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9)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공모전 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교육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책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기자 뉴스리터러시 이벤트 NIE 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스마트폰 뉴스 신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다독다독(1487)

  • 제 60회 신문의 날, 시대보다 한 발 먼저, 독자에게 한 걸음 더!

    2016.04.20
  • 불렛저널 노트법으로 스케줄 관리하기

    2016.04.19
  • 즐겁게 오랜 시간 뉴스와 채팅하세요

    2016.04.18
  • 내가 투표한다고 "달라집니다!"

    2016.04.13
  • 미니멀 라이프 실천에 도움을 주는 책

    2016.04.06
  •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등장 배경이 궁금하다

    2016.04.04
제 60회 신문의 날, 시대보다 한 발 먼저, 독자에게 한 걸음 더!

[요약] 4월 7일은 한국 최초의 민간지인 독립신문 창간 61주년을 기념하여 제정한 '신문의 날'입니다. 제60회 신문의 날을 맞아 각 신문사에서 진행되었던 행사들을 살펴봅니다. #독립신문과 ‘신문의 날’ 매년 4월 7일이 무슨 날인지 아시나요? 바로 ‘신문의 날‘입니다. 신문의 날은 120년 전, 1896년 4월 7일, 국내 첫 민간신문인 ’독립신문‘의 창간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서재필 박사가 정부로부터 자금을 받아 독보적으로 운영한 독립신문은 국민들이 뉴스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글로 작성되었고, 자유·민권과 민중계몽에 앞장섰습니다. “우리는 첫째 편벽되지 아니하고도 무슨 당에도 상관이 없고 상하귀천을 달리 대접하지 아니하고… 모두 한글로 쓰는 것은 남녀 상하귀천이 모두 보게 함이요…”. -독립신문..

2016. 4. 20. 12:00
불렛저널 노트법으로 스케줄 관리하기

[요약] 불렛저널을 통해 하루하루 해야 할 일들을 자신만의 아이콘을 사용하여 정리하여, 계획적으로 스케줄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불렛저널이 뭔가요? ‘불렛저널(Bullet Journal)’ 들어보셨나요? 아마 다이어리를 쓰시는 분들은 한 번쯤 들어봤을 겁니다. 불렛저널은 문장이나 단어 앞에 주의를 끌기 위해 붙이는 그래픽 문자 ‘불렛(Bullet)’을 활용한 일정 관리법으로 지난해 말부터 해외 블로거들 사이에서 유행하여 현재 한국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불렛저널의 장점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페이지가 적혀있는 목차를 통해 정보 찾기가 쉽다는 것입니다. 둘째, 자신만의 불렛을 통해 본인에게 최적화된 방법으로 다이어리를 작성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는 점입니다. ..

2016. 4. 19. 12:00
즐겁게 오랜 시간 뉴스와 채팅하세요

한운희, 연합뉴스 미디어 랩 기자의 글입니다. 2012년 9월 쿼츠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을 때 없는 게 2가지였다. 하나는 그럴싸한 홈페이지, 또 다른 하나는 전용 모바일 앱이었다. 단순 기사 목록에 더 가까웠던 웹페이지는 2015년이 돼서야 비로소 홈페이지로서 최소한의 구색을 갖추기 시작했다. 모바일 앱은 그보다 한참 늦었는데, 올해 2월11일에 처음 선보였다. 그것마저도 iOS 전용이었다. 이용자와 채팅하는 쿼츠 설립 3년 5개월 만에 내놓은 쿼츠의 모바일 앱은 공개되자마자 화제에 올랐다. 기존 뉴스 앱의 구태의연한 방식을 깨고 채팅이라는 의외의 형식으로 뉴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앱을 실행하면 접속한 시간대에 걸맞은 인사를 먼저 건네고 친절하며 재치 있는 문장으로 그날 봐야 할 뉴스를 선별해 전해..

2016. 4. 18. 13:30
내가 투표한다고 "달라집니다!"

[요약] 내가 투표한다고 뭐가 달라지겠어?’내가 투표를 포기했을 때 일어나는 일, 내가 투표를 했을 때 달라지는 일을 비교하여 소개합니다. #그래, 투표하지 마라최근 인터넷상에서 화제가 된 랩 영상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 올라온 ‘Let's Vote!(작사·작곡 눈노)입니다. 다가오는 4월 13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를 독려하는 이 영상은 제목과 반대되는 가사로 유명세를 탔습니다. 다음은 랩 가사입니다. "혼자 벌어먹고 살기 힘들어서 맞벌이/ 내 자식 학교 학비 볼 때마다 간 떨림/ 애는 애대로 친구와 경쟁이고/ 휴가는 무슨 여가생활과도 기약 없는/ 작별인 시대에 살고 있으면서 선거날은 빨간날?/ha 그래, 투표하지 마라/ 무시하고 살아, 줄어드는 반찬에도/ 세상 욕 ..

2016. 4. 13. 09:30
미니멀 라이프 실천에 도움을 주는 책

[요약] 1인가구가 늘어나면서 단순하고 간결한 삶을 추구하는 '미니널 라이프(Minimal Life)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버려서 얻는 행복, '미니멀 라이프'를 주제로 한 3권의 책을 출간당시 서평과 함께 소개합니다. 얼마 전 TV 프로그램 에서 한 출연자가 ‘미니멀 라이프’를 꿈꾸며 대대적인 집안 정리를 하는 모습이 방송되었습니다. 방송 직후 ‘미니멀 라이프’에 대해 관심이 쏠렸습니다.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고, 자신에게 꼭 필요하고 의미 있는 것들만을 남기고 사는 ‘미니멀 라이프’. 이와 관련된 3권의 책을 서평과 함께 소개합니다. ※ 미니멀 라이프(Minimal Life) 비우는 것의 미학을 즐기며 소박하고, 단순하고 최소한의 물건들로 삶을 사는 라이프 스타일 ※ 미니멀리스트 (Minimalist..

2016. 4. 6. 16:00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등장 배경이 궁금하다

권영부, 동북고등학교 수석교사, NIE한국위원회 부위원장 우리나라에서 미디어활용교육의 큰 축을 담당했던 것이 신문 활용 교육(NIE, Newspaper in Education)이다. 신문 활용 교육이 학교현장에서 교과와 비교과교육에 두루 활용되면서 하나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안착된 게 사실이다. 신문 활용 교육이 체계화된 교수학습 방법은 아니다. 신문을 교수학습 과정에 보조교재로 활용할 뿐이다. 보조교재인 신문이 가진 교육적 가치는 이미 국내외의 여러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한국방송통신대학 김옥태 교수는 어릴 때부터 꾸준히 종이신문을 통해 활자를 접한 학생은 읽기 능력뿐 아니라 논리력과 사고력 등이 향상되고 시사 상식도 풍부해지기 때문에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했다(조선일보, 2016.03.07.). ..

2016. 4. 4. 16:00
1 ··· 17 18 19 20 21 22 23 ··· 24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