 잃는 것" 1968년 2월 27일, 미국 CBS방송의 ‘이브닝뉴스’는 특별 방송을 보도했다. 월터 크롱카이트(Walter Cronkite) 앵커가 베트남에 직접 가서 보도한 ‘베트남으로부터의 리포트: 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왜?’라는 제목의 특별 방송이었다. 통신사 기자에서 전직해 CBS 저녁 뉴스의 앵커가 된 지 6년 만에 처음 시도하는, 크롱카이트의 입김이 강하게 투영된 보도였다. 이 보도 이후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 여론은 완전히 싸늘해졌다. 그만큼 월터 크롱카이트 보도의 영향력이 강력했었다. 크롱카이트 자서전을 보면 이 무렵 베트남 특별 리포트를 취재하는 과정의 고뇌가 잘 정리돼 있다. 제임스 슐레진..

2016. 5. 2. 09:17
나를 깨우는 한 줄 (4월 4주차)

평일 아침, 다독다독 페이스북에서 소개해드리는 '나를 깨우는 한 줄' 4월 4주차의 한 줄을 모았습니다. 네가 바꿀 수 없는 것을 가지고 괴로워하는 대신,네가 바꿀 수 있는 것을 가지고 고민해 보렴. 조단 소넨블릭『드럼, 소녀 위험한 파이』중에서 저녁 때돌아갈 집이 있다는 것 힘들 때 마음속으로 생각할 사람 있다는 것 외로울 때 혼자서 부를 노래 있다는 것 나태주『행복』중에서 책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훨씬 무서운 사물일지도 모릅니다. 그것은 인간을 감염 시키고,행동을 변화시키며,이성을 파괴할 수 있습니다. 김영하『읽다』중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은 날은 없다.우리는 지금 이 순간에도 내일을 향해 성장해 가고 있다. 안은영『여자 인생 충전기』중에서 기억해 둬! 여행할 때는 배낭이 무거우면 멀리 갈 수 없어!..

2016. 4. 29. 17:30
1 ··· 64 65 66 67 68 69 70 ··· 38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