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4)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다독다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NIE 신문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신문읽기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미디어교육 이벤트 언론진흥재단 기자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독서 공모전 뉴스리터러시 미디어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4)

  • 인터뷰 방식으로 블로그 글쓰기

    2015.08.11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8월 2주)

    2015.08.11
  • 모바일 깃발 내건 방송사의 대응

    2015.08.10
  • 우리는 착해지고 있을까

    2015.08.10
  • ‘나는 생각한다’류 기사 쓰기는 이제 그만

    2015.08.07
  • 고3들에게-무작정 암기하지 말고, 지식을 분류 편집하라

    2015.08.07
인터뷰 방식으로 블로그 글쓰기

사람들간의 이야기 과정으로서의 인터뷰 우리들의 모든 삶은 끊임없이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야기하는 과정을 통해 정보와 지식을 얻고 감정과 문화를 이해하며 서로 친한 관계가 될 수도 있습니다. 사전은 인터뷰(interview)에 대해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개인이나 집단을 만나 정보를 수집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일. 또는 그런 것. 주로 기자가 취재를 위하여 특정한 사람과 가지는 회견을 이른다. ‘면접’, ‘회견’으로 순화”라고 표현합니다. 신문, 잡지, 방송이 뉴스 생산을 위해 취재하는 방법이기도 하지만 연구원들이 현장 조사를 위해 실무자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도 인터뷰가 사용됩니다. 뿐만 아니라 소설가와 시인들도 작품 활동을 위해 관련된 사람들을 만나 질문하고..

2015. 8. 11. 14:00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8월 2주)

서평 전문기자들이 선정한 새로 나온 책 TOP 3. 주말에 나온 각 신문 북섹션에 새로나온 책들 중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책 세 권을 선정하여 소개해드립니다. 실린 지면의 수와 기사의 크기, 표지가 실렸는지 아닌지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합산하여 선정하니 믿고 보실만 하겠죠~ 1위는 살수대첩(612년)부터 나당전쟁(676년)까지 유라시아 지정학을 결정지은 7세기 국제전의 전개를 생생하게 전하는 “고대 동아시아 세계대전”, 2위는 세계 최고의 기업들은 기후 변화의 시대를 어떻게 대비하고 있는가를 묻는 “나는 자연에 투자한다”, 3위는 과학과 기술이 야기한 윤리적 문제, 미래 신기술의 위험성, 과학과 전쟁의 관계 등을 다룬 “과학은 반역이다”입니다. 1위 : 고대 동아시아 세계대전 서영교 지음 | 글항아리..

2015. 8. 11. 09:00
모바일 깃발 내건 방송사의 대응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SBS 보도국 뉴미디어부장 / 심석태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현실의 언론인들이 미디어 전략가들을 따라가기는 항상 버거운 법입니다. 이분들은 전통 언론들이 뉴미디어에 적응하기 위해 무거운 발걸음을 떼기 시작 하자마자 ‘디지털 퍼스트’를 외치며 아예 전통 미디어에게 디지털 뉴미디어 전략을 다시 쓰라고 요구했고, 전통 미디어들이 그나마 ‘디지털 퍼스트’의 필요성을 조금 심각하게 받아들이기 시작하자 이젠 ‘모바일 퍼스트’로 깃발을 바꿔버렸습니다. 품은 많이 들고 수익 모델은 없고 더구나 구글과 같은 IT 기업들은 모바일 퍼스트도 모자라 아예 ‘모바일 온리(Mobile Only)’를 주창하고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직 국내 전통 미디어들의 실상은 ‘디지털 퍼스트’라는 구..

2015. 8. 10. 14:00
우리는 착해지고 있을까

영화를 보다보면 불과 100년 전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잔인하고 폭력적인 장면이 많이 나옵니다. 사람을 죽이는 경우는 비일비재했으며, 그 방법도 잔인하기 짝이 없었습니다. 100년 전에는 인권에 대한 의식이 없어서 그러했을 것이라고 쉽게 생각할 수 있지만 꼭 의식 수준의 차이 때문만은 아닐 수 있습니다. 국가는 왜 생겼을까? 인간 사회에 제한 없는 자유를 비판한 대표적인 철학자는 토머스 홉스(Thomas Hobbes)입니다. 유물론의 창시자인 베이컨의 철학을 계승 발전 시킨 홉스는 인간의 본성은 증오와 파괴의 비이성적인 충동으로 가득차 있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는 인간 사회가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으로 암흑 세상이 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동물 세계와 다름 없이 ..

2015. 8. 10. 09:00
‘나는 생각한다’류 기사 쓰기는 이제 그만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연합뉴스 사회부기자 / 권영전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지금 김 양이 얘기하는 것도 어린 학생이 거짓말을 얘기할 것 같다는 생각이 안 들고 아버지도 거짓말을 할 거란 생각이 안 드는 것도 사실이에요.” “김 양은 자신의 상상을 진실로 믿는 ‘리플리 증후군’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아버지 김 씨의 말대로 치료를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명문고에 다닌 한국인 여성이 하버드와 스탠퍼드에 동시 입학했다고 주장하자 한국 언론들은 일제히 기사를 쏟아냈습니다. 이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자 다시 이번에는 반대의 내용이 담긴 기사를 내보냈습니다. 이 때문에 언론이 검증도 없이 오보를 내느냐는 비판도 여기저기서 많이 제기됐습니다. 하지만 속보와 선정성으로 시청자와 독..

2015. 8. 7. 14:00
고3들에게-무작정 암기하지 말고, 지식을 분류 편집하라

교실은 인류가 발명한 최고의 지식 전수 공간이며 사제지간 유형 무형의 지혜가 교차하는 곳입니다. 학창시절엔 교과서를 통해 세상 지식을 과목별로 익힙니다. 월말고사 중간고사 기말고사 모의고사를 통해 학습능력을 평가받습니다. 누구나 시험공부는 피할 수 없습니다. 시험은 과도하게 경쟁을 유발하는 단점도 있지만 학습의 계기이자 성취 측정도구로 큰 역할을 합니다. 시험은 공부 못하는 학생을 영원히 낙오시키는 제도가 아니라 현재의 실력을 측정하여 더욱 분발하도록 격려하는 제도로써 큰 의미를 갖습니다. 시험을 잘 보려면 어떤 능력이 좋아야 할까요. 단순한 암기력만으론 융합적 지식이 요구되는 대입 수능평가와 대학별 전형시험에 제대로 대처할 수 없습니다. 공부의 달인들은 지식을 묶고 분류하고 압축하는 편집능력이 남다릅니..

2015. 8. 7. 09:00
1 ··· 239 240 241 242 243 244 245 ··· 52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