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책 뉴스 미디어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교육 NIE 다독다독 독서 이벤트 신문읽기 공모전 기자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언론진흥재단 신문 뉴스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2)

  • 내가 경험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018.06.26
  • 미국 미디어교육 탐방 결과 보고서

    2018.06.19
  • 초등 미디어교육을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재 리모델링

    2018.06.18
  • ‘미디어교육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정을 위한 국회세미나

    2018.06.14
  •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뉴스 분석법

    2018.06.08
  • [이벤트] 미디어 리터러시와 함께하는 가짜 뉴스 팩트체크 TIP!

    2018.06.04
내가 경험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지난 호에 이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지난 해 9월 주최한 전국 초‧중‧고‧대학생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체험 수기’ 공모전 수상작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글의 주인공은 대학부 금상 수상자 이호준 학생이다. 이호준(한국외국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내가 처음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받은 것은 초등학생 때, ‘사설읽기’ 활동을 통해서였다. 이 활동은 조례시간을 활용해서 한자쓰기, 영어교육과 함께 진행됐는데 별도의 교사 지도는 없었다. 때문에, 당시 내가 한 사설읽기는 미디어교육이라기보다 단순히 글 읽기, 어휘 파악하기, 시사 상식 쌓기에 그칠 수밖에 없었다. 2013 충청남도교육청 사설읽기 워크북 언론의 정파성, 미디어교육 실행 어렵게 만들어현재 한국의 언론은 매우 강한 정파성을 띠고 있다. 그리..

2018. 6. 26. 17:30
미국 미디어교육 탐방 결과 보고서

지난 겨울 이화여자대학교 글로벌 프론티어 프로젝트 팀 ‘미리하자’는 미국으로 미디어교육 사례 탐사를 다녀왔다. 이번 원고에서는 대학생들의 눈으로 본 미디어교육 현장의 모습을 담았다. 박혜령‧김지윤(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2017년 장미 대선을 앞둔 시점, 가짜뉴스는 미디어 전공 수업에서 빼놓을 수 없는 토의 주제였다. 가짜 뉴스는 인터넷과 SNS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뉴스 생태계에서 바이러스처럼 빠르게 퍼졌다. 불과 5년 전에 치러진 지난 대선에 비해 허위사실 공표·비방에 관한 적발 건수도 5배나 늘었다. 뉴스 뿐만이 아니다. 과장·허위 광고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소비자의 판단을 방해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법적 규제에는 한계가 있다. 저널리즘을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예방책과 규제 논란에 대..

2018. 6. 19. 18:00
초등 미디어교육을 위한 뉴스 리터러시 교재 리모델링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역량 중심 교육을 표방함에 따라,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었다. 이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뉴스 리터러시 교육 교재를 리모델링하여 학교 교육과정 내 미디어교육 확산과 뉴스 리터러시 관련 역량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박유신(서울 석관초등학교 교사) 21세기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교육이 지식 중심에서 역량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무엇을 배우고 익히는가?’에서 ‘바라는 인간상이 되기 위해 어떤 역량(지식‧기능‧태도)을 키워야 하는가?’로 초점이 이동한 것은 민주 시민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을 공교육에서도 추구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주목할 점은 UN, UNAOC, UNESCO, EU, OECD, ATC21S, P21 등 국제기구 및 교육 단체, ..

2018. 6. 18. 15:30
‘미디어교육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정을 위한 국회세미나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유은혜 의원은 지난 5월 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디지털 민주주의를 위한 미디어교육지원법 추진위원회’와 공동으로 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추진위가 2017년 2월 공식 출범한 이후 1년여 동안 내외부의 토론을 진행하고 유관부처‧기관과 소통해 마련한 ‘미디어교육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을 공식 발표했다. 편집부 지난 5월 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디지털 민주주의를 위한 미디어교육지원법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와 유은혜 국회의원이 공동주최하는 가 열렸다. ‘미디어교육 활성화에 관한 법률안(이하 미디어교육법안)’에서 말하는 미디어교육의 목표는 모든 국민이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창조적·능동적으로 활용하며, 미디어를 통해 민주적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2018. 6. 14. 15:30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뉴스 분석법

현대 사회에서 뉴스는 그 형태를 달리하며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진짜처럼 교묘하게 만들어진 가짜 뉴스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며, 그것을 읽고 생각이 바뀌기도 한다. 이 때문에 우리는 뉴스를 분별해서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글에서는 좋은 뉴스를 판단할 수 있는 뉴스 분석법을 소개한다. 김경희(한림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스마트폰에서 포털 앱에 접속하면 첫 화면에만 4~50여 개의 뉴스가 나타난다. 뉴스를 모두 살펴보려면 많은 시간이 들지만, 우리는 몇 분 안에 뉴스를 훑어보고 다른 화면으로 이동한다. 때문에, 관심 있는 기사를 제외한 나머지 기사는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이에 대해 『미디어 리터러시』(2013/2016)라는 책에서 포터(Porter)는 정신적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우리의 마..

2018. 6. 8. 15:01
[이벤트] 미디어 리터러시와 함께하는 가짜 뉴스 팩트체크 TIP!

가짜 뉴스의 팩트를 체크하는 꿀팁! 언론사의 이름이 미심쩍다면? 광고가 지나치게 많다면? 가짜 뉴스를 의심해 볼 수 있는데요. 또,기자의 이름이 00000확인해야 한다는 것! 빈칸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정답을 맞히면 추첨을 통해 열다섯분에게 영화 관람권 1매를 드립니다! 참여방법 1. 미디어 리터러시 페이스북 및 이벤트 게시글 좋아요 누르기 2. 빈칸에 들어갈 정답 번호를 댓글에 남기기 * 친구 태그 + 공유 시 당첨 확률 UP!! 이벤트 기간 2018. 6. 4(월) ~ 2018. 6. 15(금) 당첨자 발표 2018. 6. 18(월) ☞페이스북 이벤트 참여하기☜

2018. 6. 4. 19:48
1 ··· 122 123 124 125 126 127 128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