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91)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3)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다독다독 뉴스읽기뉴스일기 기자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모전 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 신문 책 스마트폰 뉴스리터러시 독서 NIE 이벤트 미디어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읽기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191)

  • 거실에 놓인 신문 한부, 부모가 할 수 있는 최고의 교육

    2011.06.23
  • '잘 쓴 글'이라고 인정받는 글의 특징은?

    2011.06.22
  • 공병호 박사의 정보 원천은 무엇일까?

    2011.06.22
  • 종이신문과 신문 어플리케이션, 차이점 비교해보니

    2011.06.21
  • 취미로 시작한 독서토론, 직업이 되기까지

    2011.06.21
  • 무단 펌질과 관련된 저작권법 알아보니

    2011.06.20
거실에 놓인 신문 한부, 부모가 할 수 있는 최고의 교육

요즘처럼 인터넷을 통한 정보가 범람하고, 영상매체가 더 익숙한 세상을 살다보니 오히려 인문학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특히 글쓰기가 경쟁력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글쓰기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는데요.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들도 글쓰기가 대입과 논술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글 잘 쓰는 아이로 키울 수 있을까 고민하며, 책도 읽어보게 하고 논술 학원에 보내기도 합니다. 이렇게 글쓰기 실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는 부모들에게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는 아이들의 생각을 키워주고 글쓰기 실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신문활용교육(NIE)’ 특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신문이 글쓰기에 어떻게 도움이 될까요? 글쓰기가 경쟁력이다 지난 21일 프레스 센..

2011. 6. 23. 09:06
'잘 쓴 글'이라고 인정받는 글의 특징은?

상록교회는 우리 집 근처에 있어서 주말에 자주 찾곤 합니다. 저는 비록 상록교회의 신자는 아니지만 상록교회에서 일하는 담임목사님을 좋아하기 때문에 그 분의 말씀을 듣기 위해서라도 상록교회에 자주 갑니다. 상록교회는 생긴지는 얼마 지나지 않은 개척교회이지만 목사님이 인기가 많아 기독교를 믿는 동네사람들은 대부분 상록교회에 다닙니다. 위 문장에서 어색한 부분을 발견하셨나요? 바로 지나치게 ‘상록교회’라는 단어가 중복되고 있다는 점인데요. 읽다 보면 금방 어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실제 글쓰기가 익숙하지 않은 많은 사람들이 이처럼 지나친 중복표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글쓰기 실력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는 시대입니다. 특히나 요즘은 대입 논술시험이나 자기소개서 등 긴 글을 조리있게 써야 할 경우가 많은데요...

2011. 6. 22. 13:13
공병호 박사의 정보 원천은 무엇일까?

지하철을 타면 사람들이 주로 어떻게 시간을 보내는가를 유심히 살펴본다. 젊은이들은 주로 만화, 게임, 콘텐츠를 소비하면서 시간을 보내고 간간히 책을 읽는 사람들이 눈에 들어온다. 그런데 시간이 가면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도구는 모바일 기기 가운데서도 단연 스마트폰이 차지한다. 사람들을 지켜보면서 나는 이따금 “정보가 두뇌에 입력될 때 우리 두뇌에는 어떤 일들이 진행될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우리가 텔레비전을 보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가공된 정보는 쉼 없이 두뇌로 입력되고 그 정보들은 적절한 즐거움과 자극을 제공하지만 그 대부분이 흘러내려가 버린다. 여러분이 주말 내내 텔레비전을 시청한 다음 아침 출근길에 올랐다고 하자. 온종일 시청한 텔레비전 가운데 어떤 장면이 떠오르는가? 아주 인상적인..

2011. 6. 22. 09:21
종이신문과 신문 어플리케이션, 차이점 비교해보니

아이패드2가 중국에 이어 빠르면 올 7월부터 브라질에서도 생산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는 당초 11월로 예정되어 있던 생산 일정보다 4개월 앞당겨진 것인데요. 폭발적인 수요 증가에 따른 공급 부족을 해소하고, 현지 생산단가를 낮추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또한 6월 출시된 삼성의 태블릿PC 갤럭시탭 10.1 버전 역시 미국에서 판매 첫날 200여명의 구매자가 줄을 서는 등 돌풍을 불러 일으키고 있습니다. 아이패드, 갤럭시탭으로 대표되는 태블릿PC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각 신문사들도 기존의 종이신문과 병행해 태블릿PC용 신문 어플리케이션을 앞다투어 출시하고 있는데요.과연 기존 인쇄매체에 비해 태블릿PC로 보는 신문의 장단점과 가능성은 무엇일까요? 국내 주요 신문들을 중심으로 직접 체험해 ..

2011. 6. 21. 13:40
취미로 시작한 독서토론, 직업이 되기까지

“독서토론을 체계적으로 다룬 책 없나요? 논제는 어떻게 뽑아야 하고, 진행은 어떤 방식이 좋고. 심각한 얘기 다 빼고, 현장에서 바로 쓸 수 있는 내용이 필요해요. 그런 책을 써주세요!” 00도서관 강의에서 만난 한 교사의 호소였습니다. 4주간 진행된 '독서토론 리더교육'. 이번 주가 마지막 수업이다 보니 고민을 그대로 털어놓으셨나 봅니다. 물론, 처음 듣는 질문은 아니었습니다. 사서, 교사, 학부모로부터 여러 번 들어 온 질문이었습니다. 그때마다 '빨리 써야지, 빨리 써야지' 마음만 바빠지곤 했죠. 그녀의 말처럼 '독서토론의 a, b, c'를 알기 쉽게 써놓은 책은 없습니다. 토론 모형이 어쩌고저쩌고 하는 탁상공론만 난무할 뿐, 정작 필요한 논제 뽑기나 진행법에 대한 정리는 없죠. 늘 생각해왔지만 토론..

2011. 6. 21. 09:02
무단 펌질과 관련된 저작권법 알아보니

요즘은 트위터나 페이스북을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은 굳이 뉴스를 보지 않아도 어떤 사건, 사고들이 화제가 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고 합니다. 그만큼 소셜 미디어가 언론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실제 언론인들 역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 뉴스를 전하기도 하는데요. 그렇다면, 트위터 등 SNS를 통해 올라온 사진이나 영상을 언론사에서 보도 목적으로 사용한다면 이것은 저작권을 침해하는 것일까요? 트위터 사진에도 저작권이 있다? “서울 폭우 사진 저작권 논란요. 트위터 사진을 아이디도 언급 않고 자기 것인 양 신문사 로고 워터마크 박은 주요 언론이 정말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fast 지난해 9월 21일 서울 곳곳에 300㎜ 가까운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속출했던 적이 있..

2011. 6. 20. 13:43
1 ··· 514 515 516 517 518 519 520 ··· 53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