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신문읽기 기자 공모전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이벤트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뉴스 뉴스읽기뉴스일기 책 미디어교육 신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다독다독 미디어리터러시 NIE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뉴스(106)

  •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10월 4주)

    2015.10.20
  • 최신 뉴스 집착 벗어나면 뉴스의 미래가 보인다

    2015.10.19
  •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수용자 인식

    2015.10.16
  • 비주얼 스토리텔링을 위한 콘텐츠 종류들

    2015.10.13
  • 찌라시의 진실,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

    2015.10.12
  • 미디어 교육, 세상 바꾸는 교실 안의 작은 혁명

    2015.09.25
기자들이 뽑은 새로 나온 책 TOP3 (10월 4주)

서평 전문기자들이 선정한 새로 나온 책 TOP 3. 여기 저기 신나는 축제들이 한창인 요즘. 괜히 마음까지 들떠 있는데요. 들떠있는 마음을 차분히 해줄 시간도 필요하겠죠? 마음을 차분히 하는데 독서만한 것이 있을까요? 이번 주 가장 많이 주목 받은 책 세 권을 선정하여 소개해드릴게요~ 골라서 읽어보세요!^^ 1위는 글래머가 진정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글래머의 힘”, 2위는 미국 외교상의 초상인 크리스토퍼 힐의 33년 외교관 생활 총결산의 “크리스토퍼 힐 회고록:미국 외교의 최전선”, 3위는 2차 대전 당시 영국군에 포로로 잡혀있던 독일 병사들의 대화를 기록한 문서를 연구해 담은 “나치의 병사들”입니다. 1위 : 글래머의 힘 (시각적 설득의 기술) 버지니아 포스트..

2015. 10. 20. 09:05
최신 뉴스 집착 벗어나면 뉴스의 미래가 보인다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대구대 박사후연구원 진민정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 당시, 왜곡되고 뒤틀린 보도들로 인해 ‘기레기’라는 용어가 등장했습니다. 그러나 언론의 자성을 요구했던 수많은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보도 행태는 여전하다는 평가입니다. 인터넷 언론사의 난립, SNS의 확산, 종편의 등장 등으로 언론의 경쟁이 더욱 심화되면서 조회 수를 높이거나 시청률을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도를 넘는 행위들이 자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김치찌개’가 특종이 되는 세상 오래 전부터 트래픽 지상주의에 빠진 한국의 인터넷신문들은 통신사가 배포하는 뉴스를 손쉽게 편집하거나, 실시간 인기 검색어 중심의 가십성 어뷰징 기사를 양산해왔고, 포털을 통해 유인되는 독자를 상대로 미끼..

2015. 10. 19. 14:00
네이티브 광고에 대한 수용자 인식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 김위근・김선호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최근 언론 산업에서 가장 ‘핫’한 키워드는 단연 ‘네이티브 광고’다. 직관적으로는 개념을 유추하기 어려운 이 용어는 새로운 수익 창출 방안으로 우리 언론에 소개되고 있습니다. 관련 문헌과 자료를 종합해 보면, 네이티브 광고는 “플랫폼 기능, 레이아웃·디자인, 그리고 콘텐츠, 이 세 가지 모든 측면에서 기사와 연속성 및 유사성을 가지면서 후원이 나 협찬을 투명하게 명시하는 광고”로 거칠게 정의내릴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기사형 광고와 협찬 기사가 진화된 것으로 봅니다. 협찬 기사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협찬을 받았음을 수용자에게 분명히 밝히지 않는다는 점에서 네이티브 광고와는 다릅니다...

2015. 10. 16. 14:00
비주얼 스토리텔링을 위한 콘텐츠 종류들

콘텐츠들이 재료을 서로 융합하여 비주얼 스토리텔링을 펼치는 과정을 콘텐츠 디자인이라고 합니다. 디자이너는 이 다양한 재료들을 가지고 적절한 음식으로 만드는 쉐프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디자이너는 타이포그래피와 일러스트, 이미지, 사진, 도표 등이 편집을 넘어 정보를 디자인하고 예술적 수준과 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완성해야 하는 역량을 지녀야 합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스마트TV 같은 새로운 디바이스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의사소통과 미디어 사용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비주얼 콘텐츠의 종류들에 대해 본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시간과 시기, 시대를 표현하는 비주얼 콘텐츠 비주얼 연대기(chronicle) 벌어진 어떠한 특정한 사건들에 대해 시간의 연속적인 흐..

2015. 10. 13. 09:00
찌라시의 진실,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정환닷컴 대표/이정환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증권가 사설 정보지, 이른바 찌라시에 환상을 갖고 있는 같습니다. 우리가 보고 듣는 뉴스는 거대한 진실의 한 조각일 뿐이고 뉴스에 실리지 않는 엄청난 고급 정보를 주고받는 수면 아래의 뉴스 시장이 따로 있다고 말입니다. 은밀한 정보는 원래 더 빨리 더 넓게 퍼지기 마련입니다. 주류 언론에 대한 불신이 클수록 찌라시같은 음성적인 정보에 대한 갈망이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기자들은 날마다 온갖 유형의 찌라시를 여러 경로로 받아보지만 대부분은 이미 알고 있는 정보이거나 혹은 기사로 쓰기에는 부적절하거나 단순한 가십성 이야기거리에 지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애초에 진짜 고급 정보가 찌..

2015. 10. 12. 14:00
미디어 교육, 세상 바꾸는 교실 안의 작은 혁명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읽지 못하는 바보’를 만든 거 아냐? 미국의 미디어 비평가이자 칼럼니스트인 니콜라스 카(Nicholas Carr)가 2008년 7-8월호에 쓴 구글(인터넷)이 우리를 바보로 만들고 있는 게 아니냐(Is Google making us stupid?)는 에세이는 종이신문이 아닌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읽는 시대에 더욱 호소력 있는 글입니다. 카는 올 초 국내에 번역된 에서도 인터넷이 우리의 두뇌와 읽기 능력(literacy), 사고력을 저하시킨다고 주장합니다. 쉴 새 없이 쏟아지는 인터넷 토막 정보를 모니터 상에서 스크롤하며 대충 눈으로 훑고선 내용을 다 파악했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지 않던가요? 스마트폰 액정 화면으로 짧은 뉴스를 빨리 읽는 데 익숙해지다 보니 저도 긴 호흡의 글들은 좀처..

2015. 9. 25. 14:00
1 ··· 8 9 10 11 12 13 14 ··· 1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