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스마트폰 공모전 책 신문읽기 한국언론진흥재단 NIE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언론진흥재단 독서 기자 뉴스 신문 뉴스읽기뉴스일기 이벤트 미디어교육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18)

  • ‘사진+제목+기사’가 지면구성의 3총사

    2015.09.03
  • 싸이월드의 성공과 실패, 그 처음을 기억하며

    2015.09.03
  • 우리가 느끼는 모든 감정들은 소중하다

    2015.09.02
  • “억울하다면, 두드리시오! ”- 신문고

    2015.09.02
  •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8월4주>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종합 10위 진입

    2015.09.01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9월 1주)

    2015.09.01
‘사진+제목+기사’가 지면구성의 3총사

신문 편집의 기본 요령을 익혀두면 여러모로 요긴합니다. ‘사진+기사+제목’이 지면구성의 3총사입니다. 뉴스를 담은 기사, 뉴스를 증명해주는 싱싱한 사진, 거기에 상황을 압축한 헤드라인만 있으면 누구라도 신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신문의 판형도 바둑판 크기의 대판, A3용지 크기의 베를리너판, A4용지 크기의 잡지판 등으로 다양하게 선택 가능합니다. 신문 편집요령은 온라인뉴스 편집, 가족-학교신문 편집, 단행본 편집, 잡지 편집, 소식지 편집 등에 두루 응용할 수 있는 기본기가 됩니다. 가장 먼저 할 일, 지면의 주인공을 정하라 요즘 신문 1개 지면엔 평균 3~5개의 기사가 배치됩니다. 먼저 톱기사(주연배우)를 고릅니다. 편집이란 경중완급을 따져서 중요한 것은 챙기고 덜 중요한 것을 아깝지만 버리는 절차입..

2015. 9. 3. 14:00
싸이월드의 성공과 실패, 그 처음을 기억하며

싸이월드 신화를 만들었던 SK컴즈가 결국 매각 되었습니다. 신문 기사로 다루어준 신문사가 손에 꼽을 정도였습니다. 과거 싸이월드의 영광을 생각 할 때 너무나 초라한 퇴진입니다. 싸이월드의 성공과 그 이후 실패에 대해서는 수많은 글이 있습니다. 한때는 한국을 대표하는 서비스로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 교재에도 수록 될 정도로 세계적으로도 잘 알려진 성공 사례이기 때문에 더이상 누군가 새로운 글을 작성할 필요가 없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그 시작이 어떠했는지, 어떻게 SK컴즈로 인수 되었는지 처음의 모습을 기록한 이야기는 찾아 보기 힘이 듭니다. 지금 시점에 필자의 과거 경험과 당시 관련된 업체에 근무했던 지인들의 이야기를 종합해 싸이월드의 초기 모습을 재현해 남겨 놓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1..

2015. 9. 3. 09:00
우리가 느끼는 모든 감정들은 소중하다

인간을 규정하는 다양한 말들 시대에 따라 인간을 규정하는 말도 다양하게 변화되었는데요. 신의 절대적 권위가 중시되었던 중세시대에는 인간을 종교적인 존재로 인식했습니다. 또, 자본주의가 성행하던 시기에는 인간을 이성적 동물로 바라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요즘은 어떨까요?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모바일 정보가 생활화된 현대인을 가리키는 호모 모빌리스(Homo-Mobilis), 디지털 공간에서 블로그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사회 관계망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말하기 좋아하는 소비자를 뜻하는 호모 나랜스(Homo-Narrans) 등 요즘 인간을 표현하는 말들이 참 많습니다. 하지만 그 중 가장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는 말이 바로 ‘감정동물’입니다. 인간은 이성보다는 감..

2015. 9. 2. 14:00
“억울하다면, 두드리시오! ”- 신문고

북은 인류역사상 가장 오래된 악기 중의 하나입니다. 사람들은 북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침으로써 집단이나 조직의 행동을 일사 분란하게 움직이게 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북은 박자를 통해 집단행동을 일체화해 줌으로써 구성원의 심리적 안정감과 공감대를 형성해 주기도 합니다. 또한 북은 상대방과 커뮤니케이션 하는 주요 수단이기도 하였습니다. 북 소리가 하나의 상징이 되어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기도 하였습니다. 조선시대 신문고는 “나 억울합니다. 왕이여, 내 말 좀 들어보소!”라는 신호용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래서 신문고는 백성과 왕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상호 연결기능을 하였습니다. 신문고의 유래 조선시대 신문고는 맨 처음 ‘등문고’라 칭하였고, 한때 ‘승문고’라 불리기도 하였으나, 주로..

2015. 9. 2. 09:00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8월4주>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 종합 10위 진입

이번 주 역시 기시미 이치로의 『미움받을 용기』, 프레드릭 배크만의 『오베라는 남자』, 『백종원이 추천하는 집밥 메뉴 52』등 베스트셀러에 진입한 지 꽤 오래된 책들이 꾸준한 인기를 끕니다. 특히 팟캐스트 을 책으로 엮은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현실너머 편은 지난 주보다 약 3계단 상승해 종합 7위에 올라 차트를 역주행 중입니다. 새로 진입한 도서로는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의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이 종합 10위에 올랐습니다. 책은 한국인들이 모르거나 의식하지 않는 한국의 독특한 장점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한국이 세계 최초로 제국주의 정책을 채택한 경험이 없는 선진 모범국가라고 말하면서 한국의 훌륭한 문화적 유산과 그것을 어떻게 지키고 살려나가야 하는지를 설명합니다. 한국의 ..

2015. 9. 1. 14:00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9월 1주)

서평 전문기자들이 선정한 새로 나온 책 TOP 3. 책의 구독률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는 뉴스를 접했습니다. 책은 점점 멀리하고 흥미 위주의 콘텐츠들로 시간을 보내게 되는데요. 점점 책이 설 자리가 없어지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다독다독 독자들은 책을 멀리하는 분은 없겠죠? 9월 첫 주 새로 나온 책은 무엇일까요? 1위는 야생 참매를 길들이게 되면서 겪은 놀라운 경험과 변화 “메이블 이야기”, 2위는 접촉이 아니라 접속만 하고 있는 디지털 시대의 인간관계를 돌아보는 “빌리지 이펙트”, 3위는 대표적인 화가, 극작가, 소설가, 작곡가 등을 선택해 그들의 삶과 작품속에 녹아든 모더니즘을 설명하는 “모더니즘”입니다. 1위 : 메이블 이야기헬렌 맥도널드 지음 | 판미동 | 2015년 08월 24일 출간 이 책은..

2015. 9. 1. 09:00
1 ··· 241 242 243 244 245 246 247 ··· 53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