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공모전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교육 신문읽기 책 언론진흥재단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다독다독 신문 스마트폰 이벤트 미디어리터러시 NIE 기자 뉴스리터러시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신문과 방송에 사용된 틀린 맞춤법 살펴보니

    2013.10.08
  • 몸의 인문학, 육체에 관한 아주 진지한 물음들

    2013.10.07
  • 영자신문으로 ‘영작 공포증’을 극복하는 방법

    2013.10.07
  • ‘굿닥터’ 박시온처럼 장애를 극복한 이들의 행복메시지

    2013.10.04
  • 10月 BIFF로 대동단결! 부산국제영화제 사용설명서

    2013.10.04
  • 개천절에 읽어보는 세계 각국의 건국신화 이야기

    2013.10.02
신문과 방송에 사용된 틀린 맞춤법 살펴보니

세종대왕과 한글 창제를 다룬 픽션이었던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는, 첫 회부터 글을 읽지 못해 억울하게 모략에 이용당하고 죽어가는 무지렁이 백성들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또다시 글을 읽지 못해 억울하게 맞아 죽은 아버지의 유언조차 스스로 읽지 못하고 분노와 증오에 빠져드는 아들을 보여주었고요. 하지만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로 이제는 읽지 못해 억울하고, 쓰지 못해 눈물짓는 일이 더 이상은 없어졌습니다. 모든 백성이 평등하게 자기 생각을 밝힐 수 있도록 해준 고마운 한글. 올해는 세종대왕의 한글 반포 567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고맙고 훌륭한 글자를 선물 받은 우리는 한글을 제대로 가꾸고 사용하고 있을까요? 오늘은 신문기사와 방송조차도 오용하는 한글에 대해 알아볼게요. [출처 - SBS] 잠시..

2013. 10. 8. 09:53
몸의 인문학, 육체에 관한 아주 진지한 물음들

최근 재미있는 책 두 권을 발견했습니다. 가장 본능적이고 원초적인 물음들, 즉 내 몸에 관해 떠오르는 진지한 질문들에 오목조목 답해 주는 책들을 만난 것이지요. 생각해보면 인체는 참으로 묘한 녀석입니다. 나면서 죽는 순간까지 나를 따라다니고 또 나를 규정하지만 정작 나 자신은 내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 잘 모른다는 점에서 그렇습니다. 내 얼굴을 나만 볼 수 없다는 점과 마찬가지로 아이러니하기 짝이 없죠. 그런 의미에서 인체는 경이롭고 흥미로우며, 생소하기 짝이 없습니다. 우리 몸에 숨은 특별한 지식들 우리가 우리 몸에 얼마나 무지한가는 아이가 태어나고 더듬거리며 말을 익혀 질문을 던지는 순간 더욱 확연해진다고들 합니다. 모든 것이 새로운 아이들은 간혹 생각지도 못했던 질문들을 마구 퍼붓습니다..

2013. 10. 7. 13:28
영자신문으로 ‘영작 공포증’을 극복하는 방법

▲writing이라는 단어만 봐도 불안감이 생긴다면… 실용적인 영어의 중요성이 최근 더욱 강조되면서 이전의 독해와 문법 위주의 영어교육에서 회화와 영작에 좀 더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영어로 글을 써야 할 경우 불안감이 앞서기 마련입니다. 영어로 글쓰기는 사실 초보자뿐만 아니라 상당한 영어실력을 갖춘 사람도 쉽지 않은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막상 큼 마음을 먹고 영작을 해보려고 하면 영작이 힘든 이유만 생각이 납니다. '한글로도 글을 쓰기 어려운데 영어로 글을 어떻게 쓸 수 있지?''나는 남들처럼 해외연수도 다녀오지 못했는데 어떻게 영작을 하지?''나는 영어 문법과 단어도 부족한데 영작은 멀었어…''일단 토플 성적이나 제대로 받아 놓고 나중에 영작을 공부할거야.'‘영자신문도 ..

2013. 10. 7. 10:12
‘굿닥터’ 박시온처럼 장애를 극복한 이들의 행복메시지

동생 톰크루즈와 서번트 증후군을 앓고 있는 형 더스틴 호프만의 여정을 통해 형제간의 우애를 보여줬던 영화였죠. ‘레인맨’은 자폐증 환자나 서번트 증후군에 대한 인지가 부족했던 1980년대 말 우리나라에 개봉되어 큰 흥행을 거두었습니다. 서번트 증후군이란 발달장애, 정신지체, 자폐증 등 정신 장애를 가진 사람이 특정 분야에 경이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출처 - 서울신문] 2013년 여기, 서번트 신드롬을 겪는 천재의사가 있습니다. 바로 KBS드라마 ‘굿닥터’의 박시온! 자폐를 극복하며, 의사가 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인물을 그리는 ‘굿닥터’가 지금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데요. 박시온은 자폐 3급과 서번트 증후군을 진단 받은 천재적인 암기력과 공간지각능력, 그리고 전문가 뺨치는 그림실력을 ..

2013. 10. 4. 13:11
10月 BIFF로 대동단결! 부산국제영화제 사용설명서

부산, 참 매력적인 도시입니다. 여름에는 푸른 바다가 손짓하는 도시라면 가을에는 영화와 낭만이 함께 공존하는 도시죠. 어제 10월 3일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제 18회 부산국제영화제가 막을 올렸습니다. 영화제 전부터 많은 시네필들의 기대를 샀던 부산국제영화제! [출처-부산국제영화제 홈페이지] ‘전주국제영화제’와 ‘부천판타스틱영화제’와 함께 국내 3대 영화제로 꼽히는 부산국제영화제는 단연 대한민국 대표 영화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96년 우리나라 최초 영화제 막을 올렸던 부산 국제 영화제가 올해로 18번째 행사를 맞이했습니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영화제인 만큼 행사 안에 속속 숨은 재미가 다양하다고 하는데요. 오늘 10월의 시작을 함께하는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해 낱낱이 파헤쳐 볼까 합니다. 10월 ..

2013. 10. 4. 10:37
개천절에 읽어보는 세계 각국의 건국신화 이야기

내일은 4345주년을 맞이하는 개천절입니다. 우리는 단순히 민족국가인 단군조선의 건국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로 알고 있는데요.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단군조선의 건국일을 뜻한다기보다, 이보다 123년 소급하여 환웅(桓雄 )이 천신(天神)인 환인(桓因)의 뜻을 받아 처음으로 하늘문을 열고 태백산(백두산)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홍익인간(弘益人間)·이화세계(理化世界)의 대업을 시작한 날로 보는 것이 더욱 타당성이 있다고도 말하네요. 나라의 창건일이자 한민족이 태어난 각별한 날이죠. 우리나라의 건국신화, 단군신화! 단군신화에 관련된 이야기는 어릴 적부터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곰과 호랑이, 마늘과 쑥은 어릴 적 그림동화 속에서 늘 등장하던 인물이었고 나라의 탄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던 걸로 기억됩니다. ..

2013. 10. 2. 13:53
1 ··· 363 364 365 366 367 368 369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