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3)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읽기뉴스일기 다독다독 미디어 공모전 신문읽기 뉴스 이벤트 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책 미디어교육 스마트폰 신문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기자 NI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3)

  • 방송 'PPL(간접광고)' 효과 있다! 없다?

    2016.06.30
  • 이열치열, 여름철 건강관리법

    2016.06.30
  • 필사하며 책 읽기 vs 밑줄 그으며 책 읽기

    2016.06.29
  • 호모 포토그라피쿠스(Homo Phtographicus) 시대

    2016.06.29
  • 장마철 집안 손질법

    2016.06.28
  • 우리는 뉴스를 '본다'

    2016.06.28
방송 'PPL(간접광고)' 효과 있다! 없다?

[요약] 6월 다독다독 의견댓글 이벤트 를 통해 들어 본 다독다독 팬들의 방송간접광고(PPL)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공유합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에서는 방송 시청자들이 PPL개념과 제품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그 결과, 시청자 열에 아홉은 PPL을 알아차리고 있으며, 84.6%는 브랜드 인지도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답했습니다. 다독다독 페이스북 이벤트를 통해 알아본 다독다독 팬들이 생각하는 방송 간접광고(PPL)에 대한 의견을 들어보았습니다. 전체 응답자 220명 중 방송 간접광고가 '효과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전체의 91%(201명), '효과 없다' 8%(18명), 기타 1%(1명)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중 눈에 띄는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석아람님, PPL 효과 없다..

2016. 6. 30. 17:00
이열치열, 여름철 건강관리법

[요약] 잡절의 하나인 복(伏)은 24절기나 명절에는 속하지 않지만 한국인이 여름철 가장 잘 챙기는 절기중 하나입니다. 더울 때 뜨거운 것을 먹는다는 뜻을 가진 ‘이열치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이열치열 여름철 건강관리법을 소개합니다. #삼복의 유래 2016년의 복날은 언제일까요? 초복은 7월 17일, 중복은 7월 27일, 말복은 8월 16일이라고 합니다. 복날은 대개 10일 간격으로 도래하지만, 때에 따라서 중복과 말복 사이의 간격이 20일 이상 벌어지기도 합니다. 초복에서 말복까지의 기간은 일년 중 가장 더위가 심한 때로 이 무렵의 더위를 다들 아시다시피 삼복더위라고 합니다.삼복은 어디서, 어떻게 유래 되었을까요? 정확한 어원에 대해서는 알 수 없지만 대부분 중국의 진(秦)나..

2016. 6. 30. 12:00
필사하며 책 읽기 vs 밑줄 그으며 책 읽기

조영표 도서관에 사는 남자 [요약] "책은 깨끗하게 읽는 것이 맞을까, 아니면 지저분하게 읽는 것이 맞을까?" 책을 읽어내는 데는 다들 자신만의 방법이 있습니다. 책을 읽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책을 읽는 다양한 방법책을 읽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깨끗하게 눈으로만 읽는 방법이 있고, 지저분하게 밑줄이며 낙서를 하며 읽는 방법이 있다. 또는 자신만의 특별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어떻게 책을 읽는 것이 ‘정답이다’라고 할 수는 없지만, 분명한 점은 지금 자신의 책 읽는 방법보다 더 나은 방법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깨끗하게 읽기의 함정대부분의 사람들은 책을 깨끗하게 읽는다. 밑줄을 긋지도 않고, 책에 낙서 하나 하지 않으며 깔끔하게 읽는 경우가 많다. 그런 사람들에게 왜 깨끗하게 읽느냐 ..

2016. 6. 29. 17:00
호모 포토그라피쿠스(Homo Phtographicus) 시대

[요약] 프라이버시가 중요하다고 하지만, 소셜 미디어를 보면 마냥 그런 것 같지는 않습니다. 자신의 일상을 하나하나 사진으로 남겨 거리낌 없이 소셜 미디어에 공개하기 때문입니다. 사진 한 장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호모 포토그라피쿠스(Homo Phtographicus)’시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호모 포토그라피쿠스 시대를 연 사람들 뉴욕타임스는 현 세대를 두고 인터넷으로 일상을 ‘모두 말하는 세대’(tell-all generation)라고 명명한 적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신의 일상을 하나하나 남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등에 업로드 하는 사람들을 ‘인증족’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처럼, 사진 한 장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호모 포토그라피쿠스 시대를 본격적으로 연 사람들은 누구일까요? 어릴 적..

2016. 6. 29. 12:00
장마철 집안 손질법

[요약] 장마철이 되면 높아진 습도로 인해 곰팡이가 피어나 건강을 위협하게 됩니다. 장마철, 그리고 장마가 지난 뒤 집안 곳곳을 정비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장마철이 되면 습도가 높아져 집안 곳곳에 곰팡이가 피어납니다. 곰팡이에는 200가지가 넘는 독성물질이 있어 여러 질병의 원인이 된다고 합니다. 장마철, 습기와 곰팡이를 제거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보일러를 켤 때는 환기와 동시에장마로 인해 집안이 습할 때 제습효과를 위해 보일러를 가동하게 됩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보일러로 인해 바닥 온도가 올라가면 바닥에 깔렸던 습기가 공기 중으로 떠오르면서 곰팡이가 함께 퍼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습기 제거를 위해 보일러를 사용할 경우 꼭 창문을 열어놓고 환기하면서 가동하는게 좋습니다. #곰팡..

2016. 6. 28. 17:00
우리는 뉴스를 '본다'

서현정,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시대에 따라 저널리즘의 소비행태는 변화한다. 라디오를 통해 뉴스를 ‘들었던’ 시대에서 신문을 통해 뉴스를 ‘읽는’ 시대로, 그리고 점차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보는’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 인포그래픽(Info-graphic), 카드뉴스와 같이 정보들이 소리에서 글을 넘어 그림으로 바뀌어가는 지금, 우리는 어떻게 저널리즘을 소비해야하는 것인가. 읽기의 행태가 변한다면 그 안의 내용도 바뀌는 것도 당연한 결과이다. 그 변화하는 콘텐츠 속 저널리즘의 원칙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지켜져야 한다. 변화의 이면에 자리 잡은 우리 사회 스낵컬쳐(Snack Culture) 열풍은 읽기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인가? 이 시대 현명한 뉴스 소비자가 되기 위해 우..

2016. 6. 28. 09:36
1 ··· 180 181 182 183 184 185 186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