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4)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기자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스마트폰 신문읽기 신문 책 미디어 뉴스 독서 NIE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교육 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이벤트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4)

  • 스마트폰 환경에서도 끊임없이 진화하는 블로그의 힘

    2015.08.03
  • 방송은 어떻게 평가되는가

    2015.08.03
  • 보고서 ‘디지털 시대의 문화 저널리즘 연구’

    2015.07.31
  • '다독다독 기자단'과 외국인 유학생 '아우르기'가 함께한 Learn & Run 여름 캠프!

    2015.07.31
  • 웰컴투 코리아! 같이 즐겨요 한국문화!

    2015.07.30
  • 서로 다른 결혼 문화 속 하나의 진리

    2015.07.30
스마트폰 환경에서도 끊임없이 진화하는 블로그의 힘

인터넷 브라우저의 출현과 맞물린 블로그의 확산 블로그는 인터넷(1969)이 모자이크 브라우저(1993)의 출현이 급속하게 확산되기 시작한 다음해에 생겨났습니다. 스왓모어 칼리지(Swarthmore College)의 대학생이던 저스틴 홀(Justin Hall)은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해 일기를 연재하기 시작했습니다. 컴퓨터 통신에도 게시판을 통해 자신들의 이야기를 해오던 문화는 널리 확산된 상태였으며 기업들조차도 인터넷을 가지고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해 전혀 감을 잡지 못하던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이 확산되기 시작하면서 사용자들은 게시판을 통해 자신의 주장과 이야기를 펼쳐놓고 공유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저스틴 홀의 일기 연재가 뉴욕타임지에 소개되면서 후에 처음으로 “블로그”라는 말이 사용되기 시작..

2015. 8. 3. 14:00
방송은 어떻게 평가되는가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순천향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심미선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방송에 대한 수용자의 평가가 도입되기 시작한 것은 상업방송이 등장하면서부터였습니다. KBS와 MBC 2개의 지상파방송만 존재하던 방송 환경에서 1991년 10월 상업방송 SBS가 개국했고, 이때부터 시청률 경쟁은 시작됐습니다. 지금까지 기록된 시청률의 출발은 1992년부터입니다. 이때부터 시청률은 방송을 평가함에 있어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는 지표였습니다. 자사 입맛에 맞는 시청률 결과 방송인들은 하루의 시작을 시청률과 함께 합니다. 피플미터 방식에 의해 매일매일 시청률이 산출되다보니 채널의 성과가, 프로그램의 성과가 시청률로 결정되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방송에서 시청률의 입지는 더욱 ..

2015. 8. 3. 09:00
보고서 ‘디지털 시대의 문화 저널리즘 연구’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강원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김세은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공모하는 연구과제 가운데 문화와 관련한 주제가 나오기는 처음이 아닌가 싶었습니다. 의아하면서도 반가웠습니다. 선정되고 나서는 정말 잘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 ‘기회’에 한국 문화 저널리즘의 ‘거의 모든 것’을 담아야 한다는, 결코 가볍지 않은 의무감까지 생겨났습니다. 문화 기사의 우울한 현실 문화 저널리즘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무엇이 문화 저널리즘인지, 어떻게 해야 문화 저널리즘을 진단하고 논의할 수 있는지를 고민해야 했습니다. 문화 저널리즘에 대한 체계적인 선행연구가 별로 없기 때문입니다. 독일을 제외하고는 ‘문화 저널리즘’이라는 용어조차 낯선 형편입니다. 주요..

2015. 7. 31. 14:00
'다독다독 기자단'과 외국인 유학생 '아우르기'가 함께한 Learn & Run 여름 캠프!

지난 7월 22일부터 2박 3일 동안 저희 다독다독 기자단이 외국인 유학생 한국문화탐방단 ‘아우르기’와 함께 충남 보령으로 Learn & Run 여름 캠프를 다녀왔습니다! 지난달에도 다독다독 기자단과 아우르기가 한국과 세계의 문화를 알리기 위해 뭉쳤던 것 기억하시죠? 이번 여름 캠프의 경우에는 한국문화와 한국의 대중문화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저희 다독다독 기자단이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문화를 제대로 배우고, 느끼려면 뭐니 뭐니 해도, 직접 체험하고 뛰어 놀 수 있는 축제가 좋겠죠? 그래서 ‘아우르기’ 친구들과 함께 아름다운 경치와 즐길 거리가 가득한 충남 보령의 머드축제를 온몸으로 제대로 즐기고 왔습니다. 캠프 당일인 7월 22일, 약속 시간에 맞춰 ‘아우르기’와 ‘다독다독 기자단’이 한곳에 모두 ..

2015. 7. 31. 09:00
웰컴투 코리아! 같이 즐겨요 한국문화!

*위 기사는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에서 운영하는 외국인 유학생 그룹 '아우르기'와 다독다독 대학생 기자단이 한국의 문화를 알리고 SNS로 소통하는 방법을 익히기 위해 함께 취재하고 작성한 기사입니다. 예전에는 주변에서 해외여행을 가는 사람들을 찾기 어려웠습니다. 교통수단의 문제도 있었지만, 다들 외국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요즘은 이동거리도 줄어들고 해외로 나가는 사람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아울러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외국인들도 많아졌는데요. 이젠 서로 왕래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된지 오래되었습니다. 우리나라도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을 위한 다양한 관광 상품과 특화된 장점을 발굴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의 경우 발리, 하와이는 아름다운 자..

2015. 7. 30. 14:00
서로 다른 결혼 문화 속 하나의 진리

*위 기사는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에서 운영하는 외국인 유학생 그룹 '아우르기'와 다독다독 대학생 기자단이 한국의 문화를 알리고 SNS로 소통하는 방법을 익히기 위해 함께 취재하고 작성한 기사입니다. 화려한 조명과 장식으로 꾸며진 호텔과 수많은 하객들로 붐비는 풍경.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기존의 결혼식과는 사뭇 다른 결혼문화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름 하여 ‘에코웨딩’인데요. 소박함과 친환경적인 콘셉트를 추구하며 결혼식의 비용을 최소화하고 지나치게 많은 하객보단 가족과 지인이 소규모로 모여 결혼의 진정한 의미를 회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가수 이효리가 제주도에서 결혼식을 올리면서 시작되고, 방송인 김나영 그리고 최근에는 배우 원빈과 이나영이 강원도 정선에서 이색적인 결혼식을 하면서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

2015. 7. 30. 09:00
1 ··· 241 242 243 244 245 246 247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