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기자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공모전 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책 이벤트 신문읽기 미디어 독서 뉴스리터러시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3)

  • [연재] 해외의 미디어교육 법제 II - 일본, 싱가포르

    2018.08.16
  • 고등학생 수업지도안 <AI시대에 무슨 일을 할까>

    2018.08.14
  • 「미디어리터러시」 2018년 여름호(5호)

    2018.08.11
  • [이벤트] 미디어 리터러시 2018년 여름호 발간 이벤트

    2018.08.11
  • 남북교류 시대,북한의 언론 보도와 미디어 문화 바로 알기

    2018.08.09
  • 다문화 시대, 세계시민을 위한 미디어교육의 과제

    2018.08.07
[연재] 해외의 미디어교육 법제 II - 일본, 싱가포르

지난호의 독일, 프랑스 미디어교육 법제에 이어 일본과 싱가포르의 법제를 소개한다. 본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발간한 「해외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연구」(강진숙·조재희·정수영·박성우, 2017) 보고서를 일부 수정·정리한 것이다.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유럽과 달리 아시아 지역에는 왜 고유한 미디어교육법이 부재할까?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해 지식을 얻고, 이를 비평·이용·제작하는 디지털 역량은 개인의 힘이 아닌 사회적 환경의 힘이다. 사이버 공간의 위험한 환경과 정의로운 발언들이 악플이나 권력의 개입으로 굴절되는 환경에서 미디어 소수자들에 대한 법적인 보호와 정책이 절실하다. 이것은 사회적 지지가 없으면 불가능하고,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적합한 법률이 없으면 개선의 여지가 ..

2018. 8. 16. 18:56
고등학생 수업지도안 <AI시대에 무슨 일을 할까>

과학 기술의 발달로 우리 삶이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단순히 지식의 축적만을 목표로 한 학교 교육은 무의미하다. 학생들이 교실에서 진짜 세상을 만나고, 자신의 미래를 진지하게 설계하기 위해서는 신문을 통한 교육이 필요하다. 박정미(세종시 새롬고등학교 교사) 고등학생들이 신문을 읽을까? 안타깝게도 긍정적인 답을 할 수 없다. 입시가 코앞이기에 바빠서 그럴 수 있다. 그러나 신문을 읽지 않고서 현재를 어떻게 이해하며, 미래를 꿈꾸고 설계하게 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학생들이 교실에서 진짜 세상을 만나고,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진지하게 자신의 미래를 꿈꾸게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 선생님들은 고민이 깊다. 교과서만으로는 이러한 수업이 이루어지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신문을 활용한..

2018. 8. 14. 17:00
「미디어리터러시」 2018년 여름호(5호)

한국언론진흥재단은 8월 10일 2018 미디어 리터러시 여름호 (통권 05호)를 발행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 여름호에서는 특집 '다문화 시대, 세계시민과 미디어교육'을 통해 다문화 시대에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알아본다. SPECIAL ISSUE: 다문화 시대, 세계시민과 미디어교육 박진우 / 미디어 리터러시로 글로벌 시민사회에 한 발짝 가까이 장은미 / 미디어 재현과 ‘다문화 감수성’, 불화와 공존 사이 아사히 노리코 / 이주민은 배려의 대상 아닌 함께 살아가는 이웃 윤지원 / 스스로 편견 깨닫고, 다른 문화에 관심 높이는 계기 PART 1. 수업현장 정현선 / 뉴스 읽고 이해하며 미디어교육에 대한 관심 높여 편집부 / 기획부터 기사 작성까지, 주민이 직접 알리는 마을 이슈 박정미 / 신문 활용..

2018. 8. 11. 13:07
[이벤트] 미디어 리터러시 2018년 여름호 발간 이벤트

※미디어 리터러시 2018년 여름호 발간 이벤트※2018 미디어 리터러시 여름호가 발간되었는데요. 그래서 준비한 미디어 리터러시 여름호 발간 맞이 이벤트! 미로 속 2018 미디어 리터러시 여름호를 만날 수 있는 입구는? 정답을 맞추면 추첨을 통해 10분에게 설빙 인절미 빙수를 드립니다! ▶️참여방법 1. 미디어 리터러시 블로그 서로이웃 추가하기 2. 정답을 댓글에 남기기 * 친구 태그 + 공유 시 당첨 확률 UP!! ▶️이벤트 기간 2018. 8. 10(금) ~ 2018. 8. 17(금) ▶️당첨자 발표 2018. 8. 20(월) 페이스북 / 블로그 중복 참여 가능 페이스북 이벤트 참여하기▼ 블로그 이벤트 참여하기▼

2018. 8. 11. 01:41
남북교류 시대,북한의 언론 보도와 미디어 문화 바로 알기

지난 6월 12일 북미정상회담이 열리며 우리나라의 언론이 뜨겁게 들끓었고, 국민은 ‘평화의 시대’가 한 발짝 다가왔음을 실감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나가려면 남북에 대한 상호 이해가 필요하다. 본 글에서는 북한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 북한의 언론 보도와 미디어 문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한승대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박사후 연구원) ‘세기의 담판’이라고 하는 북미정상회담이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 카펠라 호텔에서 열렸다. 전쟁과 평화의 갈림길에 섰던 작년의 한반도 운명을 생각하면 대단히 큰 변화였다. 올 3월부터 6월까지 수 차례 열린 한반도 주변국 정상 간 만난 횟수는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였다. 구체적으로는 3월 북중정상회담을 시작으로 4월 남북정상회담, 5월 2차 북중정상회담 ..

2018. 8. 9. 19:33
다문화 시대, 세계시민을 위한 미디어교육의 과제

예멘 출신의 난민 신청자들이 제주도로 몰려듦에 따라 온라인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와 함께 공포를 더한 혐오 표현들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사회와 언론 그리고 미디어 리터러시의 주요 프로그램이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일까? 글: 박진우(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지난 6월 20일은 ‘세계 난민의 날(World Refugee Day)’이었다. 원래 아프리카에서 1975년부터 ‘아프리카 난민의 날’을 정하여 기념해오던 것을 2000년 UN 총회에서 공식적으로 ‘세계 난민의 날’로 승격시켰고, 이후, UN난민고등판무관 사무소가 주관하여 매년 세계적인 행사가 열리고 있다. 난민과 언론, 미디어교육의 과제공교롭게도 마침 이날, 국내 언론 지면에는 예멘 출신의 난민 신청자들이 제주도에 몰려들..

2018. 8. 7. 17:23
1 ···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533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