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7)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0)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신문 미디어 뉴스 책 다독다독 뉴스리터러시 스마트폰 이벤트 기자 NIE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신문읽기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미디어교육 독서 뉴스읽기뉴스일기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재단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미디어리터러시(592)

  • “불법 촬영 영상, SNS에 올리기만 해도 범죄래요”

    2019.06.26
  • 남·북 청소년이 함께한 ‘우리의 역사, 우리의 함성’

    2019.06.21
  • ‘민간 협력형 자율규제-팩트체크’ 대세

    2019.06.14
  • ‘학생 스스로 뉴스 소비 습관 모니터링’ 장려

    2019.06.12
  •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

    2019.06.11
  • 2020년까지 중고등학생 팩트체킹 체험수업 진행 중

    2019.06.07
“불법 촬영 영상, SNS에 올리기만 해도 범죄래요”

‘연예인 카톡방 성범죄 사건’과 정보통신망법 교육 연예인 카톡방 성범죄 사건. 예전 같으면 쉬쉬하며 TV 채널을 돌릴 만한 뉴스입니다. 하지만 자칫 음지에서 미디어 속 행동을 모방하면 큰일이기에 아예 양지로 꺼내 수업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호기심 왕성한 중고생에겐 꼭 필요한 교육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글 박미영 (한국NIE협회 대표) “탕~!!” 로테를 향한 멈출 수 없는 사랑에 고뇌하던 청년 베르테르는 생의 마지막 순간에 로테 남편의 권총을 빌려 죽음을 선택합니다. 소설(미디어) 속 자살이 낭만적으로 그려져서일까요? 1774년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출간된 후 유럽에선 베르테르처럼 권총 자살하는 청년들이 늘어갔습니다. 미국의 사회학자 데이비드 필립스는 “사람들은 미디어가 전달하는 자살 방법을 학습하고..

2019. 6. 26. 12:42
남·북 청소년이 함께한 ‘우리의 역사, 우리의 함성’

3.1운동 100주년 기념 기자 체험 프로그램 남과 북의 청소년들은 서로 다른 역사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중 하나가 3.1운동이었다. 3.1운동이 한반도 전 지역에서 진행됐음에도 불구하고 한쪽의 역사로만 남아 있었다. 역사를 함께 알아가는 과정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글 김의진 (코리아중앙데일리 전략사업팀 과장) 지난해 4월 판문점에서는 영화에서 나올 법했던 장면이 펼쳐졌다. 남과 북의 지도자가 군사분계선을 손을 잡고 넘던 바로 그 모습이다. 그렇게 한반도 평화의 봄은 시작이 됐고, 그러한 봄의 설렘을 느끼며 탈북 청소년들과 남한 청소년들이 함께하는 1일 기자 체험이 추진됐다. 역사의 현장 체험 남과 북의 청소년들이 함께 참여하는 1일 기자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조심하던 부분이 있었다. 195..

2019. 6. 21. 10:37
‘민간 협력형 자율규제-팩트체크’ 대세

허위정보 대응책, 무엇이 있나 가짜 뉴스의 생산과 유통이 사회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가짜 뉴스를 규제하기 위한 법·제도적 장치들이 마련되고 있다. 그러나 정부기관이 직접 나서 가짜 뉴스를 판단할 경우 ‘검열’이라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시민사회의 자율적 협력을 통해 허위정보에 대응하려는 움직임들이 활발하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글 정은령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SNU팩트체크센터장·언론학박사) 2016년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가짜 뉴스(fake news)’는 세계적인 유행어가 됐다. 전 세계적으로 보수와 진보로 정치 지형이 양극화된 상황에서, 특정 정치세력의 이해를 대변하는 ‘가짜 뉴스’는 유권자들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며 건강한 민주주의의 작동을 위협하고 있다. 한국에..

2019. 6. 14. 15:15
‘학생 스스로 뉴스 소비 습관 모니터링’ 장려

호주 공영방송의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 호주에서는 지난해 9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알리는 중요한 행사가 열렸 다. 호주 공영방송 ABC 주최로 열린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글 이지영 (호주 캔버라대 뉴스 미디어연구센터 연구원) 호주 공영방송 ABC(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의 2018년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Media Literacy Week)’ 행사가 2018년 9월 10일~16일 진행됐다. 2018년 처음 개최된 이 행사는 전 연령층의 호주인들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을 각인시키기 위해 ABC가 기획한 행사이다. 즉, 현대 미디어 지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널리 알리고..

2019. 6. 12. 16:54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

한국언론진흥재단 등 미디어교육 사업을 수행하는 6개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는 10일, 유네스코한국위원회(11층, 유네스코홀)에서 국민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MIL)1)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1)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 미디어와 미디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에 대한 접근 능력, 비판적 이해 능력, 창의적 활용능력 및 민주적 소통 능력 참여기관(단체)은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방송통신위원회, 과학기술 정통부 등 4개 정부부처 산하의 시청자미디어재단(이사장 신태섭), 유네스코한국위원회(사무총장 김광호), 한국교육학술정보원(원장 박혜자),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민병욱),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문용식)과 민간단체인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이사..

2019. 6. 11. 18:07
2020년까지 중고등학생 팩트체킹 체험수업 진행 중

허위정보에 대응하는 해외 미디어교육-미국 미국은 2016년 대통령 선거 이후 허위정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하느라 고심 중이다. 특히 각 주정부와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에게 가짜와 진짜 정보를 가려낼 수 있는 비판적 시각을 길러주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많은 정성을 기울이고 있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글 류동협 (미 콜로라도대 언론학 박사) 요즘의 상황으로 판단할 때 우리가 허위정보의 홍수 시대에 살고 있다는 말이 과언이 아닌 것처럼 느껴진다. 2018년 갤럽/나이트 재단 미국 성인 패널조사에 의하면,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에 등장한 뉴스의 65% 정도가 허위정보라고 믿고 있다고 한다. 신문, TV, 라디오의 뉴스를 불신하는 비율 39%와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수치다.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

2019. 6. 7. 08:58
1 ··· 86 87 88 89 90 91 92 ··· 99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