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88)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103)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2)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신문읽기 기자 언론진흥재단 이벤트 공모전 스마트폰 미디어교육 독서 뉴스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뉴스읽기뉴스일기 미디어 신문 책 미디어리터러시 NIE 한국언론진흥재단 다독다독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뉴스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언론진흥재단(547)

  •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 원리로 돌아본 ‘SKY 캐슬’

    2019.03.05
  • 오늘은 100번째 3.1절입니다.

    2019.03.01
  • 즐겁게 오랜 시간 뉴스와 채팅하세요

    2016.04.18
  • 내가 투표한다고 "달라집니다!"

    2016.04.13
  •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등장 배경이 궁금하다

    2016.04.04
  • 20대 투표율 '속' 이야기

    2016.03.30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 원리로 돌아본 ‘SKY 캐슬’

과열 입시와 사교육 폐해, 스스로 알아서 해결하라? JTBC 드라마 ‘SKY 캐슬’이 종영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그에 대한 열풍은 여전히 식지 않았으며, 세간의 반응도 호평 일색이다. 높은 인기를 구가하는 ‘SKY 캐슬’은 학교 현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의미와 원리를 교수·학습하는 데 유용한 소재가 될 수 있다. 이런 배경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 원리를 바탕으로 ‘SKY 캐슬’을 분석해 봤다. 황치성 전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위원, 언론학 박사 JTBC에서 방영한 드라마 ‘SKY 캐슬’이 종영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그에 대한 열풍은 여전히 식지 않고 있다. 20부작 최종회의 시청률 23.8%라는 수치가 말해주듯 그에 대한 세간의 반응도 호평 일색이다. ‘입시에 목매는 한국 사회의 현실을 풍자한 다..

2019. 3. 5. 17:57
오늘은 100번째 3.1절입니다.

1919.3.1그날의 함성은 100년의 세월을 지나우리에게 이어지고 있습니다.그날의 함성, 잊지 않겠습니다. 언론진흥재단은 3.1 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특별 언론전시회를 열고 있습니다.진관사에서 발견된 태극기 1점, 항일신문 6종 19점을 소개하고, 뒤이어 미국에서 수집한 3.1 운동 관련 언론 기사와 사진을 공개할 예정입니다.많은 방문을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바로 가기 ▶ http://independence.kpf.or.kr/

2019. 3. 1. 08:00
즐겁게 오랜 시간 뉴스와 채팅하세요

한운희, 연합뉴스 미디어 랩 기자의 글입니다. 2012년 9월 쿼츠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을 때 없는 게 2가지였다. 하나는 그럴싸한 홈페이지, 또 다른 하나는 전용 모바일 앱이었다. 단순 기사 목록에 더 가까웠던 웹페이지는 2015년이 돼서야 비로소 홈페이지로서 최소한의 구색을 갖추기 시작했다. 모바일 앱은 그보다 한참 늦었는데, 올해 2월11일에 처음 선보였다. 그것마저도 iOS 전용이었다. 이용자와 채팅하는 쿼츠 설립 3년 5개월 만에 내놓은 쿼츠의 모바일 앱은 공개되자마자 화제에 올랐다. 기존 뉴스 앱의 구태의연한 방식을 깨고 채팅이라는 의외의 형식으로 뉴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앱을 실행하면 접속한 시간대에 걸맞은 인사를 먼저 건네고 친절하며 재치 있는 문장으로 그날 봐야 할 뉴스를 선별해 전해..

2016. 4. 18. 13:30
내가 투표한다고 "달라집니다!"

[요약] 내가 투표한다고 뭐가 달라지겠어?’내가 투표를 포기했을 때 일어나는 일, 내가 투표를 했을 때 달라지는 일을 비교하여 소개합니다. #그래, 투표하지 마라최근 인터넷상에서 화제가 된 랩 영상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 올라온 ‘Let's Vote!(작사·작곡 눈노)입니다. 다가오는 4월 13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투표를 독려하는 이 영상은 제목과 반대되는 가사로 유명세를 탔습니다. 다음은 랩 가사입니다. "혼자 벌어먹고 살기 힘들어서 맞벌이/ 내 자식 학교 학비 볼 때마다 간 떨림/ 애는 애대로 친구와 경쟁이고/ 휴가는 무슨 여가생활과도 기약 없는/ 작별인 시대에 살고 있으면서 선거날은 빨간날?/ha 그래, 투표하지 마라/ 무시하고 살아, 줄어드는 반찬에도/ 세상 욕 ..

2016. 4. 13. 09:30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등장 배경이 궁금하다

권영부, 동북고등학교 수석교사, NIE한국위원회 부위원장 우리나라에서 미디어활용교육의 큰 축을 담당했던 것이 신문 활용 교육(NIE, Newspaper in Education)이다. 신문 활용 교육이 학교현장에서 교과와 비교과교육에 두루 활용되면서 하나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안착된 게 사실이다. 신문 활용 교육이 체계화된 교수학습 방법은 아니다. 신문을 교수학습 과정에 보조교재로 활용할 뿐이다. 보조교재인 신문이 가진 교육적 가치는 이미 국내외의 여러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한국방송통신대학 김옥태 교수는 어릴 때부터 꾸준히 종이신문을 통해 활자를 접한 학생은 읽기 능력뿐 아니라 논리력과 사고력 등이 향상되고 시사 상식도 풍부해지기 때문에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했다(조선일보, 2016.03.07.). ..

2016. 4. 4. 16:00
20대 투표율 '속' 이야기

[요약] 제 20대 국회의원 총선을 앞두고 여러 언론에서 20대 투표율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20대 투표율이 가장 낮았던 적이 많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선거철만 되면 20대는 '투표를 말로 한다', 'SNS만 하는 20대'라며 많은 비난을 듣습니다. 20대의 낮은 투표율 과연 무엇이, 그리고 누구의 문제인지 '속'을 들여다보았습니다. 그리고 그 '속'에서 서서히 증가하는 있는 20대 투표율을 살펴보았습니다. ‘만 19세 이상’ 이 되면 그동안 받았던 많은 규제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이는 ‘만 19세 이상’이 ‘성인(成人)’이기 때문입니다. 자라서 어른이 된다는 뜻을 가진 성인에게 또 하나 허용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나라를 위해, 우리 지역을 위해 일 할 후보자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투표라는 ..

2016. 3. 30. 00:30
1 ··· 10 11 12 13 14 15 16 ··· 92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