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21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11) N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NIE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리터러시 독서 공모전 한국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기자 뉴스리터러시 뉴스 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신문 이벤트 미디어 스마트폰 미디어교육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신문(536)

  • 신문 스크랩을 통해 중학생이 본 사회의 불편한 진실

    2013.08.30
  • 팝페라테너 임형주, 나의 성공의 원동력은 ‘신문’

    2013.08.28
  • 여고생의 읽기 습관을 바꿔 준 ‘시사학습장’

    2013.08.08
  • 신문 헤드라인으로 살펴본 해병대 캠프 참사

    2013.07.23
  • 시대별 신문기사로 알아본 레인부츠 열풍

    2013.07.18
  • 아날로그의 대명사 신문, 스마트하게 보는 법

    2013.06.25
신문 스크랩을 통해 중학생이 본 사회의 불편한 진실

지난 7월 여름휴가를 맞아 할머니 댁에서 친척들을 뵙고 서울로 오던 길이었다. 늘 그래 왔듯이 기차에 타기 전에 편의점에 들러 요깃거리를 사려던 참에 전에는 존재조차 잊고 있었던 신문 가판대가 난데없이 나타나 내 마음을 뒤흔들었다. 그 바람에 아버지께서는 말없이 ‘한겨레’와 ‘조선일보’를 한 부씩 사 주셨다. 신문과 나는 그렇게 우연히 만났다. 운명적인 만남이란 게 으레 그렇듯이. 식구들이 기차 안에서 곤히 잠들어 있는 동안 나는 혼자만의 시간을 만끽하며 신문을 펼쳐 들었다. 순백의 세상에 마음을 빼앗겨 드넓은 벌판 속으로 조심스레 발을 내딛던 그 겨울의 첫눈 오던 날처럼 한창 무르익은 여름의 기차 속에서 난 신문에 빠져 회색빛 지면 위로 과감하게 형광펜을 그어 댔다. ‘사그락 사그락.’ 신문을 넘기는 ..

2013. 8. 30. 14:13
팝페라테너 임형주, 나의 성공의 원동력은 ‘신문’

팝페라테너 임형주씨가 지난 8월 14일 프레스센터에서 진행된 ‘청소년, 신문과 친해지기’ 강연 자리에 섰습니다. 기자도 언론인도 아닌 음악가가 신문 관련 강연을 하다니, 많은 분들이 의아해하실텐데요. 신문에 대한 애정이 남다른 임형주씨의 생생한 강연현장을 함께 만나보시죠! 강연장에는 충남, 강원, 경기, 강화도 지역 4개의 학교의 학생들이 꽉 차있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팝페라테너 임형주씨의 등장에 강연장은 금세 분위기가 달아올랐는데요. 간단한 인사를 마치고 “집에서 신문을 구독하는 학생이 있느냐”는 물음에 약 3-4명의 학생이 손을 들었습니다. 이에 대해 임형주씨는 “신문을 반드시 보지 않아도 일상생활을 하고, 하고 싶은 일을 할 수는 있지만 신문이 주는 영감과 소스는 얻기 어려울 것”이라고 ..

2013. 8. 28. 14:15
여고생의 읽기 습관을 바꿔 준 ‘시사학습장’

세상에는 어떤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며 살고 있는지 늘 궁금했던, 호기심 많은 초등학생은 용감하게 어른들이 읽는 커다란 종이신문을 펼쳐 들었다. 하지만 한 장을 넘기자마자 “아뿔싸” 하며 다시 덮은 것은 비단 굵은 글씨로 압도하는 헤드라인 때문만이 아니었다. 간혹 섞여 있는 한자들과 매캐한 신문 잉크 냄새는 정말로 낯설게 느껴졌다. 심호흡을 하고 다시 첫 장을 열어젖혔다. 낯선 지면과의 첫 만남은 인상적이었다. 1면 기사들과 그 안쪽에 실린 정치, 경제 기사들은 어렵고 무슨 말인지 잘 몰랐지만 뒷부분에서는 어린 나에게도 친숙한 문화, 사회면이 기다리고 있었다. 매일 휙휙 넘겨 가며 눈에 잘 들어오는 기사들을 찾았다. 신문은 이웃집 할머니의 남모를 선행을 귓속말로 알려 주었고, 서울 한복판에서 일어난 촛불..

2013. 8. 8. 14:31
신문 헤드라인으로 살펴본 해병대 캠프 참사

노량진 수몰 사고가 일어난지 얼마 되지 않아 해병대 캠프에 참여했던 공주사대부고 학생 5명이 파도에 휩쓸려 사망한 사고가 있었습니다. 이 해병대 캠프는 제대로 된 안전장비도 없이 아르바이트 교관들이 학생들을 위험한 바다로 밀어 넣고 제대로 된 구조 활동도 하지 못했습니다. 선생님들은 그 시간 술판을 벌이고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고요. 전 국민이 분노했습니다. 이 어처구니 없는 사고 앞에 대통령은 위로를 전했고 여당 대표는 모든 것이 인재라며 국민에게 사과했습니다. 야당 대표는 위로를 전하며 학생들에게 상명하복의 병영문화 대신 창의적 꿈을 줄 수 있도록 교육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고요. 이처럼 여러 입장과 시선이 보이는 이번 사건, 과연 신문 기사는 어떤 표현으로 보도했을까요? 출처 - 서울신문 해병대 ..

2013. 7. 23. 11:21
시대별 신문기사로 알아본 레인부츠 열풍

날씨도 덥고 비는 퍼붓고, 요즘 우리나라 날씨는 아열대 같습니다. 덥다가 스콜이 쏟아지고 금방 멈추고 고온다습한 날씨가 딱 그렇지요. 이번 여름에는 아열대에서 자라나는 산호가 부산 앞바다에서 자랄 정도라고 하죠? 요 며칠간 국지성 집중호우가 내렸는데요. 이와 함께 큰 인기를 끄는 아이템이 있습니다. 바로 장화, 요즘은 레인부츠라고 부르는 신발이죠. 신문 기사 속에서 장화는 과연 어떤 말들로 표현되어 왔을까요? 출처 - 서울신문 발 건강에 ‘위험한’ 장화 장화를 비롯해 우리나라의 고무신 사랑은 유별났나 봅니다. 일제 식민지 시대였던 1935년에도 조선에서 고무신을 없앤다면 조선사람의 생활을 빼앗는 것과 같을 것이란 말이 있을 정도였으니 말입니다. 출처 - 서울신문 전세계를 둘러본대도 비가 오나 폭양이 내리..

2013. 7. 18. 11:19
아날로그의 대명사 신문, 스마트하게 보는 법

문화반란의 기수들, 디지털 딴지일보 발행인 김어준(경향신문)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보이듯 1999년에는 신문을 인터넷에서 볼 수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신기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기술이 발전하고 스마트기기를 쓰는 저변도 확대되어 전통적인 종이신문을 발행하는 거의 모든 신문사들이 인터넷 서비스를 하고 있지요. 포털에서는 검색과 함께 가장 잘 보이는 자리에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요. 이처럼 신문과 디지털 기술은 시간이 갈수록 융합하여 더 편하고 스마트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같이 살펴보실까요? 출처 - 서울신문 기사를 더 생생하게. QR코드 갖가지 정치 경제부터 생활, 스포츠 뉴스까지. 아침에 신문을 넘겨가며 기사를 읽는 걸로 하루를 시작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하지만 그러다가도 ..

2013. 6. 25. 14:33
1 ··· 52 53 54 55 56 57 58 ··· 90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