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20)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NIE 독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이벤트 미디어리터러시 뉴스리터러시 공모전 기자 미디어 신문읽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 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미디어교육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20)

  • 2014 수능, 신문에서 찾아본 수능일 사건사고

    2013.11.07
  • 3인 3색, 한국언론진흥재단 신입사원이 들려주는 입사 스토리

    2013.11.06
  • 대중을 낚는 기사, ‘옐로우 저널리즘’이란?

    2013.11.06
  •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스마트한 심리학 사용법 <심리학 나 좀 구해줘>

    2013.11.05
  • ‘기황후’, 역사 왜곡인가 아니면 노이즈 마케팅인가?

    2013.11.05
  • 인터뷰 기사를 활용한 영자신문 스터디 노하우

    2013.11.04
2014 수능, 신문에서 찾아본 수능일 사건사고

“아..수능 날 잊을 수가 없죠. 전날부터 많이 긴장했나봐요. 거의 잠을 자지 못하고 시험장에 갔는데 속이 메스꺼워 참을 수가 없었죠. 참다 참다 1교시 직전 감독 선생님께 사정사정해 화장실로 달려가 다 토해냈어요. 이제 좀 괜찮을까 싶었는데 시험이 시작되고 언어영역 듣기 평가 중간쯤 되었을까 도저히 참을 수가 없었죠. 결국 그 자리에서 다 토해냈어요. 듣기 평가 중간에! 생각해보면 주변 친구들에게 미안하죠. 저 때문에 2~3문제는 놓쳤을 텐데.. 원하던 대학은 못 갔지만 그게 꼭 그 사건 때문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뭐, 세상 사는 게 다 그런 거죠! ” [출처 - 서울신문] 날씨가 쌀쌀해질 무렵, ‘그 날’은 어김없이 다가옵니다. 바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날이죠. 그래서 일까요. 괜히 수능..

2013. 11. 7. 10:17
3인 3색, 한국언론진흥재단 신입사원이 들려주는 입사 스토리

또 한 번의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름하야 취업전쟁! 하반기 공채공고가 올라오는 지금, ‘스펙’이라 일컬어지는 것들을 무장한다면 이 전쟁 속 승리를 거머쥘 수 있을까요? 하지만 요즘은 과도한 스펙보다 ‘자신만의 이야기’를 가진 구직자들을 선호한다고 하는데요. 많은 사람들이 의미 없는 스펙 쌓기에 열을 내고 있을 때,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아 꿋꿋이 걸어온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는 것이죠. 자신만의 이야기를 갖고, 신문과의 인연을 통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식구가 된 신입사원! 다독다독이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 현장에서, 그리고 이젠 언론의 뒤에서 ”- 미디어교육팀 서리나 사원 - Q. 간단한 자기소개와 속해 있는 팀을 소개를 해주세요. 산업진흥실 미디어교육팀에서 일하고 있는 서..

2013. 11. 6. 13:41
대중을 낚는 기사, ‘옐로우 저널리즘’이란?

옐로우 저널리즘이란 원시적 본능을 자극하고 호기심에 호소하며 흥미 주위의 보도를 함으로써 선정주의적 경향을 띠는 저널리즘 형태를 말합니다. 자극적인 사진 혹은 장면을 앞세우거나 대중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기사 제목을 붙여 가십거리의 기사를 만들어내는 것이지요. 종종 ‘낚시성 기사’에 비유되는 옐로우 저널리즘은 요 근래에 들어서 새로 생긴 신조어로 착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닙니다. 옐로우 저널리즘은 19세기 말 ‘뉴욕월드’지에 연재 중이던 옐로키드(Yellow Kid)'란 연재만화의 주인공의 이름을 따와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황색신문으로 불리기도 하는 옐로우 저널리즘. 오늘은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 옐로우 저널리즘이 어떻게 유래되었고, 현재 우리 사회에 어떤 의미를 시사하고 있는가에 ..

2013. 11. 6. 10:44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스마트한 심리학 사용법 <심리학 나 좀 구해줘>

모르긴 몰라도 우리는 인생의 상당 시간을 타인과 자신의 마음을 헤아리는데 사용할 것입니다. 나이, 연륜, 재산, 학력과 내 마음을 들여다보며 이해하는 일은 전혀 무방한지라 많은 사람들이 ‘내 속에 있지만 내 것 같지 않은’ 마음을 어려워합니다. 나를 알기도 이토록 어려운데 하물며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기란 얼마나 힘들까요. 그래서일까요? 언제부턴가 ‘마음읽기’를 안내해주는 심리학 서적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심리학이란 단순한 추측이 아닌 숱한 연구와 자료를 통해 입증된 결과이기에 타인과 나 자신을 이해하기위한 현명한 지침이 될 수 있죠. 비슷한 상황에 처했던 과거 수백만 명의 삶에서 찾아낸 마음의 법칙이기 때문입니다. 살다보면 문득, 아니 자주 이런 것들이 궁금해지곤 합니다. 모두 실생활과 밀접한 ..

2013. 11. 5. 13:06
‘기황후’, 역사 왜곡인가 아니면 노이즈 마케팅인가?

지난주부터 블록버스터급 드라마가 방영중입니다. 블록버스터란 영화계에서 큰 흥행 수입을 위해 엄청나게 돈을 들여 만든 대작을 뜻하는 말인데요. 이제는 영화 스크린만이 아닌 안방극장에서도 대작을 접할 수 있게 되었네요. 바로 고려판 ‘신데렐라’라고 불리는 ‘기황후’를 통해서입니다. [출처 - MBC] 실존인물인 ‘기황후’는 원나라에 공녀로 끌려간 고려의 여인이었습니다. 그런 그녀가 원나라 황후로 등극하게 됩니다. 드라마는 그녀가 공녀에서 황후가 되기까지의 모습을 담을 예정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녀의 생몰 연도조차 정확한 사료가 없다는 것. 여기서부터 이 드라마의 논란이 시작됩니다. 드라마적 요소가 가미될 수밖에 없는 사극은 늘 논란의 대상입니다. ‘기황후’도 마찬가지인데요. 정보가 부족한 ‘기황후’는 방영..

2013. 11. 5. 10:32
인터뷰 기사를 활용한 영자신문 스터디 노하우

▲ 영자신문 1면을 거의 차지 하는 주간 기획 인터뷰 기사 [바로가기] [출처 - 코리아 헤럴드] 인터뷰는 다른 기사에 비해 까다롭고, 많은 준비 작업이 필요합니다. 인터뷰 자체도 쉽지 않고 기사를 쓰는 것도 어렵지요. 하지만 제대로 된 인터뷰를 통해 꼭 듣고 싶었던 한 인물의 이야기, 소중한 경험과 아픔, 생각하게 하는 의견을 깔끔한 기사로 만들어낼 때의 희열은 그 무엇보다 중독성이 큽니다. 국문신문이나 영자신문이나, 기자에게 있어 인터뷰는 취재의 시작이며 끝입니다. 인터넷을 서핑하며 진실인지 거짓인지 모를 정보를 무수히 접하지만 가장 확실한 것은 결국 사람에게서 나옵니다. 인터뷰를 제대로 못하는 기자는 제대로 된 기사를 쓸 수 없습니다. 그만큼 인터뷰는 기자에게 중요한 수단이며 목적이기도 합니다. 독..

2013. 11. 4. 13:38
1 ··· 364 365 366 367 368 369 370 ··· 53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