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리터러시 NIE 신문 책 언론진흥재단 독서 이벤트 공모전 미디어 미디어교육 뉴스읽기뉴스일기 스마트폰 다독다독 기자 신문읽기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뉴스(106)

  • ‘이용자 퍼스트’로 생각하고 혁신하라

    2015.12.04
  • ‘끊김 없는 뉴스’와 ‘골라주는 뉴스’

    2015.11.30
  • 모바일용 스토리텔링의 시작

    2015.11.23
  • 뉴스의 브랜드화와 변형된 롱폼 저널리즘

    2015.11.13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11월 1주)

    2015.11.03
  • 한국형 뉴스 리터러시 교육 모델을 제안하다

    2015.11.02
‘이용자 퍼스트’로 생각하고 혁신하라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한국방송통신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김선호・김옥태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올해 모바일 뉴스 포맷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선행 연구들을 찾아보았습니다. 뉴스 포맷은 최근에 주목받기 시작한 분야라서 선행 연구가 많지는 않았습니다. 몇 개 안되는 연구 중에 눈에 띄는 것이 케빈 반허스트(Kevin Barnhurst)가 하버드대 쇼렌스타인센터에 체류하면서 2002년에 발간한 보고서였습니다. 당시 미국 신문들이 어떤 포맷을 사용하는지 분석했던 반허스트의 결론은 이렇습니다. “인터넷판 미국 신문들은 온라인에 맞는 새로운 형식으로 출판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대신 웹 버전은 인쇄 버전을 복제하고 있다.(…) 소수의 기사만이 하이퍼링크, 이미지..

2015. 12. 4. 09:00
‘끊김 없는 뉴스’와 ‘골라주는 뉴스’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지디넷코리아 미디어연구소장 김성해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뿐 아니라 구글, 애플 같은 IT 기업들도 연이어 뉴스시장에 발을 담그고 있습니다. 최대 스마트폰 업체 삼성도 독일 미디어그룹 악셀슈프링어와 손잡고 뉴스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전 세계 언론사들이 실적 부진에 허덕이는 상황에서 내로라하는 IT 기업들은 왜 뉴스 시장에 기웃거리는 걸까요? 주요 IT 기업들이 연이어 선보인 뉴스 서비스를 2회에 걸쳐 집중 진단합니다. ‘킬러 아이템’ 뉴스 2000년대 이후 언론사들의 상황이 좋았던 적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장기 불황 탓도 있지만 인터넷 및 모바일 혁명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것이 더 컸습니다. 워싱턴포스트 같..

2015. 11. 30. 14:00
모바일용 스토리텔링의 시작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서울경제 전략기획실 부장 신한수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기-승-전-카드뉴스.” 요즘 모바일에 대처하는 신문사들의 행보를 살펴보면 어지간한 언론사치고 카드뉴스 서비스를 안 하는 곳이 없고, 뉴미디어 부서에는 꼭 카드뉴스를 제작 하는 팀 또는 전담 인력이 배치되고 있으니, 카드뉴스가 궁극적인 해답이냐에 대해서는 이론이 많을지 몰라도 최소한 ‘대세’임에는 분명합니다. 자체 서비스는 물론 네이버 포스트나 피키캐스트 등 뉴스의 주요 유통 경로가 되고 있는 사이트와 페이스북 등 SNS에도 언론사별 카드뉴스가 차고 넘치는 것을 보면 언론사와 뉴스 소비자들의 눈높이가 대략 맞아떨어진 일종의 ‘타협점’에 카드뉴스라는 포맷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달라진 콘텐츠 구성 ..

2015. 11. 23. 09:00
뉴스의 브랜드화와 변형된 롱폼 저널리즘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동덕여대 교양학부 교수 홍원식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영화 ‘백투더퓨처’에 나왔던 많은 장면들이 새삼 화제가 되기도 했지만, 손바닥보다도 작은 핸드폰이 우리 세상을 이렇게 바꾸리라는 것은 그 어떤 영화에서도 상상하지 못했던 일일 듯합니다. 가히 우리 삶의 모든 것이 모바일 기기로 통섭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도 모바일의 특성에 기반한 디지털 플랫폼은 점점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플랫폼의 생태계에서 탄생한 넷플릭스, 훌루 등과 같은 OTT 사업자들은 날로 성장하고 있으며, 그 화려함 뒤에서 기존 방송 사업자들은 제로TV, 코드커팅 같은 암울한 용어들에 점점 더 익숙해져 가고 있습니다. 방송사들의 적극적 대응 시작 2014년부터..

2015. 11. 13. 14:00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11월 1주)

서평 전문기자들이 선정한 새로 나온 책 TOP 3. 날씨가 점점 더 쌀쌀해지는 것 같죠? 차갑게 부는 바람 탓인지 실외 활동은 자제하게 되는 것 같아요~ 실내 활동 중 으뜸은 따뜻한 이불 속에서 재밌는 책 한 권 읽는 것 아닐까요? 이번 한 주 가장 주목받은 책 Best3를 소개해드릴게요~ 1위는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3세기 동안 무수한 성취를 남긴 독일 천재들의 이야기를 담은 “저먼 지니어스”, 2위는 다각도로 음악을 고찰하여 뇌 안의 ‘음악 본능’을 찾아 나서는 “음악 본능”, 3위는 기업의 영리 추구가 곧 빈곤층의 번영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착한 자본주의’를 향한 위대한 실험기 “아프리카의 배터리 킹”입니다. 1위 : 저먼 지니어스 (유럽의 세번째 르네상스, 두번째 과학혁명, 그리고 20세기)..

2015. 11. 3. 09:00
한국형 뉴스 리터러시 교육 모델을 제안하다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대구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김성해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뉴스는 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정보, 기억, 감정과 태도에 개입합니다. 국민이라는 집단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 역시 뉴스를 통해서입니다. 집단의 친구와 적이 누구인지, 집단이 공유해야 할 가치는 무엇인지, 집단으로서 알아야 할 것과 무시할 것을 알려주는 것도 뉴스입니다. 맑은 물, 깨끗한 공기와 안전한 거리만큼이나 중요한 공공재입니다. 자연재해가 발생하거나, 전염병이 생기거나, 교통이나 통신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공동체 누구나 자신의 몫을 해야 하는 것처럼 뉴스에 대한 책임에서 예외는 없습니다. 뉴스 소비자의 권리와 의무는 따라서 동전의 양면입니다. 뉴스 안전(News Security) 또한 간과할 수 없..

2015. 11. 2. 09:00
1 ··· 7 8 9 10 11 12 13 ··· 1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