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이벤트 뉴스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공모전 스마트폰 뉴스리터러시 NIE 다독다독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독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포스터 속에서 알 수 있는 뉴스 저작권의 가치

    2011.10.18
  • 신문지 수거함, 이런 디자인도 가능해?

    2011.10.18
  • 조선시대 ‘유성룡’과 희망멘토 ‘안철수’ 교수의 공통점

    2011.10.17
  • 내가 자원봉사를 결심하게 된 신문기사 제목

    2011.10.17
  • 시각장애인용 점자도서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1.10.14
  • 뉴스를 자기 방식대로 이용한 어느 사이비 교주 이야기

    2011.10.14
포스터 속에서 알 수 있는 뉴스 저작권의 가치

뉴스 저작권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저작권 보호에 대한 인식 확산을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과 문화체육관광부가 공동으로 주최했던 ‘뉴스 저작권 보호 동영상UCC 및 신문광고 공모전’의 수상작들을 지난 포스트를 통해 소개해 드렸는데요. 평범한 당신을 범죄자로 만드는 뉴스 저작권 동영상 보니 (바로가기) 트위터에 찍어 올린 지면기사 불법일까? (바로가기) 뉴스의 저작권에 대해 미처 인식하지 못하고, 잘 몰랐던 분들도 그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재미있는 작품들이었습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작품들은 동영상 UCC가 아닌 포스터 작품들입니다. 포스터 한장이 주는 강력한 메시지를 통해 그 속에 담긴 저작권의 소중함을 느껴볼 수 있는 작품들이 많이 있었는데요. 그 중 일반부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수상한 ..

2011. 10. 18. 17:04
신문지 수거함, 이런 디자인도 가능해?

평소 지하철 역사를 이용하다 보면 신문지 수거함에 각종 쓰레기들이 담겨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죠. 일반 쓰레기통과 비슷하게 생겨서 사람들이 착각하고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에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는 최근 역사에 새로 설치될 신문지 수거함을 대상으로 일반 쓰레기통과 구분 짓기 위한 디자인 공모전을 실시했었습니다. 톡톡 튀는 아이디어와 디자인으로 차별화된 수상작들을 함께 만나볼까요? 철제 프레임으로 일반 쓰레기 섞이지 못하도록 설계 신문지 수거함 디자인 공모전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공공시설물에 시민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반영하기 위해 마련한 것인데요. 지난 8월 22일부터 31일까지 총 91개 작품이 접수돼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최종 수상작으로 총 6편이 선정되었죠. < 최우수상 ‘Prison ..

2011. 10. 18. 13:24
조선시대 ‘유성룡’과 희망멘토 ‘안철수’ 교수의 공통점

얼마 전 미국의 일간지 ‘월스트리스저널(WSJ)’에 한국의 사교육 열풍이 1면 기사로 실렸는데요. 신문은 자녀 교육을 중시하는 한국의 문화를 소개하며 “학부모들의 자녀 교육열이 매우 강해 이를 누그러뜨리려는 정부 당국과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고 비유했죠. 자녀 교육 열풍은 비단 오늘날에만 화두가 된 것이 아닌데요. 조선시대에도 명문가들의 혹독한 자녀교육은 세간의 화제가 되었습니다. 평범한 자녀를 최고의 인재로 키워낸 비밀은 바로 독서 교육에 있었는데요. 독서 칼럼니스트인 이상주 씨의 책 을 보면 당대의 공부 환경과 독서 요령, 그리고 글쓰기 방법에 대한 폭넓은 사례가 담겨 있습니다. 율곡 이이의 공부법, ‘먼저 뜻을 세운 뒤 행하라’ 이이는 조선에서 유일하게 과거에 모두 장원해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

2011. 10. 17. 13:11
내가 자원봉사를 결심하게 된 신문기사 제목

“고독사(孤獨死)” 그 뜻은 알고 있으면서도 내게는 굉장히 생소한 단어였다. 고독사 문제는 신문이나 방송 매체에서 가끔씩 잊을 만하면 등장하는 이슈이기는 하다. 하지만 내 주변에서 이와 같은 사례를 접하기 힘들어 나와의 연관성을 찾기 힘들다고 여겼다는 사실을 고백하고 싶다. 어떤 기사 한 꼭지를 발견하기 전까지. 작년 가을쯤이었다. 여느 때처럼 아침 식사를 하면서 신문을 넘기는데 노인 고독사 문제에 대한 특집 기사를 우연히 마주하게 되었다. 일본과 국내 고독사 사례를 사고 수습 인력의 시각에서 생생하게 서술한 기사였다. ‘독거노인 지원책이 부족하다.’, ‘지역사회의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다.’와 같은 무의미한 외침들 속에서 한 줄기 빛을 본 듯했다. 고독사 현장에서 노인의 주검이 백골 상태가 되기까지 살아..

2011. 10. 17. 09:02
시각장애인용 점자도서 어떻게 만들어질까?

주의력이 깊으신 분들이라면 캔음료의 뚜껑 부위의 특이한 점을 발견해본 경험이 있을 것 같은데요. 작은 점들이 모여서 무언가 글자처럼 생긴 이것이 바로 ‘점자’라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콜라나 사이다와 같은 음료수에는 점자로 ‘음료’라고 써있다고 합니다. 맥주와 같은 주류와 구분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고 나니 사소하지만 따뜻한 배려가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우리 주변에는 알게 모르게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숨은 배려가 많은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런 점자는 그들도 우리와 똑같이 세상과 소통하고, 불편함 없이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죠. 세상을 이어주는 훌륭한 매체 중 하나가 바로 책입니다. 그래서 그들도 우리와 동등한 교육의 기회를 누리기 위해 점자도서가 만들어지고 있구요. 주변에서 쉽게 ..

2011. 10. 14. 13:05
뉴스를 자기 방식대로 이용한 어느 사이비 교주 이야기

능동적 VS 완고한 수용자-박범신의 [나의 손은 말굽으로 변하고] 현대 사회에서 사람은 직접적인 접촉과 경험만으로 살아갈 수는 없습니다. 세상은 너무 넓고 사건과 사물은 끝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미디어라는 매개적 기제를 통해 살아갈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죠. 그런데 사람들마다 미디어 또는 미디어의 내용물, 콘텐츠에 대한 이해와 이용, 소비에 있어 다양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때로는 그대로 믿기도 하거나 일부 내용을 선택해 소비하기도 하고, 다른 사람의 반응을 보며 선택해서 소비하기도 하고, 아예 전면적으로 거부하기도 하죠. 물론 뉴스의 소비에서도 이 같은 모습이 드러나기도 하고요. 이 글을 읽는 당신의 모습은 어떻습니까? 미디어에 따라, 미디어의 뉴스 형식과 내용, 주제에 따라 어떤 모습을 보일까요...

2011. 10. 14. 09:12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