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이벤트 다독다독 스마트폰 기자 뉴스 뉴스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미디어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공모전 책 NIE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 다시보기/이슈연재(1043)

  • 같지만 다른 듯, 세계의 지하철 문화

    2015.07.20
  • 술자리 게임, 어디까지 해봤니?

    2015.07.17
  • 애플워치로 다시 주목받는 '시리(SIRI)'

    2015.07.16
  • 우울한 독서통계, 그러나 현실은?

    2015.07.15
  • 성큼 다가온 모바일 TV 전성시대

    2015.07.10
  • 중국과 아프가니스탄의 교통 문화

    2015.07.09
같지만 다른 듯, 세계의 지하철 문화

*위 기사는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에서 운영하는 외국인 유학생 그룹 '아우르기'와 다독다독 대학생 기자단이 한국의 문화를 알리고 SNS로 소통하는 방법을 익히기 위해 함께 취재하고 작성한 기사입니다. 전 세계인들의 발이 되어주고 있는 ‘지하철’은 19세기 중반 영국에서 탄생했습니다. 이제는 지하철이 없는 세상을 꿈꾸기 어려울정도로 지하철은 생활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특히 서울의 지하철은 전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1~9호선을 다 합치면 331.9km로 세계 3위의 길이입니다. 게다가 공항철도, 분당선, 각 지역의 경전철까지 합치면 그 규모는 엄청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서울의 지하철은 세계 최고입니다. 한국의 지하철 문화도 마찬가지입니다. 청결하고 분위기 좋은 한국의 지하철. 이번에 한국에서 공부 중..

2015. 7. 20. 09:00
술자리 게임, 어디까지 해봤니?

*위 기사는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에서 운영하는 외국인 유학생 그룹 '아우르기'와 다독다독 대학생 기자단이 한국의 문화를 알리고 SNS로 소통하는 방법을 익히기 위해 함께 취재하고 작성한 기사입니다.“OO가 좋아하는 랜덤~게임! 무슨~게임! 아 신난다! 아싸 재미난다! 술이 들어간다. 쭉~쭉~쭉쭉~쭉~쭉~쭉쭉~” 어깨가 들썩들썩 하시나요?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 본 적이 있을텐데요. 어깨춤이 절로 나오는 이 노래는 술자리의 흥을 돋우면서 술자리 게임의 시작을 알리는 노래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술자리의 게임은 과연 한국에만 있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같은 듯 다른, 세계 각국의 술자리 게임 문화, 세계 각국의 친구들은 어떤 술자리 게임을 즐기고 있을까요?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는 유학생들로 구성된 아우..

2015. 7. 17. 14:00
애플워치로 다시 주목받는 '시리(SIRI)'

요즘 얼리어답터들 사이에서 가장 뜨거운 아이템은 당연 애플 워치입니다. 애플이 스마트폰으로 대박을 친 이후 오랜만에 나온 디지털 단말이며 소니, 삼성 등 많은 업체들이 웨어러블 기기 선두 주자로 시계를 선정하고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한 상태에서 애플은 어떤 모습을 보여 줄지 자못 궁금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애플 워치는 기술적으로만 봐라 본다면 이미 아이폰에서 사용한 기술들을 재활용했을 뿐 참신성은 부족합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에서 워치로의 플랫폼 변화에 따른 기술의 재해석은 큰 의미가 있을 거 같습니다. 특히, 재해석 가능성이 가장 많은 기술은 '시리'입니다. 아이폰에서 시리가 처음 등장 했을 때 언론은 크게 주목 했지만 아이폰 사용자 사이에서 시리는 한 두 번 사용 해 볼만한 ..

2015. 7. 16. 09:00
우울한 독서통계, 그러나 현실은?

“혹시 지금 읽고 계신 책이 있는지요?” 아니면, “읽고 싶은 책이 있는지요?” 만약 당신이 위 질문에 하나라도 답할 수 있다면, 당신은 그래도 독서에 관심이 있는 사람입니다. 독서에 관한 비관적인 통계가 워낙 많이 나와서 한번 쯤 질문해 봅니다. 줄어드는 독서량과 독서율 2013년 우리나라 국민의 연평균 독서량은 9.2권이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한국 성인 1년 독서량 조사 결과를 보면, 2008년에는 일 년에 11.9권 읽은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그 후 2009년 10.9권, 2010년 10.8권, 2011년 9.9권이었습니다. 점점 종이책을 읽지 않는 다는 것이 한눈에 보입니다. OECD조사에 의하면, 미국 사람은 한 달에 6.6권, 일본 6.1권, 프랑스 5.9권, 중국 2.6권을 읽었지만, ..

2015. 7. 15. 09:00
성큼 다가온 모바일 TV 전성시대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Comm. & Tech. Lab 소장/ 정동훈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매주 토요일 밤 11시 15분에 방영하는 MBC의 ‘마이 리틀 텔레비전(이하 마리텔)’이 인기입니다. ‘아프리카 TV’와 같은 개인방송 포맷을 지상파방송에 적용한 최초의 사례인데, 채팅방을 활용한 실시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도입함으로써 그 재미가 쏠쏠합니다. ‘마리텔’은 전국 시청률 7%대를 유지하며 동시간대 예능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포털사인 다음에서 방송하는 ‘마리텔’의 실시간 방송을 모바일로 시청하는 비율이 55%에 달한다는 것입니다. 모바일의 특성상 채팅창에 글을 남기는 비율은 떨어지겠지만, 실시간 방송에 55%가 넘는 시청자가 모바일로 접..

2015. 7. 10. 09:00
중국과 아프가니스탄의 교통 문화

우리는 하루에도 셀 수 없이 많은 도로를 건너고 수많은 신호등 앞에 멈춰섭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사람들이 교통 규범들을 서로 인식하고 지키기에 우리는 오늘도 안전하게 거리를 걸어 다닐 수 있는 거겠죠. 그렇다면 다른 나라들의 교통문화는 우리나라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팀 활동을 같이 했던 외국인 유학생 한국문화탐방단 ‘아우르기’ 의 중국인 멤버 3명(주청씨, 김설화씨, 신건씨)와 아프가니스탄 멤버(나심씨)의 도움을 얻어 두 나라의 교통문화와 우리나라의 교통문화를 비교해보았습니다. 원활한 이해를 돕고자 기사는 인터뷰 형식으로 구성했습니다. Q.중국과 아프가니스탄의 대중교통문화는 한국과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나나요? 중국 : 일단 한국은 중국에 비해 택시의 수가 너무 적어서 가장 놀랐고 좌회전 신호나 유..

2015. 7. 9. 14:00
1 ··· 26 27 28 29 30 31 32 ··· 174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