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스마트폰 미디어교육 기자 이벤트 뉴스읽기뉴스일기 독서 NIE 미디어 미디어리터러시 책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뉴스리터러시 언론진흥재단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신문읽기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1487)

  • 취재, 어디까지 해봤니? 이색 취재 살펴보니

    2013.11.13
  • 숭례문 복원 부실공사, 과연 다른 문화재는 문제없을까?

    2013.11.12
  • 책을 통해 되짚어본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생생한 역사

    2013.11.11
  • 11월 11일 빼빼로데이, 상술과 나눔의 상관관계

    2013.11.11
  • 응답하라 1994, 사투리가 드라마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

    2013.11.08
  • 책읽기 좋은 계절, 서촌 가을나들이 추천 코스

    2013.11.08
취재, 어디까지 해봤니? 이색 취재 살펴보니

서울도 영하로 떨어지며 겨울이 성큼 다가왔는데요. 설악산은 이미 영하 12.2도로 떨어지는 맹추위였다고 해요. 올 겨울은 주기적인 한파가 올 것이라는 예측이 있는데요. 폭설이 내리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그런데 폭설하면 생각나는 사람이 있죠. 바로 KBS의 박대기 기자인데요. [출처 - KBS] 2010년 1월 기록적인 폭설 소식을 전달하던 박대기 기자는 어깨와 머리에 눈이 잔뜩 쌓인 상태로 뉴스를 전해 그 추위와 매서움을 직접적으로 전해주었는데요. 이는 인터넷에서 화제를 모으며 한동안 재미있는 합성 사진들도 돌아다닐 정도로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처럼 기자들은 현장의 생생함을 전하기 위해 직접 체험을 하며 기사를 내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기자들의 이색 체험 취재기를 소개해볼게요. 김장체험부터 이색 직업 체..

2013. 11. 13. 09:52
숭례문 복원 부실공사, 과연 다른 문화재는 문제없을까?

[출처 - 서울신문] 설 연휴 마지막 날이었던 2008년 2월 10일 저녁, 사나운 불길에 휩싸인 숭례문의 모습을 보며 발을 동동 굴러야 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소방차가 출동해도 역부족이었습니다. 불길을 겨우 잡았을 땐 이미 2층 전부가 불에 타 사라졌죠. 토지개발보상금에 불만을 품은 한 70대 노인이 이 같은 엄청난 일을 저질렀다니 망연자실할 뿐이었습니다. 600년을 버텨온 민족 문화의 상징이었던 국보 1호 숭례문이 한 순간의 방화로 허망하게 무너져 내렸던 것은 순식간이었습니다. 숭례문 참사는 방화범이 의도적으로 저지른 소행이기는 했지만, 그동안 문화재 관리 체계가 얼마나 허술했고 문화재가 얼마나 무방비 상태로 방치돼 있었는지가 여실히 드러났습니다. 이후 숭례문 복구사업이 빠르게 진행되었습니다. 우리..

2013. 11. 12. 13:03
책을 통해 되짚어본 대한민국 수도 서울의 생생한 역사

우리가 사는 서울의 나이는 얼마나 됐을까요? 흔히 ‘서울 600년’이라는 말은, 조선이 수도를 한양으로 삼은 때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지요.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1394년 수도를 개성에서 서울로 옮겼습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서울이 2000년 됐다고 얘기하기도 합니다. 백제가 기원전 18년 건국할 당시 도읍을 위례성으로 삼았는데 그곳이 현재의 서울 위치라는 것이지요. 그때를 기준으로 삼으면 분명 2000년이 넘습니다. 그럼 어느 말이 더 옳은 것일까요? (동하), (현실문화)라는 두 책을 통해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두 책은 모두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도시사 연구자인 최종현 통의도시연구소장(전 한양대 교수)이 쓰거나 공저자로 참여한 책입니다. 최 교수는 그저 옛 문헌이나 사람들의 말에 따른 추측..

2013. 11. 11. 13:36
11월 11일 빼빼로데이, 상술과 나눔의 상관관계

발렌타인데이나 화이트데이처럼 1년 중 연인들의 마음을 들뜨게 하는 날이 있습니다. 바로 ‘빼빼로데이’ 입니다. 11월 11일, 빼빼로의 긴 막대모양과 꼭 닮은 날짜 덕분에 90년대부터 ‘데이 마케팅’ 중 하나로 시작되었다고 하는데요. 이제 11월 11일은 빼빼로데이 뿐만 아니라 농업인의 날로써 ‘가래떡데이’로 불러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널리 알려진 것은 ‘빼빼로데이’인데요. 그만큼 빼빼로데이는 이제 고유의 날로 굳어졌습니다. 빼빼로데이, 기발한 아이디어를 활용한 마케팅 중 하나일까요, 아니면 지나친 상술일까요? 오늘은 가장 상업적인 ‘데이(Day)’마케팅 중 하나인 빼빼로데이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볼까 합니다.^^ ‘Day’ 마케팅의 원조, 1994년 빼빼로데이 시작 빼빼로데이는 1994년 부산 ..

2013. 11. 11. 10:28
응답하라 1994, 사투리가 드라마 시청률에 미치는 영향

흔한 속설 중 하나로 시리즈물은 회를 거듭할수록 원작만 못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속설은 ‘응답하라~’ 시리즈에는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듯합니다. 작년 겨울 응답하라 시리즈의 원조 격인 ‘응답하라 1997’이 성황리에 막을 내리며, 올 해 가을부터 시즌2 ‘응답하라 1994’가 케이블에 방영되기 시작했습니다. [출처-서울신문] ‘응답하라 1994’는 전작인 ‘응답하라 1997’과 전체적인 이야기 구성 면에선 서로 비슷합니다. 하지만 시간적배경이 ‘1994년’이라는 점, 그리고 주인공들이 고등학생이 아닌 스무살 대학생이라는 점에서 또 다른 향수를 자극하는데요. 그 중 특히 ‘응답하라 1994’가 ‘응답하다 1997’(이하 응사, 응칠) 과 가장 대조적인 설정을 이루는 것은 ‘사투리’입니다. 응칠..

2013. 11. 8. 13:11
책읽기 좋은 계절, 서촌 가을나들이 추천 코스

영화 에서 주인공들이 건축학 과제를 위해 함께 걸었던 한옥 골목을 기억하시나요? 이 소박한 한옥들이 즐비한 곳이 바로 ‘서촌’인데요. 영화나 드라마의 배경지로 자주 등장하는 서촌은 예스러운 정취가 물씬 풍기는 매력적인 동네입니다. 경복궁 서쪽에 있는 마을을 일컬어 ‘서촌’이라는 별칭이 지어졌다고 하는데요. 정확하게 말하면 인왕산 동쪽과 경복궁 서쪽 사이, 청운효자동과 사직동 일대를 지칭하는 곳이죠. 단풍이 지기 전에 떠나는 가을 서촌 나들이, ‘다독다독’과 함께 출발해 보실까요? 골목골목 서촌나들이 : 서울의 옛 얼굴과 마주하기 경복궁의 서쪽 문인 영추문의 고즈넉한 풍경에서부터 서촌여행은 시작됩니다. ‘가을을 맞이한다’는 이름의 의미와 같이 영추문은 가을에 한껏 포개진 채 고궁의 자태를 뽐내고 있었습니다..

2013. 11. 8. 09:56
1 ··· 154 155 156 157 158 159 160 ··· 24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