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책 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 이벤트 독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신문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미디어교육 신문읽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기후 위기 각성하고, 기후 정의 실천하는 시민으로 키우기

    2022.11.21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를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을 꿈꾸다

    2022.11.18
  • 기후 위기 시대!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국내 기후변화 보도의 개선 필요

    2022.11.18
  • <로니가 알려주는 뉴스읽기 TIP>

    2022.11.18
  • ‘기후 위기’, 출입처 상관없이 모든 기자가 다뤄야

    2022.11.16
  • 의심하라! 비교하라! 좋은 기사는 칭찬하라!

    2022.11.15
기후 위기 각성하고, 기후 정의 실천하는 시민으로 키우기

기후 위기 각성하고, 기후 정의 실천하는 시민으로 키우기 대담: ‘기후 위기와 학교 현장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교육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환경 생태 교육에 앞장서 지행일치의 환경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는 세 명의 교사와 대담을 나누었다. 전 지구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학생들과 함께 소통하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장서윤 (대전구봉고 교사) 기후 위기와 관련한 뉴스 기사를 지속적으로 제시하면서 기사의 내용을 분석하고 비판하는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틀을 마련해 준다.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며 기후 위기의 심각성을 깨닫다 보면 자연스럽게 실천의 과정으로 넘어갈 수 있다. 참석자 진행: 안계현 ..

2022. 11. 21. 17:57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를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을 꿈꾸다

제3회 영남 지역 중·고등학생 미디어 리터러시 공모전 미디어를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을 꿈꾸다 이지수(한국언론진흥재단 대구지사) 한국언론진흥재단 대구지사는 영남 지역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제고를 위해 ‘제3회 영남 지역 중·고등학생 미디어 리터러시 공모전’을 개최했다. 이번 공모전은 중등부, 고등부로 나누어 ‘지속가능한 성장’을 주제로 한 신문 제작 부문과 ‘건강한 지역 여론 형성’을 주제로 한 뉴스 바로보기 부문 중 1개 부문에 참여할 수 있었다. 신문 제작 부문에서 학생들은 지속가능한 성장이라는 주제에 맞게 탄소중립, 친환경 에너지, 저탄소 식단 등의 내용을 다뤘다. 구체적인 수치 및 그래프를 제시해 객관성을 높이고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뉴스 바로보기 부문에서는 개인 관심사를 반영해 환경 정..

2022. 11. 18. 17:00
기후 위기 시대!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국내 기후변화 보도의 개선 필요

✔ 기후 위기 시대!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국내 기후변화 보도의 개선 필요 영국 진보언론 , 2019년부터 ‘기후변화’ 용어를 쓰지 않기로 해 “앞으로 ‘기후변화’라는 용어 대신 ‘기후위기’ 혹은 ‘기후비상’이라 표현하겠다.” 의 캐서린 바이너 편집장은 기후변화라는 표현이 수동적이고 온화한 느낌을 준다며, 환경 위기 상황이 인류에게 재앙을 가져올 것이라는 과학자들의 견해와도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인류를 위협하는 기후 위기, 기후변화 보도에 대한 언론의 태도가 중요!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 이행을 약속한 환경 서약을 발표 지구 전체의 환경 이슈를 다루는 ‘퓨처 플래닛’ 섹션을 운영 환경 단체 등과 함께 ‘녹색영국혁명’ 캠페인을 진행 기후 뉴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기후자본’ 사이트를 운영 반면, 국..

2022. 11. 18. 11:34
<로니가 알려주는 뉴스읽기 TIP>

자! ‘뉴스읽기 작성 TIP GAME’을 시작하지🎮🕹 로니만 따라오면 더 나은 뉴스일기를 쓸 수 있다구~💡📙 한 단계 한 단계 전진하며 뉴스읽기 TIP을 강화하러 떠나자구~🏃🏻‍♀️🏃🏻‍♂️ TIP1 : 뉴스를 접하고, 뉴스정보를 기록하기 TIP2 : 뉴스를 정하고, 내용을 요약하기 TIP3 : 뉴스를 읽고, 느낀 점을 기록하기 모두 잘 따라왔지?🙋🏻‍♀️🙋🏻‍♂️ 앞으로도 로니가 알려주는 일기장 작성 TIP이 계속되니 모두들 로니만 따라오면 된다구! 금요일 업로드되는 카드뉴스는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 https://www.뉴스읽기뉴스일기.org 🌈인스타그램 :@kpf_medialiteracy 💡카카오톡 : '뉴스읽기뉴스일기' 채널에서 상담요청! 📞문의처 : 070-4128-27..

2022. 11. 18. 10:02
‘기후 위기’, 출입처 상관없이 모든 기자가 다뤄야

‘기후 위기’, 출입처 상관없이 모든 기자가 다뤄야 기후 보도의 질적 성장을 위한 대안 8월 수도권에 내린 집중호우와 9월 태풍 힌남노에 의한 포항 지역 침수 피해 등 이제 우리나라에서 기후 위기, 기후변화라는 말이 더 이상 낯설지 않다. 이러한 재난 상황을 신속히 보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시급하고 필요한 보도는 기후 위기의 원인과 대응 방법 등에 대한 지속적이고 심층적인 보도일 것이다. 기후 보도의 한계점과 대안을 현직 기자의 목소리로 소개한다. 최우리 (한겨레신문 기자) 기후변화팀이 있다는 이유로 다른 부서는 기존 관습대로 출입처 중심으로만 사고하며, 기후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있는 현실의 한계도 자명하다. 결국 출입처 중심으로 구조화되어 있는 편집국 시스템의 현실을 고려할 때, 이를 총괄하는 편..

2022. 11. 16. 09:57
의심하라! 비교하라! 좋은 기사는 칭찬하라!

의심하라! 비교하라! 좋은 기사는 칭찬하라! 기후 위기 보도 제대로 읽는 법 언론은 사실을 확인하고 진실만을 보도해야 한다. 그러나 적어도 기후 보도와 관련해서는 고개를 갸웃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기후 위기에 여러 사회, 정치, 경제적 이해가 얽혀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일반 독자로서 기후 보도를 접할 때 주의할 점은 무엇일까? 다섯 가지 핵심 비법을 소개한다. 정희정 (세종대 기후환경융합센터 연구위원) 공들여 쓴 기사가 주목받지 못하고 포털 사이트에서 질 낮은 일회성 기사와 똑같은 취급을 받다가 잊히는 일이 반복된다면, 너무 안타까운 일이다. 좋은 기사를 찾아보고 적극 응원하고, 더 널리 읽히도록 후원하는 독자가 많아질수록 질 좋은 기사도 늘어날 수 있을 것이다. 기후 위기는 인류의 미래를 ..

2022. 11. 15. 14:08
1 ··· 26 27 28 29 30 31 32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