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14)
-
시대가 변해도 스토리텔링의 본질은 즐거움
오선민, 조희형 이화여대 프런티어 저널리즘스쿨 [요약] SDP 2016의 저널리즘 특별 세션 '스토리텔링의 진화', 그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스토리텔링의 길을 찾고 있었다. #스토리텔링의 미학 파쉬나-코타스는 뉴욕타임스에서 VR 저널리즘을 선보였고, 쉐이는 내셔널지오그래픽 인스타그램 계정에 글을 써 5,000만 명이 넘는 팔로어를 모았다. 메츠는 1시간짜리 탐사 다큐를 2분짜리 SNS 동영상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이들 역시 스토리텔링에 관해선 기어리의 생각과 궤를 같이 하고 있었다. 세션 시작 전 열린 기자회견에서 쉐이는 “롱폼과 숏폼을 떠나, 사람들은 스토리텔링을 통해 어딘가로 여행하고 싶어 하고 즐거워지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세션이 끝나고 진행한 인터뷰에서 기어리는 이를 “스토리텔..
2016.07.13 -
‘관습·멜로·막장’ 공식 파괴한 스토리텔링의 힘
이재원 문화평론가·전 텐아시아 편집장 #지상파 드라마의 시청률 확보 공식 케이블 채널이나 종합편성채널 등 지상파가 아닌 채널의 드라마가 화제성은 물론, 시청률까지 앞서 나가는 현상이 최근 3~4년간 벌어지고 있다. 지상파의 경우 SBS ‘별에서 온 그대’ (2013~2014)가 한류 바람을 다시 몰고 왔지만, 최근 신드롬을 일으키고있는 KBS 2TV ‘태양의 후예’ 이전까지 작품들은 소위 ‘중박’ 정도에 머물 뿐 ‘대박’ 작품은 많지 않았다. 반면 케이블 채널 tvN ‘나인’(2013), ‘미생’(2014), ‘시그널’(2016), OCN ‘나쁜 녀석들’(2014)을 비롯해 JTBC ‘아내의 자격’(2012), ‘송곳’(2015) 등은 착실히 성과를 냈다. 여기에 tvN ‘응답하라’ 시리즈 중 최근작 ‘..
2016.04.20 -
‘이용자 퍼스트’로 생각하고 혁신하라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한국방송통신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김선호・김옥태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올해 모바일 뉴스 포맷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선행 연구들을 찾아보았습니다. 뉴스 포맷은 최근에 주목받기 시작한 분야라서 선행 연구가 많지는 않았습니다. 몇 개 안되는 연구 중에 눈에 띄는 것이 케빈 반허스트(Kevin Barnhurst)가 하버드대 쇼렌스타인센터에 체류하면서 2002년에 발간한 보고서였습니다. 당시 미국 신문들이 어떤 포맷을 사용하는지 분석했던 반허스트의 결론은 이렇습니다. “인터넷판 미국 신문들은 온라인에 맞는 새로운 형식으로 출판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대신 웹 버전은 인쇄 버전을 복제하고 있다.(…) 소수의 기사만이 하이퍼링크, 이미지..
2015.12.04 -
모바일용 스토리텔링의 시작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서울경제 전략기획실 부장 신한수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기-승-전-카드뉴스.” 요즘 모바일에 대처하는 신문사들의 행보를 살펴보면 어지간한 언론사치고 카드뉴스 서비스를 안 하는 곳이 없고, 뉴미디어 부서에는 꼭 카드뉴스를 제작 하는 팀 또는 전담 인력이 배치되고 있으니, 카드뉴스가 궁극적인 해답이냐에 대해서는 이론이 많을지 몰라도 최소한 ‘대세’임에는 분명합니다. 자체 서비스는 물론 네이버 포스트나 피키캐스트 등 뉴스의 주요 유통 경로가 되고 있는 사이트와 페이스북 등 SNS에도 언론사별 카드뉴스가 차고 넘치는 것을 보면 언론사와 뉴스 소비자들의 눈높이가 대략 맞아떨어진 일종의 ‘타협점’에 카드뉴스라는 포맷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달라진 콘텐츠 구성 ..
2015.11.23 -
비주얼 스토리텔링을 위한 콘텐츠 종류들
콘텐츠들이 재료을 서로 융합하여 비주얼 스토리텔링을 펼치는 과정을 콘텐츠 디자인이라고 합니다. 디자이너는 이 다양한 재료들을 가지고 적절한 음식으로 만드는 쉐프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디자이너는 타이포그래피와 일러스트, 이미지, 사진, 도표 등이 편집을 넘어 정보를 디자인하고 예술적 수준과 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완성해야 하는 역량을 지녀야 합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스마트TV 같은 새로운 디바이스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의사소통과 미디어 사용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비주얼 콘텐츠의 종류들에 대해 본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시간과 시기, 시대를 표현하는 비주얼 콘텐츠 비주얼 연대기(chronicle) 벌어진 어떠한 특정한 사건들에 대해 시간의 연속적인 흐..
2015.10.13 -
비주얼 스토리텔링 시대의 출현
“언어가 사라진 뒤에야, 우리는 비로소 보기 시작한다.” 필립 그로닝(Philip Gröning)이 카르투시오회 수사들의 일상생활을 담아 제작한 영화 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새롭게 등장한 콘텐츠 시대에 적용하여 말하면 “종이 텍스트가 사라진 뒤에야, 우리는 비로소 눈에 보이는 스토리텔링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름답고도 즐겁고 감동적인 알타미아 동굴(cueva de Altamira)와 이집트의 파피루스 그리고 중세의 수도원에서 만든 화려한 그림이 담긴 성경 책을 살펴보면 알 수 있습니다. 텍스트만이 담긴 종이 미디어의 역사는 인류 커뮤니케이션 역사에서 작은 부분일 수 있습니다. 어쩌면 비주얼 스토리텔링 시대의 출현은 매우 자연스런 현상일 것입니다. 언어가 사라진 뒤에야, 우리는 비로..
2015.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