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언론진흥재단 공모전 스마트폰 NIE 신문읽기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이벤트 뉴스 뉴스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기자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교육 미디어리터러시 독서 신문 미디어 다독다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기자 3인의 생생한 ‘디지털 단식’ 체험

    2015.07.06
  • 소프트웨어와 인간의 자리 경쟁

    2015.07.03
  • 창조적이며 스마트한 군중들의 시대는 왔는가?

    2015.07.03
  • 디지털 시대 뉴스통신사의 현황과 역할

    2015.07.02
  • 보이지 않는 엔진, 플랫폼의 특징

    2015.07.02
  • 뉴스는 ‘주어진 것’이 아니라 ‘구성된 것’_뉴스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2015.07.01
기자 3인의 생생한 ‘디지털 단식’ 체험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서울신문 특별기획팀장/ 김상연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어느 날 저녁 연거푸 촐랑거리는 휴대전화 알림음 소리에 ‘카카오톡’을 열어보니 결혼한 여동생이 보낸 사진 세 통이 들어와 있었습니다. 가족끼리 놀러가서 찍은 사진인 모양이었습니다. 사진 외에 별도로 문자메시지가 첨부돼 있지 않은 게 좀 이상했지만, 가족 동향을 가볍게 사진으로 알려주는 의도이겠거니 짐작하고 다른 일로 관심을 돌렸습니다. 한 시간쯤 지났을까요. 다시 알림음이 울렸습니다. 카톡을 열어보니 여동생이 보낸 메시지가 들어와 있었습니다. “오빠, OO이가 핸드폰 갖고 놀더니 사진을 보냈네. 기막혀.” 한 달간 스마트폰 금지! OO이는 생후 40개월밖에 안 된 여동생의 아들입니다. 그러니까 만 4살도 안 된..

2015. 7. 6. 09:00
소프트웨어와 인간의 자리 경쟁

물리학자이자 살아 있는 과학자 중에 가장 널리 이름이 알려진 스티븐 호킹 박사는 영국 런던에서 열린 ‘자이트가이스트 2015’ 콘퍼런스에서 “100년 안에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우수해진다고 주장했습니다. 컴퓨터가 사람을 지배하는 세상이 올 수도 있다.”가 주장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습니다. 기술 문명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 한 것입니다. 세계 최고의 천재 중 한 명으로 17개의 명예 박사 학위가 있는 ‘레이 커즈와일’ (Ray Kurzweil)도 인류의 미래에 대해 비관적으로 전망합니다. 그는 컴퓨터가 글을 읽을 수 있게 해 주는 기술인 OCR 등, 인공 지능 분야를 발명 해 세계 최고의 발명자이자 미래 학자로 인정 받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그를 '지칠 줄 모르는 천재' 라고 칭찬했으며, 포브스..

2015. 7. 3. 14:00
창조적이며 스마트한 군중들의 시대는 왔는가?

하나의 유령이 지금 네트워크 세계를 배회하고 있습니다. 창조적이며 스마트한 군중입니다. 처음에 보여진 얼굴은 스마트폰으로 무장한 사용자들이었습니다. 이들이 출현한 이후, 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수많은 현상들이 드러나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SNS가 확산됨에 따라 특정한 세대와 소수를 넘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사람들로 그 관계망들이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사회적 관계와 상호작용은 위키피디아 같은 글로벌 차원의 집단지성 백과사전 작성 활동, 레고(Lego)사의 크라우드 소싱, 그리고 때로는 촛불시위 같은 군중 행동, 수십만 명의 팬덤 커뮤니티 활동으로 드러나기도 합니다. 네트워크의 세계에서는 대체 무슨 일이, 왜, 그리고 어떻게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요. 스마트 군중들의 활동은 전사회에 걸쳐 놀라운 역..

2015. 7. 3. 09:00
디지털 시대 뉴스통신사의 현황과 역할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한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최영재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국내 뉴스통신업에 관한 두 가지 오해 오해1: 현재 뉴스통신사는 3개뿐이다. 오해2: 뉴스통신은 ‘전통적인 뉴스도매상’일 뿐이다. 사람들은 뉴스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뉴스를 일상에서 접하고 있지만, 뉴스통신사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드뭅니다. 언론업계와 언론학계도 마찬가지입니다. 언론학자 상당수가 여전히 연합뉴스와 YTN을 구분하지 못합니다. 연합뉴스는 1980년 신군부 정권의 언론통폐합 조치에 따라 국내 유일 뉴스통신사로 탄생해 지금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가기간 뉴스통신사이고, YTN은 연합뉴스가 1992년 창립한 24시간 뉴스 전문 채널로 1990년대 말 IMF 사태 이후 한전과 마사회 등에 ..

2015. 7. 2. 14:00
보이지 않는 엔진, 플랫폼의 특징

참여자들에게 개방적인 플랫폼 시장과 반대되는 사례로는 백화점을 들 수 있습니다. ‘11번가’ 같은 오픈 마켓은 온라인에서 공급자로서 등록만 하면 누구나 상품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규칙이 공급자로서의 소비자에게 신뢰를 깨는 행위를 했을 때는 다시 가입하여 활동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개방적이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구조에서 신뢰를 지키지 않는 행위는 플랫폼 전체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백화점은 공급자로서 거래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백화점에서는 MD들이 다양하고 복잡한 조건과 계약, 검증을 거쳐 상품 공급자를 결정하는 폐쇄적 참여 구조입니다. 그렇다면 왜(why) 그리고 어떻게(how) 플랫폼이 비즈니스의 보이지 않는 엔진으로 작동하기 시작한 걸까요. 이 글은 ..

2015. 7. 2. 09:00
뉴스는 ‘주어진 것’이 아니라 ‘구성된 것’_뉴스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글을 잘 읽으면 뉴스도 잘 이해할 수 있나? 독자 여러분들 중에 이 블로그에서도 소개된 바 있는 KBS 1TV (5월 17일)라는 프로그램을 보신 분들이 있으신가요? 많지 않은 기사 조회 수나 방송 시간대(일요일 오후 5시 10분)로 봐선 아마 그 프로그램을 본 분들이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게다가 ‘뉴스사용법’ 자체에 대해 의문을 가진 분들도 있을 겁니다. 글을 읽고 이해할 줄 아는 문해력(literacy)이 있고 정규 교육을 조금이라도 받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뉴스를 사용할 줄 안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엔 뉴스를 시시한 것, 지루한 시간을 때우기 위한 가벼운 오락거리 정도로 여기는 분위기도 어느 정도 영향을 줄 겁니다. 뉴스 리터러시: 텍스트에서 콘텍스트로 뉴스의 내용(텍스트)은 문자나 음성, 이미지,..

2015. 7. 1. 14:00
1 ··· 248 249 250 251 252 253 254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