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3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7)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NIE 미디어교육 스마트폰 미디어 공모전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기자 이벤트 책 신문 뉴스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미디어리터러시 신문읽기 독서 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38)

  • [인터뷰] 누구보다 선동에 예민하기에, 그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들: 독일 거주민과의 인터뷰

    2025.09.28
  • [취재 프로젝트]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힘, 미디어 리터러시에서 찾다: 보스턴대학교 Bona 교수님과의 인터뷰

    2025.09.26
  • 수업 적용 쉽고 활용도 높아 학생들의 미디어 역량 강화에 이바지

    2025.09.24
  • [퀴즈] 나의 미디어리터러시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퀴즈 맞추기

    2025.09.21
  • [알고리즘 파헤치기] 알고리즘 원리를 알면, 미디어 리터러시가 보인다

    2025.09.19
  • 초등학교에서의 첫걸음,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첫 시작

    2025.09.17
[인터뷰] 누구보다 선동에 예민하기에, 그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들: 독일 거주민과의 인터뷰

안녕하세요 미리프렌즈 2기 이민혁입니다. :) 그동안 미디어 리터러시를 어떻게 실천하고,가짜뉴스를 어떻게 판별할 수 있는지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는데요. 오늘은 실천적인 이야기와는 조금 다른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과거부터 근현대까지 통틀어,’선동‘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국가는 어디인가요? 다양한 국가가 있겠지만,저는 그중 독일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과거 나치 독일 시절 선동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인물,선동부 장관 ‘파울 요제프 괴벨스’를 얘기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흔히 괴벨스의 선동 어록이라 하면“거짓말은 처음에는 의심받지만 되풀이하면 결국 믿게 된다.”를 쉽게 떠올릴 수 있습니다. 해당 문장의 발언 시기와 주체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나와있지 않아실제로 괴벨스가 한 말인지는 불분명하다는..

2025. 9. 28. 10:00
[취재 프로젝트]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힘, 미디어 리터러시에서 찾다: 보스턴대학교 Bona 교수님과의 인터뷰

안녕하세요! 미리프렌즈 2기 이서현입니다.​개강으로 바쁜 하루를 지내고 있는 요즘... 다들 어떻게 지내시고 계신가요?​지난주, 저는 보스턴대학교(Boston University) College of Communication에서Master Lecturer로 계시는 Nivea Canalli Bona 교수님을 인터뷰했습니다.​이번 인터뷰는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은 어떨까하는 궁금증에서 시작되었는데요! ​교수님의 풍부한 경험과 국제적인 시각을 통해, 오늘날 미디어 리터러시의 의미와 과제를 조명해보고자 합니다.교수님 오피스에서 진행된 미리프렌즈 인터뷰!​교수님께서 정의하신 미디어 리터러시​미디어 리터러시 프렌즈 프로젝트의 일환인만큼,간단히 인사와 근황 이야기를 나..

2025. 9. 26. 10:00
수업 적용 쉽고 활용도 높아 학생들의 미디어 역량 강화에 이바지

|김영환(배다리초등학교 교사)| 경기도교육청미디어교육센터는 지난해 교수학습자료을 발간했다.11명의 경기도 초등교사가 공동 집필을 맡은 본 자료는 학생들이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적·윤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미디어 역량 강화에 목표를 두고 있다.초등학교 미디어교육의 실질적인 가이드가 될 특징과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작년 4월 중순, 출장으로 평택에서 세 시간 만에 경의중앙선 풍산역까지 간 적이 있다. 힘들여 도착한 풍산역 맞은편에는 현대미술관 같은 세련된 느낌의 3층 건물이 시선을 사로잡았다. 아이보리색 건물 상단에 박힌 ‘미디어교육센터(MEDIA EDU CENTER)’의 명칭과 건물이 주는 이미지는 ‘미디어는 예술이다’라는 느낌으로 다가왔다. ‘이곳에서 창의적이고 흥미로운 무언가가 만들어지고..

2025. 9. 24. 10:00
[퀴즈] 나의 미디어리터러시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퀴즈 맞추기

안녕하세요 미리프렌즈 2기 이예령입니다:) 더위가 한풀 꺾이고 어느새 선선한 가을이 코앞으로 다가왔네요🍁다들 환절기에 건강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간단한 퀴즈 세 개를 풀어보려고 해요!아주 쉬운 문제이니, 평소 여러분의 미디어리터러시 습관이 어떤지 고민하며 풀어보면 좋을 것 같아요! 그럼 한번 문제를 풀어볼까요~? ... 다들 정답을 맞히셨을까요?! 1번 문제의 정답은 2!2번 문제의 정답은 X!2번 문제의 정답도 X! 였습니다!그렇다면 왜 정답인지도 정확히 알아야겠죠? 우선 1번부터 풀이를 해볼게요! 뉴스 기사라고 뭐든 맞는 정보만 있는 것은 아니에요. 기사로 둔갑한 콘텐츠도 많고, 종종 오보도 있답니다. 따라서 다양한 기사와 입장을 모두 파악하는 것이 미디어리터러시의 첫 출..

2025. 9. 21. 10:00
[알고리즘 파헤치기] 알고리즘 원리를 알면, 미디어 리터러시가 보인다

안녕하세요~ 미리프렌즈 2기 박소민입니다 😆 비가 쏴아아- 내리는 초가을 날씨를 체감하는 요즘,저는 휴학 후 트렌드 공부를 위해유튜브를 자주 시청하고 있답니다. 지난 1년 반 동안 대학방송국에서 활동하며유튜브에서 시청자를 끌기 위해서는‘썸네일’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게 됐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시청자를 유도하기 위한유튜브와 넷플릭스의 알고리즘에어떤 원리가 있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알고리즘의 세계로 함께 떠나 보실까요~? 알고리즘, 왜 이 영상을 추천해 줄까? 우리는 유튜브, 넷플릭스 등 플랫폼에서수많은 콘텐츠를 탐색하고 시청합니다. 그런데 여기서,‘왜 이 영상을 추천해 주는가’에 대해의문을 가진 적 있으신가요? 이 의문을 해결하는 핵심은 바로 ‘알고리즘’입니다.알고리즘은 우리가 접하는 콘텐츠를 제어하..

2025. 9. 19. 11:29
초등학교에서의 첫걸음,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첫 시작

|서용리(문덕초등학교 교사)|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까.서용리 문덕초등학교 교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의뢰로 초등학교 1~2학년 대상 미디어 교구재를 개발했다. 커리큘럼과 교구재 개발 과정, 교구재의 주요 내용과 교육 현장의 반응 등 아이들이 학교에서 처음 만나는 미디어 교구재 탄생기를 소개한다. 초등교사에게 1학년은 기피 학년이다. 끊임없는 아이들의 질문과 사투를(?) 벌이며, 하나부터 열까지 손길이 닿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가장 보람을 느끼게 하는 학년이기도 하다. 아이들에게 1학년 담임교사는 학교에서 처음 만나게 되는 선생님이자 어른이고, 사회를 보는 창이 된다. 세상의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는 사람으로 여기기에 아이들은 선생님을 자신이 아는 가장 ..

2025. 9. 17. 10:00
1 2 3 4 5 6 ··· 54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