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20)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 뉴스 다독다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독서 뉴스리터러시 신문읽기 기자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NIE 미디어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20)

  • 우리의 목표는 비판적 사고력과 민주적 역량 갖춘 ‘디지털 시민성’ 교육

    2025.08.27
  • [가상토론] ChatGPT 과제 사용, 윤리? 효율? 어떻게 봐야할까?

    2025.08.24
  • [숏폼] 내 친구 '미리'가 소개하는 AI 할루시네이션 대처법

    2025.08.22
  • [미·리데이] 로니와 함께하는 8.15 역사 속 팩트체크 이벤트 당첨자 발표

    2025.08.20
  • 세상에 일어나는 많은 일 의심하고 삐딱하게 본다는 건

    2025.08.20
  • '모두'를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2025.08.17
우리의 목표는 비판적 사고력과 민주적 역량 갖춘 ‘디지털 시민성’ 교육

|진민정(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 / 김아미(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독립연구자)| 프랑스의 미디어교육을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곳이 끌레미(CLEMI)다.끌레미는 ‘끌레미 코디네이터’라는 특별한 직책을두고 학교 현장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뿌리내리는 데 힘쓰고 있다.전직 저널리스트이자 끌레미 코디네이터로활동하고 있는 세브린 퐁세-올리비에를 만나끌레미 코디네이터의 역할과 운영 방식을 들어보았다. 프랑스 교육 현장에는 ‘끌레미(CLEMI) 코디네이터’라는 독특한 직책이 있다. 이들은 아카데미1) 소속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학교 현장에 뿌리내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단순한 교육 기획자나 행정 담당자를 넘어, 학교와 아카데미, 그리고 국가기관인 끌레미 중앙 본부를 연결하는 중재자이자, 교..

2025. 8. 27. 10:00
[가상토론] ChatGPT 과제 사용, 윤리? 효율? 어떻게 봐야할까?

안녕하세요! ​미리프렌즈 2기 이서현입니다.다들 어떻게 지내고 계신가요?​저는 냉방병 때문에 잠시 골골 앓았었는데요~입추도 왔겠다 요새는 에어컨을 적당하게 틀기 위해 노력 중이랍니다!​얼마 전에는 광복 80주년이었죠. 조금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순국선열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며 이번 글을 시작해보겠습니다.​오늘은 ChatGPT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학생이라면 대부분 한 번쯤 ChatGPT를 써보셨을텐데요.최근 대학가에서는 이를 비롯한 각종​ 인공지능 도구를 과제에 활용하는 학생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어떤 학생은 자료조사를 맡기기도 하고, 어떤 학생은 글을 매끄럽게 다듬는 데 활용하기도 하고,어떤 학생은 처음부터 끝까지 맡기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실제로 한 기사에 따르면, 대..

2025. 8. 24. 10:00
[숏폼] 내 친구 '미리'가 소개하는 AI 할루시네이션 대처법

안녕하세요! 미리프렌즈 2기 이민혁입니다 :)입추가 지난 지도 이제 2주가 다 되어가네요!​​오늘 블로그에서 다뤄볼 주제는 바로 'AI'인데요!​​AI 사용 현황은 해를 거듭할수록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2021년 32.4%에서 2024년에는 약 60%가 넘는 비율을 보이고 있는데요!이렇게 증가하는 AI 사용 비율과 비례해 문제가 되는 현상이 하나 있습니다.​​바로, '인공지능 환각'이라고도 불리는 AI 할루시네이션 현상입니다!아래 두가지 예시 통해 자세히 알아볼까요?​사례① 챗GPT를 활용해 가짜 판례에 의존한 변호사미국의 슈워츠 변호사는 챗GPT를 이용해 항공사에 대한 소송 서류를 작성했으나, 챗GPT가 알려준 내용에는 존재하지 않는 판례와 가상의 판사 이름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로 인해 해당 ..

2025. 8. 22. 10:00
[미·리데이] 로니와 함께하는 8.15 역사 속 팩트체크 이벤트 당첨자 발표

지난 8월 7일부터 8월 15일까지 진행했던 로니와 함께하는 8.15 역사 속 팩트체크 이벤트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정답은 5번이었습니다.※ 3·1 운동이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전개된 점을 고려하여 2번 또한 정답으로 인정했습니다. 이번에도 많은 분의 참여에 보답하고자 당첨자를 추가로 2분 더 선정하였습니다. 당첨되신 분들은 8월 24일(일) 자정까지본 게시글 비밀댓글에 닉네임(아이디) / 연락처 / 개인정보 이용에 동의합니다를 남겨주세요. 경품은 개인정보 입력 기간 종료 시점부터 3일 안에 발송해 드릴 예정입니다. * 기간 내 개인정보를 보내시지 않을 경우 당첨은 자동 취소되며.잘못 입력된 개인정보로 인한 미발송의 경우 재발송되지 않습니다. 여러분의 참여의 감사드리며다시 한번 당첨을 축하드립니다..

2025. 8. 20. 14:00
세상에 일어나는 많은 일 의심하고 삐딱하게 본다는 건

|모더레이터 김세진(인천신정초등학교 교사) / 사진 김성재(싸우나스튜디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해 아티스트 스텔라장과 협업해 ‘지구는 평평’이라는 곡을 선보였다. 이 곡은 어떻게 탄생했고 어떤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는지, 초등교사이자 미디어 연구가이기도 한 김세진 교사가 곡의 작사·작곡을 맡은 스텔라장을 만나 확인해 보았다. 안녕하세요, 오늘 이렇게 귀한 시간 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스텔라장님의 음악은 많은 사람들에게 위로와 영감을 전해주고 있는데요, 저를 비롯한 《미디어 리터러시》 독자들에게도 큰 울림을 주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지구는 평평’이라는 곡을 중심으로, 창작자로서 음악을 통해 전하고자 하신 생각과 메시지에 대해 좀 더 깊이 이야기 나눠보려 합니다. 이 곡은 제가 수업 시간..

2025. 8. 20. 10:00
'모두'를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안녕하세요 미리프렌즈 2기 이예령입니다 :)​학생 분들은 얼마 남지 않은 방학에 큰 아쉬움을 느끼고 계실 것 같은데요,저희 미리프렌즈가 전하는 유익한 내용들 같이 확인하시면서남은 방학 알차게 보내시길 바랍니다🍀🌊!!​​저는 지난 8월 7일,대전에서 진행한 '특수교사를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수업 레시피 교원연수'에 다녀왔어요!​미디어리터러시가 정말 중요하다는 것은 너무나 잘 알지만,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은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막막함을 느끼는 특수교사 분들이 많으실 것 같아요.​제가 다녀온 '특수교사를 위한 미디어리터러시 수업 레시피 교원연수'는이러한 답답함을 느끼시는 선생님들께 큰 도움이 되셨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여기서 잠깐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은어떻..

2025. 8. 17. 10:00
1 2 3 4 5 ··· 53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