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40)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8)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9)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공모전 기자 미디어 뉴스리터러시 신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책 뉴스읽기뉴스일기 이벤트 다독다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읽기 뉴스 언론진흥재단 스마트폰 독서 NIE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리터러시(608)

  • 스마트한 세상이 더 살기 힘들어요

    2020.03.18
  • [미디어 사용설명서] 1화 - 스마트폰 편 -

    2020.03.13
  • 미안해 선화공주, ‘신고 버튼’이라도 누를 걸

    2020.03.13
  • KBS1TV <시사직격>, 유튜브로 인한 허위정보 피해 확산 다뤄

    2020.03.09
  • ‘교육’과 ‘재미’의 황금 조합을 찾아서

    2020.03.06
  • 제1회 <뉴스 읽기, 뉴스 일기> 공모전 접수 기간 연장 및 시상 내역 안내

    2020.03.02
스마트한 세상이 더 살기 힘들어요

노인층 미디어 이용 행태와 디지털 격차 스마트한 세상이 더 살기 힘들어요 미국 퓨리서치 센터가 얼마 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95%로 조사 대상 27개국 중 1위를 차지했다. 보급률뿐 아니라 활용도 또한 높아 기차표 예매부터 외국어 학습, 보험금 청구 등 스마트폰으로 안 되는 일이 없을 정도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이 가져온 편리한 삶의 혜택을 모두가 누리는 것은 아니다.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혁신이 가져온 편리함의 바깥에 물러서 있는 사람들, 노인층의 디지털 격차 문제와 문제 해결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제고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글 김경희 (한림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노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텔레비전을 활용하는 방안이 있다. 노인들이 알기 쉽게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2020. 3. 18. 15:57
[미디어 사용설명서] 1화 - 스마트폰 편 -

​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대한민국을 강타했죠. ​ 집안에만 갇혀 있는 요즘 집안에서 주로 사용하는 미디어를 올바르게 사용하는게 중요하죠! 코로나 19 시기를 이겨내는 건강한 미디어 이용방법 초등학생용 미디어 사용설명서 '스마트폰' 편! ​ 함께 보실까요? ​ ​ 첫째, 스마트폰과 잠시 떨어져 보세요. ​ 숙제나 공부를 할 때에는 스마트폰을 잠시 보이지 않는 곳에 놓아 보세요. 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NIA)에 따르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비중이 높게 나온걸 볼 수 있어요. ​ ​ ​ 둘째, 잠을 잘 때에는 스마트폰을 먼 곳에 두세요. ​ 뇌가 편안히 쉴 수 있게 되도록 잠을 자기 직전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자기 전까지 스마트폰을 하면 뇌가 피로해져 성장 발달에 좋지 않아요...

2020. 3. 13. 18:53
미안해 선화공주, ‘신고 버튼’이라도 누를 걸

‘서동요’를 통해본 ‘소문과 윤리적 미디어 이용’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향가 ‘서동요’와 미디어 리터러시.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조합이지만 ‘서동요’에 대한 국문학적 의의와는 무관하게, 서동요와 관련된 설화를 현대인의 관점으로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는 일일 것이다. 중고등 학생들의 날카롭고도 정의로운 평가를 들어보자. 글 박미영(한국NIE협회 대표) 수업이 끝난 후 학생들은 내가 루머를 퍼뜨린 장본인(가해자)은 아니라 해도, ‘속보, 화제, 충격’ 등의 어휘로 포장된 연예인 기사를 클릭한 나의 행동이 루머 피해를 확장시킨 방관자의 행동이었음을 깨닫게 됐다며 루머 피해 연예인에게 미안해했습니다. “짝사랑에 빠진 한 남자가 마침내 일을 저질렀어. ‘나 저 여자 좋아해’라고 속마음을 털어놓기만 하면 좋..

2020. 3. 13. 10:30
KBS1TV <시사직격>, 유튜브로 인한 허위정보 피해 확산 다뤄

코로나19보다 빠르게 퍼져가는 '허위정보' 허위정보 양산의 근거지로 지목받는 유튜브. 지난 6일(금) 방영된 KBS1 에서는 허위정보로 인해 발생되는 심각한 사회적 피해와 유튜브의 상관관계를 다뤘는데요, '불신의 전염-코로나19 가짜뉴스'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시죠. 영상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AUoVj2JxDjo

2020. 3. 9. 13:59
‘교육’과 ‘재미’의 황금 조합을 찾아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영상 ‘그것이 알고 싶다며’ 제작기 수많은 정보가 쏟아지고 진짜와 허위정보가 뒤섞여 혼란스러운 미디어 환경 속에서 미디어 리터러시는 현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핵심 역량이다. 미디어교육 사업을 펼치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은 매년 미디어 리터러시를 널리 알리고, 허위정보에 대한 경각심 고취를 위해 교육용 영상을 제작해 오고 있다. 올해 만들어진 제1차 교육 영상 ‘미디어 리터러시, 그것이 알고 싶다며’의 제작 뒷이야기를 전한다. 글 김현아 (SBS 모비딕 작가) 미디어 리터러시를 알리기 위한 많은 콘텐츠들이 있었는데 대부분 쉽게 설명하려는 기조였다. 우리는 한 발 더 나아가고자 했다. 미디어 리터러시가 부족하면 어떤 부작용들이 생겨날지 실제 사례를 통해 보는 이들의 머릿속에 각인시키는 효과를..

2020. 3. 6. 10:30
제1회 <뉴스 읽기, 뉴스 일기> 공모전 접수 기간 연장 및 시상 내역 안내

안녕하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입니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공모전 일기장 우편 발송 및 방문접수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공모전 접수 기한을 연장하였습니다. 아래 변경된 제출기간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제출기간 : 2020. 2. 24.(월) ~ 3. 13.(금) ■ 제출 방법 1) 온라인 제출신청서를 제출한다. (URL : bit.ly/2vOYH0u) 2) 일기장(파란색) 실물을 우편 또는 방문접수 한다. - 우편 접수 : 등기 제출 ※착불 불가, 제출자 이름, 연락처 필히 기재 - 방문 접수 : 평일 10:00~17:00 방문 접수 가능 ※점심시간(12:00~13:00) 방문 접수 불가 - 우편발송 및 방문접수처(뉴스일기 운영사무국) : *전화번호 필수 기재 04156 서울특별시 ..

2020. 3. 2. 16:29
1 ··· 78 79 80 81 82 83 84 ··· 10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