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5)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읽기 한국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NIE 미디어 이벤트 뉴스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신문 뉴스읽기뉴스일기 기자 책 독서 뉴스 미디어교육 언론진흥재단 공모전 계간미디어리터러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75)

  • 이미지가 당신이다, 당신을 편집하라

    2015.07.01
  •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6월 3주) 쿡방 대세 백종원이 추천하는 집밥 레시피 인기

    2015.06.30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6월 4주)

    2015.06.30
  • 금기와 자기 검열에 주눅 든 우리를 돌아보다2

    2015.06.29
  •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2015.06.29
  • SNS, 공론장과 양극화의 미로에 서다

    2015.06.26
이미지가 당신이다, 당신을 편집하라

“저 사람은 이미지가 참 좋다” “저 사람은 마주보고 싶지 않는 얼굴이야” 사람과 사람 사이엔 정(情)이 흐르고 정보도 흐릅니다. A와 B는 메시지를 주고받는 과정 속에서 A는 B에 대한 이미지를 품게 되고 B는 A에 대한 이미지를 축적해나갑니다. 상호 이미지 강도는 A와 B 둘 다에게 동량 동질이 아닙니다. A에게 B는 강력한 이미지로 형상화되어있으나 B에게 A는 수수한 이미지일 뿐입니다. 당신의 이미지란 ‘타인이 보고 느낀 당신의 모습’을 말합니다. 이때 이미지의 주체는 나지만 이미지의 평가 주체는 타인입니다. 그렇다면 나의 이미지는 주체일까요 객체일까요. 한 개인의 이미지가 단일화되지 못하고 분열될 수밖에 없는 근거가 여기에 있습니다. 이미지는 형용사로 표현됩니다. 평범하다 아름답다 지적이다 품위있..

2015. 7. 1. 09:00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6월 3주) 쿡방 대세 백종원이 추천하는 집밥 레시피 인기

이번 주 베스트셀러는 기시미 이치로의 『미움받을 용기』가 18주 연속 종합 1위를 이어갑니다. 그 뒤를 이어 채사장의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프레드릭 배크만의 『오베라는 남자』가 각각 종합 2,3위에 올라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신영복 교수의 『담론』이 종합 5위를, 공지영의 『딸에게 주는 레시피』가 종합 7위에 올랐습니다.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쿡방 대세로 떠오른 백종원의 인기가 서점으로 이어졌습니다. 지난해 출간한 『백종원이 추천하는 집밥 메뉴52』가 재주목을 받으며 종합 베스트셀러 6위로 진입했습니다. 책은 요리 초보자를 위해 꼭 알아두어야 할 핵심 집밥 메뉴 52가지를 담았습니다. 외식경영전문가인 백종원은 식당을 운영하면서 끊임없이 메뉴를 개발, 연구한 자신만의 노하우..

2015. 6. 30. 14:00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6월 4주)

서평 전문기자들이 선정한 새로 나온 책 TOP 3. 재미난 역사 이야기나 삶에 대한 유쾌한 이야기를 찾으시는 분들 주목해주세요~ 이번주는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책들이 많이 나왔네요. 역사라고해서 어렵거나 복잡한 책들은 아니오니 틈틈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1위는 술에 담긴 문화사 이야기 “알코올의 역사”, 2위는 미국이 견뎌낸 금융위기 탈출의 기록 “스트레스 테스트”, 3위는 학자금 대출을 갚아가며 삶에 성찰하는 과정의 기록 “봉고차 월든”입니다. 1위 : 알코올의 역사 로드 필립스 지음 | 윤암서가 | 2015년 06월 30일 출간 축하할만한 기분 좋은 일이 있거나 반대로 안 좋은 일이 있을 경우 우리는 술을 마시곤 합니다. 적당히 마시면 도움이 되지만 지나칠 경우 독이되기도 하죠. ..

2015. 6. 30. 09:00
금기와 자기 검열에 주눅 든 우리를 돌아보다2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SBS 스페셜' 작가/ 신진주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모든 것이 천천히 흘러가는 나라 노르웨이 네덜란드에서 찾을 수 없는 것이 ‘금기’라면 노르웨이에 찾을 수 없는 것은 ‘자극’이 아닐까 싶습니다. 노르웨이 촬영을 결정했을 때 우리를 가장 놀라게 한 것은 엄청난 물가였습니다. 오슬로 시내의 가장 저렴한 호텔조차 제작비로는 엄두도 못 낼 정도였고, 맥도날드에서 한 끼때우는 비용이 1인당 2만 5,000원에 달하며, 현지 통역과 운전에 필요한 인건비는 노동의욕을 상실케 할 지경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촬영을 포기할 수 없었던 이유는 ‘슬로우 TV’라는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킨 배경이 못 견디게 궁금했기 때문입니다. 아침식사가 제공되지 않고 공동욕실을 사용하는 도..

2015. 6. 29. 14:00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애플 아이튠즈, 앱스토어 그리고 구글맵스 언제부터인지 플랫폼이란 말이 일상 용어처럼 되었습니다. SNS 플랫폼, 뉴스 플랫폼, 콘텐츠 플랫폼, 거래 플랫폼, 음악 플랫폼 등등. 음악을 좋아하여 자주 다운로드 받는 사람들도 애플 아이튠즈(iTunes)를 플랫폼이라고 하는 데에서는 갸우뚱해질 것입니다. 사전적으로 플랫폼이란 “역에서 기차를 타고 내리는 곳”(국립국어원)를 뜻합니다. 하지만 인터넷과 소프트웨어의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진 2000년대 이후로 플랫폼이란 용어가 새로운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합니다. 다양한 행위자들을 참여하여 서로 연결되어 관계를 맺은 채 상호작용을 벌여 가치를 창조하는 시스템(system) 또는 비즈니스를 플랫폼이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애플 앱스토어 등장은 수많은 ..

2015. 6. 29. 08:49
SNS, 공론장과 양극화의 미로에 서다

의제설정을 통한 공론장 형성에 기여 최근 트위터나 페이스북의 타임라인에는 대통령의 민생‧안전 행보, 유명 작가의 표절 논란, 진보 논객의 데이트 폭력에 관한 이야기들이 자주 등장합니다. 특히 소설가의 표절 문제라든지, 데이트 폭력 이슈는 블로그에 썼던 글이 SNS로 급속히 전파되었죠. 그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사회적인 문제에 관해 의견을 내놓고 토론을 하는 ‘공론장(公論場)’이 형성되었습니다. 소셜 네트워크로 얽힌 가상공간에서 확산된 여론을, 여론을 주도해 온 매스미디어도 뉴스화 했습니다. 매스미디어가 아니라 사회관계망으로 얽혀 있는 개인들도 SNS를 통해 ‘생각할 거리(what to think about)’를 던져줄 수 있게 된 거죠. 의제설정(agenda-setting)을 통한 공론장(public s..

2015. 6. 26. 14:03
1 ··· 249 250 251 252 253 254 255 ··· 53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