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1)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책 공모전 미디어교육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이벤트 한국언론진흥재단 기자 신문읽기 신문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다독다독 언론진흥재단 독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NI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1)

  • 케이블방송 20년의 성과와 과제

    2015.07.24
  • <백년 간 뉴스> 식생활의 대혁명, 냉장고 이야기

    2015.07.23
  • 조선왕조가 지속가능했던 이유 - 일간신문 〈조보〉

    2015.07.23
  • 블로그와 SNS 콘텐츠를 위한 사진 이미지 작업 노하우 3

    2015.07.22
  • 아마존은 워싱턴포스트를 바꿀 수 있을까

    2015.07.22
  •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7월2주> 다시 컬러링북 인기, 『비밀의 정원』 6위

    2015.07.21
케이블방송 20년의 성과와 과제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성균관대 언론정보대학원 겸임교수 / 김희경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케이블방송은 다양한 의미로 개념이 혼용돼 사용되어 왔습니다. ‘유선방송’ ‘종합유선방송’ ‘중계유선’이 대표적이고, ‘케이블TV방송’이나 ‘중계유선방송’처럼 방송을 덧붙이기도 합니다. 케이블 TV는 종합유선방송과 중계유선방송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로 사용되지만 국내의 경우에는 종합유선방송 사업자들이 중계유선과 차별화하기 위해 자신들은 케이블TV라고 부르고, 중계유선방송은 유선방송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종합’이라는 접두어는 중계유선과 종합유선을 구분하기 위한 것과 여러 가지 전문 채널을 종합하여 보내주는 유선방송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종합유선방송을 케이블TV로 통칭하고 있..

2015. 7. 24. 09:00
<백년 간 뉴스> 식생활의 대혁명, 냉장고 이야기

“집에 냉장고나 테레비 있는 사람 손들어 보세요” “하나, 두울, 세엣 ....” 30~40년 전만해도 학교에선 이런 가정환경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어느 사립초등학교 신입생 면접에선 어린 학생에게 TV와 냉장고를 직접 그려보라고 하는 바람에 학부모들이 분노하고, 사회적으로도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 이제는 “우리 집에 냉장고 있다~”라고 자랑하는 아이들도 없고, 냉장고가 가정의 필수품이라고 말하는 것도 이상할 정도로 냉장고 없는 생활은 상상할 수도 없는 세상입니다. 그러나 이런 가정용 냉장고가 개발된 시기는 겨우 100년 정도밖에 안됐고, 우리나라에서 집집마다 사용하게 된 시기도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어머! 이게 냉장고야? 1920년대 이후 신문기사에선 냉장고를 사용하라는 글이 종종 등장합니다. 당시..

2015. 7. 23. 14:00
조선왕조가 지속가능했던 이유 - 일간신문 〈조보〉

조선왕조가 500여 년 동안 지속가능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조선을 어떠한 측면에서 보느냐에 따라 그 해답이 각기 다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정치·경제적 측면에서 나름의 여러 원인이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는 조선이 지속가능했던 이유를 문화적 측면 특히 기록 문화에 관해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실록의 분산 배치 – 인터넷의 원형 ? 아시다시피, 『조선왕조실록』은 국보 제151호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1995년에 지정되었습니다. 실록은 한양의 춘추관, 충주, 전주, 성주에 보관하였으나, 임진왜란 후 자주 소실될 것을 우려해 강화, 봉화, 영변, 평창 등에 보관하였습니다. 현재에는 정족산본, 오대산본, 태백산본 등이 남아 있습니다. 계속되는 전쟁에 왕조실록을 후대에 전승해 주려, 전국 곳곳에 분산 배치했..

2015. 7. 23. 09:00
블로그와 SNS 콘텐츠를 위한 사진 이미지 작업 노하우 3

스캐너로 사진 이미지 스캔하기 종이에 있는 사진과 그림을 컴퓨터로 가져올 수 있을까요. 간단합니다. 스캐너는 사진과 이미지를 캡처하여 디지털로 바꾸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스캐너의 원리는 복사기와 같습니다. 조금 어렵지만 전문적인 내용으로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스캔(scan)은 텔레비전 수상기나 컴퓨터의 표시 장치에서, 전자 빔을 형광면의 내부 표면 위에서 옆으로 한 줄씩 살펴서 텍스트의 페이지, 사진, 도면, 그림 등 정보가 있는 픽셀을 밝혀 화상(畫像)을 형성하는 작업으로서 스캔 또는 주사(走査)라고 합니다. 책이나 인쇄물에 사진과 그림 원고를 사용하려면 이들을 디지털 파일로 변화시켜야 하는데 이 작업에서 스캔이 사용됩니다. 스캔을 하는 업체들은 자신들의 전문 장비들을 가지고 의뢰하는 사람들의 원고를 ..

2015. 7. 22. 14:00
아마존은 워싱턴포스트를 바꿀 수 있을까

세계 1위 온라인 쇼핑 사이트인 아마존 창업자 겸 CEO인 제프 베조스가 약 140년 역사를 자랑하는 가장 오래 된 신문인 ‘워싱턴 포스트(The Washington Post)를 2013년 8월 인수하자 전 세계는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가장 상업적일 거 같은 쇼핑몰 아마존과 가장 비상업적일 거 같은 보수적인 신문 이 둘의 조합은 사람들이 쉽게 납득하기 어려웠습니다. 하루가 다르게 줄어 가는 종이 신문 판매량 때문에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는 워싱턴 포스트를 도대체 왜 인수 했는지 모르겠다는 반응과 미디어 산업이 IT 산업에 잠식 당한 것이고 앞으로 더욱 이런 일이 많이 발생 할 수 밖에 없다는 미디어 산업이 처해있는 우울한 현실에 대한 한탄이 대부분의 반응이었습니다. 상업적으로 인수 할 이유를 찾을 수 없..

2015. 7. 22. 09:00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7월2주> 다시 컬러링북 인기, 『비밀의 정원』 6위

이번 주 베스트셀러는 지난 주와 비슷한 순위를 보여줍니다. 기시미 이치로의 『미움받을 용기』가 독주를 이어가며 종합 1위를 이어가고, 프레드릭 배크만의 『오베라는 남자』, 백종원의 『백종원이 추천하는 집밥 메뉴 52』가 상승세를 보이며 종합 2, 3위에 올랐습니다. 작년 하반기 서점가에 컬러링북 열풍을 끌었던 조해너 배스포드의 『비밀의 정원』이 다시 순위권에 진입했습니다. 인기 드라마 에 책이 등장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종영된 드라마지만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며 다시금 재주목 받고 있습니다. 책은 어른들을 위한 컬러링 북으로, 색색의 펜으로 종이를 채우는 아날로그적인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색연필과 펜만 있으면 누구든 어디에서든 시작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으로 자신만의 창의적이고 아름..

2015. 7. 21. 14:00
1 ··· 246 247 248 249 250 251 252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