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46)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9)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20)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독서 신문읽기 NIE 뉴스 다독다독 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미디어 이벤트 기자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교육 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책 신문 뉴스리터러시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246)

  • 구글과 도미노 피자도 집착하는 ‘드론’이란 무엇일까?

    2014.05.14
  • ‘마음을 움직이는 글쓰기’ 지침서, 무려 4권이나?

    2014.05.13
  • 우리나라 최초의 베스트셀러는?

    2014.05.13
  • 북한을 기록한다, 아시아프레스

    2014.05.12
  • 新페미니스트! 현경 교수가 말하는 삶의 지침은?

    2014.05.12
  • 진정한 문화가 있는 사회, 읽고 쓰기에서 부터

    2014.05.09
구글과 도미노 피자도 집착하는 ‘드론’이란 무엇일까?

최근 북한의 것이라고 추정되는 무인항공기 일명 ‘드론(Drone)’이 발견되어 전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줬습니다. 이에 따라 사람이 타지 않은 무인기가 상공을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국가 안보에도 위협을 가하는 드론의 위험성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지만 세계 각국에서는 이 드론 의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논란의 중심이지만 드론이 꼭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것만은 아니라는 입장에서 개발, 생산을 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드론은 어떻게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기에 군대뿐만 아니라 일반 기업에서도 주목하는 것일까요? 오늘은 가까운 미래 방위산업은 물론 일반 대중들에게도 새로운 서비스와 경험을 제공할지도 모를 드론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드론은 공군기나 고사포의 연습사격에..

2014. 5. 14. 09:05
‘마음을 움직이는 글쓰기’ 지침서, 무려 4권이나?

이미지 출처_ 위키백과 글쓰기에 ‘자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과연 얼마나 될까요? 글 쓰는 것이 밥벌이인 작가들도 글쓰기에 대해 질문을 던지면 늘 고통스럽다는 답변을 내놓습니다. 《내 이름은 빨강》으로 세계적인 작가의 대열에 오른 오르한 파묵은 “제 상상력이 작동하게 하려면 외로움이라는 고통이 필요해요.”라고 말했고, 미국 현대문학의 거장 필립 로스는 “독자에게만큼 작가에게도 고되지요. 복화술사나 공연 배우보다는 칼을 삼키는 사람처럼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라고 말하며 글쓰기의 어려움을 토로합니다(《작가란 무엇인가》 중에서). 그러니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들에게 글쓰기란 당연히 어렵고도 험난한 과정인, 풀리지 않는 영원한 숙제인 셈이죠. 그나마 위안이 되는 건 글쓰기도 훈련을 하게 되면 그 실..

2014. 5. 13. 11:05
우리나라 최초의 베스트셀러는?

이미지 출처_ pixabay by geralt ‘최초’라는 말을 붙이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새로운 변화를 앞장서서 주도한 것들에 붙이는 자부심의 상징이면서, 많은 사람의 존경 표시가 되죠. 이름의 가치가 올라가니 그만큼 더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게 됩니다. 그래서 물건을 만들거나 새로운 변화를 주도했을 때, 우리는 늘 ‘최초’를 찾죠. 우리나라에도 최초를 가진 베스트셀러, 영화, 창작 그림책이 있답니다. 어떤 부분에서 최초란 이름을 가졌는지 다독다독과 함께 알아보실까요? 1954년 발표된 정비석의 소설 ‘자유부인’에는 "2차 모임은 댄스파티인데 남편은 안 되고 애인 데려오세요."라는 말처럼 당시 사회적인 충격을 던져주는 내용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죠.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학교수의..

2014. 5. 13. 09:04
북한을 기록한다, 아시아프레스

국내 언론과 해외 언론사들도 엄청난 이슈를 불러오는 소재가 있습니다. 바로 ‘북한’의 내부 모습을 담은 다큐멘터리나 뉴스 방송인데요. 그만큼 북한 내부의 모습은 철저하게 감춰져 있어 특종 중의 특종입니다. 하지만 실제 촬영을 한 영상을 보면 실망하게 되는데요. 북한의 통제를 벗어나지 못하고 북한 안내원이나 정부 관계자들의 인터뷰만 가득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사는 주민들의 모습이나 생생한 현장의 모습은 거의 없죠. 물론, 그래도 이러한 제약 속에서라도 북한을 방문하는 그들의 처지가 부럽습니다. 우리는 가고 싶어도 마음대로 갈 수 없으니까요. 이런 상황에서 북한의 실질적인 이인자, 장성택의 처형과 같은 굵직한 사건이 터져 나오거나, 김정은 집권 2년과 같이 중요한 시점에는 프로그램을 제작해야 합니다..

2014. 5. 12. 11:00
新페미니스트! 현경 교수가 말하는 삶의 지침은?

바야흐로 이 시대의 화두가 ‘힐링’이 된지 오래입니다. 정보의 범람 속에서 흔들리는 가치관을 바로 잡고, 진정한 삶이란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해보는 일이 현대인에게 점차 중요해지고 있는 것이죠. 이렇게 물음표의 연속인 인생을 살아가는 우리를 위해 마련한 SBS 아이러브’人’은 4월 30일 박범신 작가의 멋진 강연을 시작으로 그 다섯 번째 시즌의 화려한 막을 열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의 뜨거운 관심이 이어지며 두 번째 강연이 열렸는데요. 여성과 환경, 생명을 위해 운동하는 新페미니스트 현경 교수의 강의가 열린 아이러브인 현장에 다독다독도 다녀왔습니다. 지식나눔 콘서트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는 우리가 꼭 들어야 하는 인생 강의의 현장에서 만난 현경 교수는 우리에게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었을까요? 지난 5월 7일 등..

2014. 5. 12. 09:02
진정한 문화가 있는 사회, 읽고 쓰기에서 부터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이 무엇일까요. 직립, 도구 사용 등과 같은 차이를 말하지만, 인간에게는 동물에 없는 언어가 있다는 것이 인간과 동물을 가르는 가장 큰 차이라고 봅니다. 언어를 통해 인간은 문화를 발전시켜 왔고 삶이 풍성해져 왔죠. 동물의 삶은 수천, 수만 년 전과 지금이 다르지 않지만, 인간의 삶은 꾸준히 달라져 왔습니다. 사상이 무르익고 과학이 발전하는 등 이 모든 것이 언어를 통해서 이루어졌죠. 언어를 사용해온 인간의 역사에서 큰 변화가 있었으니, 바로 ‘문자’의 발명입니다. 문자가 생기고 나서 글과 책이 생겼죠. 이어서 독서가 따랐습니다. 문자의 발명은 어느 한순간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죠. 그림문자에서 서서히 상형문자로 진화하고 다시 소리 문자로 발전이 되었습니다. 한민족의 경우에는 한자를 ..

2014. 5. 9. 11:13
1 ··· 344 345 346 347 348 349 350 ··· 541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