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57)
-
우리는 뉴스를 '본다'
서현정, 2016 다독다독 기자단 [요약] 시대에 따라 저널리즘의 소비행태는 변화한다. 라디오를 통해 뉴스를 ‘들었던’ 시대에서 신문을 통해 뉴스를 ‘읽는’ 시대로, 그리고 점차 인터넷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보는’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 인포그래픽(Info-graphic), 카드뉴스와 같이 정보들이 소리에서 글을 넘어 그림으로 바뀌어가는 지금, 우리는 어떻게 저널리즘을 소비해야하는 것인가. 읽기의 행태가 변한다면 그 안의 내용도 바뀌는 것도 당연한 결과이다. 그 변화하는 콘텐츠 속 저널리즘의 원칙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지켜져야 한다. 변화의 이면에 자리 잡은 우리 사회 스낵컬쳐(Snack Culture) 열풍은 읽기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인가? 이 시대 현명한 뉴스 소비자가 되기 위해 우..
2016.06.28 -
응답하라! 언제나 어디서나?
[요약] 4월 다독다독 의견댓글 이벤트 를 통해 들어 본 다독다독 팬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공유합니다. 근무시간 외 직상 상사로부터 온 업무 관련 전화, 메일, 메시지 등을 받지 않을 '연결되지 않을 권리'에 대한 이야기가 화제입니다. 다독다독 페이스북 이벤트를 통해 다독다독 팬들이 생각하는 스마트폰의 ‘항상 연결’ 기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습니다. 전체 응답자 100명 중 스마트폰 항상 연결로 '더 편리해졌다'고 응답한 사람이 전체의 43명(43%), '더 불편해졌다' 56명(56%), 기타(중립) 1명(1%)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중 눈에 띄는 의견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김병선님, O. 스마트폰 상시연결로 더 편리해진 듯해요! 다양한 사람을 만날 수 있는 기회마련/소식을 전할 수도 있..
2016.05.12 -
스마트폰과 뉴스 소비 경험
국내 언론사들은 모바일 유통을 겨냥한 카드뉴스 제작을 강화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는 전국 스마트폰 이용자 1,02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뉴스 포맷 문자뉴스, 카드뉴스, 동영상뉴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온라인 실험을 실시했습니다. #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장소 오늘날 스마트폰은 미디어 콘텐츠 소비가 이루어지는 주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스마트폰이 전통적 미디어 플랫폼과 다른 점은 이동성이다. 스마트폰은 간단히 휴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폰 사용 시간대를 7가지로 나누어 설문조사한 결과 다른 매체와 비교하여 스마트폰 사용의 시간적 특징이 드러났는데 그것은 주기성의 소멸이다. 스마트폰 사용은 오후 12~3시와 저녁..
2016.05.04 -
모바일용 스토리텔링의 시작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서울경제 전략기획실 부장 신한수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기-승-전-카드뉴스.” 요즘 모바일에 대처하는 신문사들의 행보를 살펴보면 어지간한 언론사치고 카드뉴스 서비스를 안 하는 곳이 없고, 뉴미디어 부서에는 꼭 카드뉴스를 제작 하는 팀 또는 전담 인력이 배치되고 있으니, 카드뉴스가 궁극적인 해답이냐에 대해서는 이론이 많을지 몰라도 최소한 ‘대세’임에는 분명합니다. 자체 서비스는 물론 네이버 포스트나 피키캐스트 등 뉴스의 주요 유통 경로가 되고 있는 사이트와 페이스북 등 SNS에도 언론사별 카드뉴스가 차고 넘치는 것을 보면 언론사와 뉴스 소비자들의 눈높이가 대략 맞아떨어진 일종의 ‘타협점’에 카드뉴스라는 포맷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달라진 콘텐츠 구성 ..
2015.11.23 -
신이 되길 원하는 검색 기술
인터넷은 누구나 자유롭게 정보를 올릴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급성장했습니다. 하지만 검색 기술이 개발되기 전까지만 해도 이 자유로움 때문에 인터넷은 수많은 글이 난무하는 쓰레기장으로 가까운 시간 내에 사라질 것으로 생각하는 전문가가 많았습니다. 빌 게이츠도 그중 하나였습니다. 하지만 구글이 등장해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되면서 이런 논란은 사라졌습니다. 현재까지 검색 기술은 내가 원하는 것을 찾아보는 검색입니다. 내가 원하는 것을 입력하면 알려 주는 수동적 검색입니다. 하지만, 이제 검색은 내가 물어보지 않아도 알려주는 능동적 검색으로 발전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검색 기술은 경제학과 결합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필자는 경제학을 전공했는데 학부 시절 교수님에게 제일 많이 들었던 이..
2015.11.17 -
인터넷을 평화롭게 한 최고의 발명품
인터넷은 우리 삶을 참 편하게 바꾸었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궁금한 모든 것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다양한 볼거리로 우리를 즐겁게 해주기도 합니다. 우리 삶 깊이 들어 와 너무나 많은 혜택을 주고 있기에 전문가도 인터넷의 긍정적인 영향을 모두 나열하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입니다. 하지만, 우리 몸의 일부분처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어 버린 인터넷이기 때문에 폐단 역시 긍정적 효과 못지 않게 큰 것이 사실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오해와 갈등입니다. 인터넷에서 오해와 갈등이 많은 것이 단지 인터넷의 특징 때문만은 아닙니다. 사회적으로 오해와 갈등이 늘어나기 때문에 벌어지는 것이 가장 클 수 있지만, 모르는 사람과 얼굴을 보지 않고 글로만 이야기한다는 특징으로 인해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이 늘어나는 구조적 문제가 ..
2015.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