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공모전 책 한국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신문 기자 NIE 미디어 미디어리터러시 독서 다독다독 뉴스읽기뉴스일기 신문읽기 미디어교육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1487)

  • 당신은 캥거루족입니까?

    2016.05.04
  • 지진대피 요령 미리 알아두기!

    2016.05.03
  • 기자의 신념 지킨 보도 역사의 흐름을 바꾸다

    2016.05.02
  • 우리가 생각하는 ‘좋은 일’의 기준

    2016.04.27
  • 연결되지 않을 권리, 엮이지 않을 권리

    2016.04.26
  •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즘을 지배할까?

    2016.04.25
당신은 캥거루족입니까?

[요약] 성인이 되어서도 부모에게 얹혀살거나, 의존하는 ‘캥거루족’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캥거루족‘ 그것이 알고 싶다 성인이 되면 당연히 부모님으로부터 독립해 살아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지금 혼자 살고 계신가요? 아니면 부모님과 함께 살고 계신가요? 대학을 졸업해 취직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취직을 하지 않고 부모에게 얹혀살거나, 취직을 했더라도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고 부모에게 의존하는 젊은 세대를 ‘캥거루족’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에는 ‘캥거루족’이 얼마나 될까요? 최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성인남녀 3천 57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귀하는 캥거루족 입니까?’라는 질문에 37.5%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3.7%로 제일 많았고 30대가 33.7%..

2016. 5. 4. 11:00
지진대피 요령 미리 알아두기!

[요약] 일본, 에콰도르 연쇄 지진으로 ‘불의 고리’가 세계적으로 큰 이슈가 되며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알면 두렵지 않다! 지진 발생 시 응급상황 대처와, 대피요령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최근 연이은 지진 소식에 불안한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일본을 시작으로 에콰도르, 필리핀에서 규모 5.0이 넘는 강진이 발생하였습니다. 이 나라들은 공통적으로 환태평양 조산대, 일명 ‘불의 고리(Fire ring)’에 포함되는 지역입니다. 지구상의 지진·화산대 중 환태평양 조산대의 지진·화산 발생비율은 절대적인 수치를 차지합니다. 모든 지진의 90%, 규모가 큰 강진의 81%가 환태평양 조산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행히도 우리나라는 ‘불의 고리’ 중심부에서 벗어나 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해 있어 지진이..

2016. 5. 3. 12:00
기자의 신념 지킨 보도 역사의 흐름을 바꾸다

이재경,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의 글입니다. "크롱카이트를 잃으면 모두를 잃는 것" 1968년 2월 27일, 미국 CBS방송의 ‘이브닝뉴스’는 특별 방송을 보도했다. 월터 크롱카이트(Walter Cronkite) 앵커가 베트남에 직접 가서 보도한 ‘베트남으로부터의 리포트: 누가, 무엇을, 언제, 어디서, 왜?’라는 제목의 특별 방송이었다. 통신사 기자에서 전직해 CBS 저녁 뉴스의 앵커가 된 지 6년 만에 처음 시도하는, 크롱카이트의 입김이 강하게 투영된 보도였다. 이 보도 이후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 여론은 완전히 싸늘해졌다. 그만큼 월터 크롱카이트 보도의 영향력이 강력했었다. 크롱카이트 자서전을 보면 이 무렵 베트남 특별 리포트를 취재하는 과정의 고뇌가 잘 정리돼 있다. 제임스 슐레진..

2016. 5. 2. 09:17
우리가 생각하는 ‘좋은 일’의 기준

[요약]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 의욕을 높이기 위한 근로자의 날을 앞두고 ‘좋은 일’의 기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로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 의욕을 높이기 위해 제정한 법정 기념일입니다. 근로자의 날이 존재하기는 하나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근무 환경은 좋지 않습니다. 비정규직 비율이 22.4%로 OECD 가입국 기준 평균 비율(11.8%)의 두 배에 달합니다. 또한, 가입국 중 노동시간 1위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상황 속 근로자들과 시민들은 ’좋은 일‘을 무엇이라고 생각하고 있을까요? #‘좋은 일’의 기준은? 희망제작소(The Hope Institute)는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네이버 해피로그와 희망제작소 홈페이지를 통해 ‘좋은 일 기준 찾기’ 온라인..

2016. 4. 27. 11:00
연결되지 않을 권리, 엮이지 않을 권리

[요약] 프랑스에서 ‘연결되지 않을 권리’라는 생소한 개념이 입법 예고돼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습니다. 이와 함께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도 알려드립니다. #연결되지 않을 권리 지난 2월 프랑스에서 ‘연결되지 않을 권리(Right to disconnect)’라는 생소한 개념을 노동개혁법안에 포함시키겠다고 발표하여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습니다. 실제로 일부 프랑스 회사들은 퇴근 시간 이후 회사 이메일 접속을 차단했습니다. 일본 역시 퇴근 후 상사가 업무상 연락하는 것을 노동기준법 상으로 금지해놨고 위반한 경우 벌칙규정도 있습니다. 폭스바겐은 자체적으로 근로시간 종료 30분 후에는 회사 스마트폰의 이메일 기능을 아예 차단시켜 버리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연결되지 않을 권리’는 무엇이고 해외에서 이 권리에 대해..

2016. 4. 26. 09:54
소셜 미디어가 저널리즘을 지배할까?

[요약] 신문이나 방송 같은 전통적 뉴스 미디어가 새롭게 등장한 소셜 미디어에 밀려 사라져 간다는 주장과 이에 반해 소셜 미디어를 뉴스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소개합니다. 에밀리 벨 ‘우리가 알고 있던 뉴스의 종말’ 달라진 뉴스 환경 지난 5년 동안 가상현실, 실시간 동영상, 인공지능 뉴스봇, 문자 메시지, 채팅앱 등 엄청난 기술 혁신은 뉴스 생태계를 놀라운 수준으로 바꿔놓았다. 특히 소셜 미디어는 저널리즘만 집어삼킨 것이 아니라 선거, 금융 시스템, 개인사, 여가 산업, 소매업, 정부와 보안까지 관여하게 됐다. 여기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두 가지 사안이 있다. 첫째, 뉴스 산업은 뉴스를 배포할 수 있는 통제력을 상실했다는 점이다. 소셜 미디어와 플랫폼 회사가 뉴스를 배포할 수 있는 통제..

2016. 4. 25. 10:53
1 ··· 16 17 18 19 20 21 22 ··· 24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