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기자 이벤트 미디어교육 공모전 독서 미디어리터러시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미디어 신문 스마트폰 신문읽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3)

  • 페이스북 'F8 2018'을 통해 살펴본 가짜 뉴스 대책과 미디어교육

    2018.07.13
  • 프랑스 끌레미의 ‘2018 언론 주간’ 들여다보기

    2018.07.10
  • [이벤트] 페이스북 팔로워 1만 돌파 축하 EVENT

    2018.07.09
  • 내가 경험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018.06.26
  • 미국 미디어교육 탐방 결과 보고서

    2018.06.19
  • 초등 미디어교육을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재 리모델링

    2018.06.18
페이스북 'F8 2018'을 통해 살펴본 가짜 뉴스 대책과 미디어교육

지난 5월 1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페이스북 연례 개발자 회의인 ‘F8’이 열렸다. 본 글에서는 페이스북의 최고 경영자 마크 저커버그가 'F8 2018'에서 소개한 세 종류의 가짜 뉴스와 그 대응책을 개략적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국의 가짜 뉴스 유통 현황을 살펴보고 미디어교육 차원에서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알아본다. 최원석(핀란드 라플란드대학 미디어교육 석사과정 및 연구조교) 지난 5월 1일, “올해 정말 만만치 않네요!”라는 농담을 던지며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 경영자(CEO)가 F8 무대에 등장했다. 최근 페이스북의 제3자 개인정보수집 사태를 의식한 듯 보이는 씁쓸한 인사말에 이어 “페이스북의 책임감을 더 넓게 봐야겠다는 점을 배웠다. 누군가 페이스북을 악용하지 ..

2018. 7. 13. 17:15
프랑스 끌레미의 ‘2018 언론 주간’ 들여다보기

프랑스 교육부 산하 미디어 전문교육기관인 끌레미(CLEMI)의 주요 활동 사업 ‘학교에서의 언론과 미디어 주간(la Semaine de la Presse et des Médias dans l’École)’이 올해로 29회째를 맞이했다. ‘정보는 어디에서 오는가?’라는 테마로 지난해에 이어 흥행을 이어간 2018 언론 주간을 살펴본다. 진민정(저널리즘학연구소 연구이사) 2018년 테마, ‘정보는 어디에서 오는가?’ 해마다 끌레미(CLEMI, 미디어와 정보 교육 연계 센터)에 의해 열리는 ‘학교에서의 언론과 미디어 주간(la Semaine de la Presse et des Médias dans l’École, 이하 언론 주간)’이 지난 3월 19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됐다. 그 어느 해보다 참여율이 높았던 ..

2018. 7. 10. 17:00
[이벤트] 페이스북 팔로워 1만 돌파 축하 EVENT

페이스북 팔로워 1만 돌파 축하 EVENT다양한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를 전해드리는 다독다독 미디어 리터러시 페이스북 팔로워가 1만명을 돌파했습니다!! 다독다독 미디어 리터러시에 많은 사랑과 응원 보내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여러분들께 보답하고자 준비한 이벤트! 참여하고 상품받아가세요~ ▶️ 참여방법1 (싱글콘 30명) 1. 미디어 리터러시 페이스북 페이지 좋아요 누른 후 인증샷 찍기 2. 인증샷과 함께 축하 댓글 남기기 * 친구 태그 + 공유는 필수! ▶️참여방법2 (아이스크림 케이크 3명) 1. 미디어 리터러시 페이스북 페이지 좋아요 누른 후 인증샷 찍기 2. 인증샷과 함께 축하 댓글 남기기 3. 가을호, 원고 주제 제시하기 * 친구 태그 + 공유는 필수! ▶️ 이벤트 기간 2018. 7. ..

2018. 7. 9. 17:45
내가 경험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지난 호에 이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지난 해 9월 주최한 전국 초‧중‧고‧대학생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체험 수기’ 공모전 수상작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글의 주인공은 대학부 금상 수상자 이호준 학생이다. 이호준(한국외국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내가 처음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받은 것은 초등학생 때, ‘사설읽기’ 활동을 통해서였다. 이 활동은 조례시간을 활용해서 한자쓰기, 영어교육과 함께 진행됐는데 별도의 교사 지도는 없었다. 때문에, 당시 내가 한 사설읽기는 미디어교육이라기보다 단순히 글 읽기, 어휘 파악하기, 시사 상식 쌓기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2013 충청남도교육청 사설읽기 워크북 언론의 정파성, 미디어교육 실행 어렵게 만들어현재 한국의 언론은 매우 강한 정파성을 띠고 있다. 그리..

2018. 6. 26. 17:30
미국 미디어교육 탐방 결과 보고서

지난 겨울 이화여자대학교 글로벌 프론티어 프로젝트 팀 ‘미리하자’는 미국으로 미디어교육 사례 탐사를 다녀왔다. 이번 원고에서는 대학생들의 눈으로 본 미디어교육 현장의 모습을 담았다. 박혜령‧김지윤(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2017년 장미 대선을 앞둔 시점, 가짜뉴스는 미디어 전공 수업에서 빼놓을 수 없는 토의 주제였다. 가짜 뉴스는 인터넷과 SNS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뉴스 생태계에서 바이러스처럼 빠르게 퍼졌다. 불과 5년 전에 치러진 지난 대선에 비해 허위사실 공표·비방에 관한 적발 건수도 5배나 늘었다. 뉴스 뿐만이 아니다. 과장·허위 광고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소비자의 판단을 방해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법적 규제에는 한계가 있다. 저널리즘을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예방책과 규제 논란에 대..

2018. 6. 19. 18:00
초등 미디어교육을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재 리모델링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역량 중심 교육을 표방함에 따라,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었다. 이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뉴스 리터러시 교육 교재를 리모델링하여 학교 교육과정 내 미디어교육 확산과 뉴스 리터러시 관련 역량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박유신(서울 석관초등학교 교사) 21세기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교육이 지식 중심에서 역량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무엇을 배우고 익히는가?’에서 ‘바라는 인간상이 되기 위해 어떤 역량(지식‧기능‧태도)을 키워야 하는가?’로 초점이 이동한 것은 민주 시민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을 공교육에서도 추구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주목할 점은 UN, UNAOC, UNESCO, EU, OECD, ATC21S, P21 등 국제기구 및 교육 단체, ..

2018. 6. 18. 15:30
1 ··· 125 126 127 128 129 130 131 ··· 533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