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읽기뉴스일기 독서 공모전 신문읽기 미디어리터러시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책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 신문 미디어 다독다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기자 이벤트 뉴스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2)

  • [기획연재] 미디어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1

    2018.03.16
  • 내가 경험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조이

    2018.03.14
  • [당첨자 발표] 미디어 리터러시와 함께하는 평창 동계올림픽 응원 이벤트

    2018.02.20
  • 언론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2018.02.13
  • [EVENT] 미디어 리터러시와 함께하는 평창 동계올림픽 응원 이벤트

    2018.02.08
  • 사회 미디어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18.02.06
[기획연재] 미디어 리터러시와 비판적 사고 #1

우리나라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비교적 짧은 시간에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뤄냈지만, 비판적 사고가 여전히 뒤로 밀려나 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제는 우리가 비판적 사고에 대해 논의해야 할 때라고 생각하며, 이에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원리와 방법, 그리고 적용사례를 시리즈로 전한다. 황치성(한국언론진흥재단 전문위원, 언론학 박사) 미디어교육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지 40년 남짓에 불과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뤄냈다. 전국적으로 최신 설비를 갖춘 미디어교육 센터만 해도 현재 40여 개에 이르는가 하면, 국회는 미디어교육의 체계적 지원을 위해 법 제정에 나서기까지 하고 있다. 또, 교육계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지식정보처리 역량과 함께 그 하위..

2018. 3. 16. 18:25
내가 경험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조이

지난 호에 이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지난 해 9월 주최한 전국 초‧중‧고‧대학생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체험 수기’ 공모전 수상작을 소개한다. 이번에 소개할 글의 주인공은 초등부 금상을 차지한 이조이 학생이다. 이조이(홈스쿨, 초등 6학년) 저는 홈스쿨을 하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 이조이라고 합니다. 학교에서 과목별로 공부하는 것처럼 우리 집 홈스쿨 과목 중에는 NIE 과목이 있습니다. NIE를 처음 알게 된 건 어머니를 통해서였습니다. 어머니께서 NIE에 관심을 가지면서 저는 신문을 이용해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신문에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내용을 대충 읽거나 만화만 봤었는데, NIE를 시작하면서부터 신문에 다양한 내용이 있으며, 세상에 많은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

2018. 3. 14. 20:10
[당첨자 발표] 미디어 리터러시와 함께하는 평창 동계올림픽 응원 이벤트

화려한 개막식을 지나 열정적인 경기가 이어지고 있는 평창 동계올림픽! 연이어 우리나라에 기쁜 소식이 들려오고 있는데요. 여러분들의 응원이 많은 힘이 되지 않았을까요? 평창 동계올림픽 응원 이벤트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페이스북에서 당첨자 확인하기☜ 당첨자분들께서는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메시지로 (평창 이벤트/이름/연락처/주소/개인 정보 사용에 동의합니다) 문구를 보내주세요! * 2월 27일(화)까지 회신이 없으면 당첨은 자동으로 취소됩니다. * 개인 정보는 상품 발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 상품은 2월 28일부터 순차적으로 발송될 예정입니다.

2018. 2. 20. 18:56
언론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뉴스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교실에서 선생님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학생들 스스로 매체의 콘텐츠 생산자로 참여하여 현장을 취재하고 기사를 쓰면서 스스로 뉴스 리터러시를 배우는 공간이 있다. 중앙일보에서 운영하는 청소년 매체 과 의 학생기자로 활동하는 학생들의 성장 이야기를 현직 기자가 직접 전한다. 황정옥(중앙일보 청소년매체 팀장)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손쉽게 콘텐츠를 만드는 시대입니다. 하루에도 수천 아니 수억 개의 콘텐츠가 생산되고 유통되죠. 누구와 만나서 어떤 음식을 먹으며 무슨 이야기를 했는지와 같은, 과거라면 일기장 한 귀퉁이나 차지할 법한 사적인 내용부터 기업의 상태를 분석하고 미래 가치를 예측하는 고급 정보를 담은 리포트까지 그 종류와 깊이도 다양합니다. ..

2018. 2. 13. 11:00
[EVENT] 미디어 리터러시와 함께하는 평창 동계올림픽 응원 이벤트

“힘찬 응원의 소리를 평창까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2월 9일 개회식을 시작으로 17일간의 힘찬 여정을 시작하는데요! 여정에 함께할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들을 향해 따뜻한 응원의 메시지를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평창 동계올림픽 굿즈를 드립니다. 참여 방법 1.미디어 리터러시 페이스북 및 이벤트 게시글 좋아요 누르기 2.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들을 향한 응원 댓글 남기기 +친구 태그 + 공유 시 당첨 확률 UP~! 이벤트 기간 2월 8일(목) ~ 2월 18일(일) 까지 당첨자 발표 2월 20일(화) 상품 수호랑 파우치(30명), 평창 에코백(30명) ☞페이스북 이벤트 참여하기

2018. 2. 8. 16:28
사회 미디어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우리 사회에서는 1970년대부터 미디어교육의 중요성이 논의되기 시작하며 학교와 사회 영역에서 각자 독자적인 교육 모델과 프로그램을 발전시켜왔다. 그동안 제도권 교육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힘입어 학교 미디어교육이 학문적, 정책적 조명을 받고 발전해 온 반면, 사회 미디어교육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고 할 수 있다. 장은미(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 [본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모로 진행한 (김광재·장은미·강신규, 2017) 보고서를 요약한 것입니다.] 1970년대 학술 영역에서 간헐적으로 논의돼 오던 미디어교육은 1980년대 이후 시민의 미디어 리터러시 배양의 필요성 대두와 함께 본격화됐다. 더불어 미디어교육에 대한 논의는 점차 고도화되고 분화되어, 학교와 사회 영역에서 각자 독..

2018. 2. 6. 11:00
1 ··· 126 127 128 129 130 131 132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