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2)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7)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뉴스 신문읽기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미디어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 뉴스리터러시 NIE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스마트폰 이벤트 기자 미디어교육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글쓰기(38)

  • 교사-학생 소통하며 글쓰기 맞춤 지도에 제격

    2021.11.03
  • 글쓰기에 마음먹은 당신에게 추천하는 책

    2016.11.02
  • 셀프 출판을 위한 글 쓰기, 어떻게 시작할까

    2015.12.03
  • 읽기만큼 중요한 필사筆寫

    2015.08.27
  • 블로그 글을 뉴스 기사 방식으로 쓰는 방법

    2015.05.08
  • 검색 엔진의 원리와 블로그 콘텐츠에 대한 노하우

    2015.04.29
교사-학생 소통하며 글쓰기 맞춤 지도에 제격

​ ​ ​ 원격 수업으로의 대전환이 시작된 2020년. 교사들은 수많은 고민에 맞닥뜨렸다. 그중에서도 ‘학생의 학습이 실제로 일어나는지 확인하는 것’, ‘질문과 생각하는 시간이 있는 수업’, ‘학생의 개인별 학습 요구 차이를 고려한 수업’ 등에 대한 아쉬움과 갈망이 무엇보다도 컸다.1) 또한 학생 입장에서도 교과서 중심의 수업을 하다 보니 실천과 참여는 멀어지고, 디지털 피로감만 쌓여가는 상황이 나타나기도 했다. 원격 학습 상황에서도 학생 개개인의 목소리를 반영하면서 학생들이 직접 무엇인가를 ‘해볼 수 있는’ 국어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코로나 팬데믹으로 집 안에 있을 수밖에 없는 학생들이 국어 수업을 통해 어떻게 세상과 소통 할 수 있는지 수업 사례를 소개한다. ​ 카드뉴스 활용한 ‘..

2021. 11. 3. 15:59
글쓰기에 마음먹은 당신에게 추천하는 책

[요약] ‘디지털 디톡스’의 방안으로 글쓰기를 찾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막상 펜을 들고 글을 쓰려면 어떤 문장으로 시작해야 할지,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가야 할지 막막합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 책 3권을 소개합니다. #나탈리 골드버그, 좋은 글쓰기란 무엇일까요? 학창 시절 주로 ‘소재와 형식, 문법’에 맞춘 교과서적인 글쓰기 수업을 받은 사람들 상당수가 글쓰기를 힘들어합니다. 이 책의 저자는 자기 내면에 살아 있는 글쓰기의 잠재력을 이끌어내고 그것을 키우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사람들은 글을 쓸 때 무엇을 채워 넣으려고 하지만 채워 넣기보다 차라리 글쓰기를 방해하는 요소를 덜어내야 창조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잠재된 글쓰기의 씨앗은 자신에게 강박증으로 작용하..

2016. 11. 2. 17:00
셀프 출판을 위한 글 쓰기, 어떻게 시작할까

자신의 콘텐츠를 책으로 내기 위한 셀프 출판의 첫 번째 과정은 무엇일까요. 아이디어를 어떻게 기획으로 구체화할까요. 어디에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출판사는 기획과 편집과 디자인, 인쇄와 제본, 유통과 판매라는 과정을 통해 책을 출간하고 판매합니다. 이 과정에 편집자, 기획자, 디자이너, 마케터 등이 결합됩니다. 하지만 개인이 스스로 책을 저술하여 출판하려고 할 때는 우선, 책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대해 출판사 중심 시각에서 탈피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은 막막함과 자신감이 공존한 채 셀프 출판(self publishing)을 하려는 사람들이 그 첫걸음을 딛는 과정에서 글쓰기와 기획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고등학교에서 세계사를 가르치던 박 선생님은 오랜 준비 끝에 ..

2015. 12. 3. 09:00
읽기만큼 중요한 필사筆寫

최근 들어 블로그나 SNS를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글로 올리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글쓰기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아졌습니다. 글쓰기는 비단 온라인상에서만이 아닌데요, 대학입학을 위해 학생들은 논술을 배우고 이에 힘을 쏟습니다. 대학에 가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대학은 주관식 논술형으로 시험을 봅니다. 만약 글을 잘 쓰지 못하여 핵심내용을 잘 전달하지 못한다면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하겠지요. 또한 회사에 입사할 때도 ‘자기소개서’라는 필수 관문이 있기 때문에 글을 잘 쓰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된지 오래입니다. 글로써 표현하는 일이 많다 보니 ‘글 잘 쓰는 법’을 찾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지만, 글을 잘 쓰고 싶지만 무엇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하는 사람들 또한 많습니다, 이렇게 쉬운듯하면서도 결코 ..

2015. 8. 27. 14:00
블로그 글을 뉴스 기사 방식으로 쓰는 방법

블로그의 글 또는 콘텐츠를 뉴스처럼 작성하는 방법은 글을 읽는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입니다. 자유로운 블로그 글의 스타일에 뉴스 기사 방식을 결합하면 새로운 글의 스타일이 출현합니다. 이 방법을 활용하려면 뉴스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방송이나 신문에서 제공되는 뉴스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합니다. 보도 기사, 르포 기사, 인터뷰 기사, 의견 기사입니다. 보도 기사는 스트레이트(straight) 기사라고 해서 육하원칙에 따라 객관적으로 사건이나 내용을 전달하는 기사입니다. 르포 기사는 사건 또는 행사가 벌어지는 현장을 스케치하듯이 설명하는 기사입니다. 인터뷰 기사는 대상 인물을 취재하여 그가 이야기하는 것을 중심으로 작성되는 기사입니다. 의견 기사(해설 기사)..

2015. 5. 8. 14:00
검색 엔진의 원리와 블로그 콘텐츠에 대한 노하우

검색 엔진 최적화의 의미 어떻게 하면 내 블로그의 글을 구글과 네이버의 검색 상위에 등록할 수 있을까.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딱 부러지는 정답을 말하기는 어렵지만 여러 사례들을 통해 검색 엔진이 보다 쉽게 블로그 콘텐츠를 수집하여 색인을 작성할 수 있게 돕는 방법을 배워서 적용하는 것입니다. 블로그 콘텐츠를 작성하는 방법을 약간만 바꾸더라도 검색 엔진에 최적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의 방문과 검색 결과의 상위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검색 결과의 상위에 나오게 되면 방문 트래픽이 늘어나기 때문에 효과적인 마케팅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웹 페이지 검색엔진이 자료를 수집하고 순위를 매기는 방식에 맞게 웹 페이지를 구성해서 검색 결과의 상위에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검색 엔진 최적화(Search Engine..

2015. 4. 29. 14:00
1 2 3 4 ··· 7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