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교육 이벤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NIE 다독다독 미디어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신문읽기 언론진흥재단 공모전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책 뉴스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3)

  • [연재] 미디어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Ⅳ

    2019.02.07
  • 초등젠더교육연구회 ‘아웃박스’ 활동 후기

    2019.02.05
  • [연재] 해외의 미디어교육 법제 IV - 핀란드

    2019.02.03
  • 미디어 이용에서의 법적 권리침해와 피해 구제

    2019.01.31
  • [연재] 해외의 미디어교육 법제 Ⅲ - 영국, 호주

    2019.01.04
  • 2018 사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수

    2018.12.27
[연재] 미디어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Ⅳ

미디어 메시지에는 항상 특정한 목적과 의도가 존재한다. 때문에 우리는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미디어 메시지가 ‘누구’에 의해서 ‘왜’ 만들어졌는지 다양한 질문을 던져보며 그 목적을 파악해야 한다. 황치성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전문위원, 언론학 박사 누군가 메시지를 보낸다면 거기에는 반드시 이유가 있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누군가를 설득하거나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깨우쳐주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파워 동기와 관련이 있다. 두 번째는 무엇인가를 팔기 위해서다. 이것은 이익 동기와 관련이 있다. 세 번째는 파워와 이익을 동시에 얻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동기들이 반드시 좋다거나 나쁘다고 단정할 순 없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메시지를 만들 때는 항상 목적이 존재한다는 ..

2019. 2. 7. 12:00
초등젠더교육연구회 ‘아웃박스’ 활동 후기

아웃박스는 고양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젠더교육 연구모임이다. 아이들의 성 고정관념을 깨고 ‘여자답게 남자답게? 아니 나답게!’라는 슬로건을 통해 젠더감수성을 길러주는 수업을 만들고 있다. 그중 미디어교육과 결부시켜 진행한 초등젠더교육연구회 ‘아웃박스’ 활동을 소개한다. 황고운 일산 강선초등학교 교사 “응, 니 애미.”교실에서 심심치 않게 들렸던 유행어다. 엄마를 조롱과 혐오의 대상으로 삼는 단어가 가벼운 농담이 되고 있다는 건 교실에서 보내는 SOS 신호였다. 단어의 의미를 물어보면 아이들은 금방 멋쩍어했다. “앙~기모띠” 역시 일본 포르노에서 온 유행어지만 알고 쓰는 아이들은 많지 않았다. 어디에서 그런 말을 들었냐고 하면 역시 열에 여덟은 TV와 유튜브라고 답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보고서에 따르..

2019. 2. 5. 12:00
[연재] 해외의 미디어교육 법제 IV - 핀란드

지난 호에 이어 핀란드의 법제를 소개한다. 본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발간한 「해외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연구」(강진숙·조재희·정수영·박성우, 2017) 보고서를 일부 수정·정리한 것이다. 강진숙 중앙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 주축의 미디어교육 실행2010년에 개정된 핀란드의 기초교육법(Basic Education Act, 628/1998)은 기초교육과 의무교육의 제공을 법적으로 제도화하고 있다. 기초교육법은 총 1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적용 및 목적, 제2장 교육기관으로서의 지역청, 제3장 기타 교육기관, 제4장 교육, 제5장 검증 및 평가, 제6장 학습 시간, 제7장 의무교육 및 학생의 권리·의무, 제8장 기타 조항, 제9장 사전 및 방과 후 ..

2019. 2. 3. 16:16
미디어 이용에서의 법적 권리침해와 피해 구제

디지털 시대로 들어서면서 미디어는 우리 삶에 대체 불가능한 존재가 됐다. 그러나 동시에 개인의 권리침해로 대표되는 미디어의 역기능에 대한 우려도 발생하고 있다. 권리존중 교육으로서의 미디어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다. ​조연하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교수​소셜 미디어를 포함해 다양한 미디어가 일상생활의 중요한 부분으로 통합되었다. 수용자는 미디어를 단순히 이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생산·공유한다. 디지털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이전에는 예측하지 못했던 새로운 이슈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미디어 콘텐츠의 생산과 이용에서 비롯되는 권리와 책임에 관한 법적 이슈다. 최근 온라인에서 불법 촬영물 유포로 인해 인격권은 물론, 성적 의사결정 및 성적 행동의 자유를 의미하는 성적 자기결정권이 침해되고 있..

2019. 1. 31. 13:46
[연재] 해외의 미디어교육 법제 Ⅲ - 영국, 호주

독일과 프랑스, 일본과 싱가포르 미디어교육 법제에 이어 영국과 호주의 법제를 소개한다. 본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발간한 「해외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연구」(강진숙·조재희·정수영·박성우, 2017) 보고서를 일부 수정·정리한 것이다. 강진숙(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영국과 호주의 미디어교육은 비판적 미디어 읽기와 미디어 제작의 창의성을 강조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특히 미디어 연구와 미디어교육 분야는 학교 미디어교육 과정에서 필수과목으로 편성되어 있고, 언어와 문화 교육의 차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활동들이 전개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준다. 그럼에도 두 나라의 미디어교육 환경은 구체적인 법체계와 정책기구의 내용, 활동 사례에서 차이점을 지닌다. ..

2019. 1. 4. 09:53
2018 사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수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11월 20일 사서교사 53명을 대상으로 를 진행했다. 이 연수는 기존 학교 중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다양한 교육 주체로의 확장을 목적으로 열렸다. 편집부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지난 11월 20일 실시한 전국 사서교사 대상 는 학교 중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보다 다양한 교육 주체로의 확장을 도모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해당 연수에는 53명의 사서교사가 참여했으며, 주민정 구산중 윤리교사와 이연희 청평중 사서교사의 강의를 중심으로 다양한 뉴스 리터러시의 수업 사례와 미디어교육의 필요성 등을 소개했다. 아이들은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 첫 강의를 맡은 주민정 구산중학교 윤리교사는 ‘학생 활동’ 중심 교육을 강조하면서 네임텐트 활용 수업을 소개했다. 네임텐트는 종이를 세모꼴로 접고,..

2018. 12. 27. 18:42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 533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